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로만 야콥슨의 러시아어와 슬라브어 문법 연구 1931-1981

로만 야콥슨 저/안혁 | 한국문화사 | 2025년 6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언어학
파일정보
PDF(DRM) 3.2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로만 야콥슨의 러시아어와 슬라브어 문법 연구 1931-1981

책 소개

저자 소개 (2명)

저 : 로만 야콥슨 (Roman Jakobson)
20세기의 위대한 언어학자이자 문예이론가로 1896년 모스크바의 유대인 가문에서 삼 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 모스크바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모스크바 대학을 졸업했다. 가명으로 시인 활동을 하며 러시아 미래주의자들과 교류하다 체코 프라하로 건너가 프라하 언어학파 창설에 함께했다. 1930년 박사학위 취득 후 체코의 마사리크 대학에 부임하여 슬라브어 문헌학, 중세 체코문학 등을 가르쳤다. 1939년 나치의 압제를 피해 코펜하겐, 오슬로, 웁살라 등을 전전하다가 1941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때부터 미국에 거주하면서 자유고등연구원, 컬럼비아 대학, 하버드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20세기의 위대한 언어학자이자 문예이론가로 1896년 모스크바의 유대인 가문에서 삼 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 모스크바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모스크바 대학을 졸업했다. 가명으로 시인 활동을 하며 러시아 미래주의자들과 교류하다 체코 프라하로 건너가 프라하 언어학파 창설에 함께했다. 1930년 박사학위 취득 후 체코의 마사리크 대학에 부임하여 슬라브어 문헌학, 중세 체코문학 등을 가르쳤다. 1939년 나치의 압제를 피해 코펜하겐, 오슬로, 웁살라 등을 전전하다가 1941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때부터 미국에 거주하면서 자유고등연구원, 컬럼비아 대학, 하버드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고전문헌, 신화, 시, 문학, 예술 등에 해박했으며 음운론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구조주의적 사유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82년에 국제문헌학·언어학 상과 헤겔 상을 수상했으며, 그해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에서 숨을 거뒀다. 주요 연구물은 총 아홉 권으로 구성된 《선집》으로 남아 있다
1971년 서울에서 안종옥, 김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명지초, 홍은중, 명지고, 연세대를 나와 학군32기로 군에 복무했다. 연세대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치고 UNC-CH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로라 얀다였고, 러시아어의 SJA가 붙은 동사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학위 논문을 작성했다. 귀국 후에는 학회 활동과 더불어, Russian Linguistics,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2011년에 한국외대 언어연구소 HK교수로 임용되었고, 2015년에 성균관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로 자리... 1971년 서울에서 안종옥, 김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명지초, 홍은중, 명지고, 연세대를 나와 학군32기로 군에 복무했다. 연세대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치고 UNC-CH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로라 얀다였고, 러시아어의 SJA가 붙은 동사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학위 논문을 작성했다. 귀국 후에는 학회 활동과 더불어, Russian Linguistics,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2011년에 한국외대 언어연구소 HK교수로 임용되었고, 2015년에 성균관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항상 성실한 학자가 되려고 애쓰는 노력형 인간이다. 하지만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을 좋아하고, 전공 분야가 아닌 것을 공부하고 논쟁하는 것을 좋아한다. 몸 쓰는 것을 좋아하고, 주변의 사소한 것에 항상 감사하고, 감동하는 인문학 연구자이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