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이다. 주요 논저로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공저), 「설득형 시조의 담화구조 연구」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이다. 주요 논저로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공저), 「설득형 시조의 담화구조 연구」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전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19세기 서구인들이 인식한 한국의 시와 노래』, 『조선시대 시가의 현상과 변모』, 『옛 문학에서 발견한 전라북도 문화 풍경』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전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19세기 서구인들이 인식한 한국의 시와 노래』, 『조선시대 시가의 현상과 변모』, 『옛 문학에서 발견한 전라북도 문화 풍경』등이 있다.
전주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전략적 글 읽기』(공저), 『매혹적인 말하기와 프레젠테이션』(공저) 등이 있다.
전주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전략적 글 읽기』(공저), 『매혹적인 말하기와 프레젠테이션』(공저) 등이 있다.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14년 고려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14년 고려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