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학자. 1963년생. 한국근대 미술을 다룬 전통적인 미술사 연구 방식이 대부분 이른바 ‘공급자’ 곧 작가와 작품에 집중할 때 이와는 조금 다르게 작품을 매매, 수장, 감상하는 ‘수요자’를 중심에 놓고 연구한 그의 새로운 시도는 미처 몰랐던 근대 미술의 또 다른 영역을 밝혀내는 데 기여했다.
근대에 대한 관심의 지평을 더욱 넓힌 그는 2000년대 초반 처음 접한 <경성정밀지도>(1933)와 2015년 처음 접한 <대경성부대관>(1936)을 바탕 삼아 근대 지도와 이미지의 결합을 본격적으로 시도했고, 이후 약 10여 년의 세월을 들인 끝에 나온 결실이 바로 『경성 풍경』이...
미술사학자. 1963년생. 한국근대 미술을 다룬 전통적인 미술사 연구 방식이 대부분 이른바 ‘공급자’ 곧 작가와 작품에 집중할 때 이와는 조금 다르게 작품을 매매, 수장, 감상하는 ‘수요자’를 중심에 놓고 연구한 그의 새로운 시도는 미처 몰랐던 근대 미술의 또 다른 영역을 밝혀내는 데 기여했다.
근대에 대한 관심의 지평을 더욱 넓힌 그는 2000년대 초반 처음 접한 <경성정밀지도>(1933)와 2015년 처음 접한 <대경성부대관>(1936)을 바탕 삼아 근대 지도와 이미지의 결합을 본격적으로 시도했고, 이후 약 10여 년의 세월을 들인 끝에 나온 결실이 바로 『경성 풍경』이다. 1930년대 경성의 모습을 지도와 사진으로 재현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동쪽으로는 동대문 밖 창신동, 숭인동에서 서쪽으로는 마포, 남쪽으로는 용산, 북쪽으로는 홍제동, 인왕산에 이르는 당시 경성과 경성 주변의 거리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시각 데이터를 한 권의 책으로 갖추게 되었다.
건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공부했고, 한국미술소 연구원·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장·영산대와 인천대 겸임교수·건국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한국미술사학회 이사 등을 거쳐, 지금은 경기도문화유산위원·(사)한국전통조경학회 이사·(재)나주문화재단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미술품 컬렉터들』, 『소치 허련』, 『남농』, 『들어가서 보는 그림 동양화』 등이 있고, 『한국근대미술시장사자료집』(전6권), 『경매된 서화』 등을 엮기도 했다. 『미술품 컬렉터들』로 제30회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