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만의 시선과 목소리로 한국 사회를 바라보고 이야기해온 여성주의 연구활동가. PC통신과 인터넷이 보급되던 1990년대에 나우누리 여성 모임 ‘미즈’의 운영진을 맡았던 영페미니스트이다. 같은 시기에 게릴라 여성운동 모임을 표방한 돌꽃모임 멤버로 활동하며 ‘편협한 페미니스트들의 저열한 잡지’를 만들고 지하철 성추행 방지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2000년대에는 여성주의 네트워크 [언니네]에서 편집팀장이자 운영진으로 활동했고,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상근활동가로 일했다. 이후 이화여대 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이화여대, 국민대, 성공회대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고, [한겨레], [씨네21...
자신만의 시선과 목소리로 한국 사회를 바라보고 이야기해온 여성주의 연구활동가. PC통신과 인터넷이 보급되던 1990년대에 나우누리 여성 모임 ‘미즈’의 운영진을 맡았던 영페미니스트이다. 같은 시기에 게릴라 여성운동 모임을 표방한 돌꽃모임 멤버로 활동하며 ‘편협한 페미니스트들의 저열한 잡지’를 만들고 지하철 성추행 방지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2000년대에는 여성주의 네트워크 [언니네]에서 편집팀장이자 운영진으로 활동했고,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상근활동가로 일했다. 이후 이화여대 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이화여대, 국민대, 성공회대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고, [한겨레], [씨네21],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등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여 페미니스트로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페미니스트의 눈으로 다시 본 세계는 이전과 전혀 다르지만, 그 눈은 그에게 고유한 자신으로 삶을 사는 굳건함, 아무도 자신을 다치게 할 수 없는 단단함, 다른 사람의 인정을 구하지 않는 당당함을 가져다주었다. 여전히 무엇이 더 나은 길인지 고민하지만 분명한 점은 페미니스트로서 살아온 시간을 한 번도 후회한 적 없다는 것. 그래서 그는 오늘도 여성으로서, 페미니스트로서 스스로 목소리를 내고 글을 쓰는 삶을 계속하자고 다짐한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이다. 『언니네 방 1~2』,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등의 편저,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성폭력에 맞서다』, 『대한민국 넷페미사』, 『미투의 정치학』 등의 공저가 있다.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페미니즘 관점에서 폭력과 법, 사회적 고통과 몸을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다. 《절멸과 갱생 사이: 형제복지원의 사회학》(공저)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공저)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공저) 등을 썼고, 《범죄학과 사회이론》(공역)을 우리말로 옮겼다.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페미니즘 관점에서 폭력과 법, 사회적 고통과 몸을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다. 《절멸과 갱생 사이: 형제복지원의 사회학》(공저)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공저)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공저) 등을 썼고, 《범죄학과 사회이론》(공역)을 우리말로 옮겼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조교수로,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새뮤얼 리처드슨과 18세기 영국 초기 여성주의로 박사논문을 취득했다. 18세기 영국 지성사, 특히 젠더 담론 및 역사서술의 역사를 공부하며, 현대 한국의 정치적·도덕적 담론의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리처드 왓모어의 《지성사란 무엇인가?》를 한국어로 번역했으며, 앞으로 동시대 영어권 학술장의 논의 지도를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조교수로,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새뮤얼 리처드슨과 18세기 영국 초기 여성주의로 박사논문을 취득했다. 18세기 영국 지성사, 특히 젠더 담론 및 역사서술의 역사를 공부하며, 현대 한국의 정치적·도덕적 담론의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리처드 왓모어의 《지성사란 무엇인가?》를 한국어로 번역했으며, 앞으로 동시대 영어권 학술장의 논의 지도를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남성과함께하는페미니즘 활동가. 좋은 친구들 덕분에 운 좋게 페미니즘을 만나 2017년부터 남성 페미니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성교육과 젠더폭력 예방 교육, 성평등 교육을 한다. 《남성과 함께하는 페미니즘》을 썼고, 《포괄적 성교육》 등 다수의 책을 함께 썼다.
남성과함께하는페미니즘 활동가. 좋은 친구들 덕분에 운 좋게 페미니즘을 만나 2017년부터 남성 페미니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성교육과 젠더폭력 예방 교육, 성평등 교육을 한다. 《남성과 함께하는 페미니즘》을 썼고, 《포괄적 성교육》 등 다수의 책을 함께 썼다.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성매매피해지원상담소 이룸 활동가. 성매매 현장을 만나기 전부터 ‘나’를 팔아야 생존할 수 있는 사회에 부대낌이 있었다. 상담지원활동을 통해 마주한 성매매산업 현장은 여성을 상품으로 만들고 거래하는 거대한 상품 시장, 그 자체였다. 어떻게 이렇게 큰 규모의 산업이 가능한지, 여성의 상품화가 아무렇지 않게 진행되고 있는지 갸우뚱하던 중 나름의 답을 찾기 위해 성공회대 실천여성학전공에 진학했다. 구체적인 사람과 이야기에 집중하는,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물음표를 붙이는, 구성성과 맥락을 탐문하는 페미니즘의 방법론을 동경하고 애정한다.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성매매피해지원상담소 이룸 활동가. 성매매 현장을 만나기 전부터 ‘나’를 팔아야 생존할 수 있는 사회에 부대낌이 있었다. 상담지원활동을 통해 마주한 성매매산업 현장은 여성을 상품으로 만들고 거래하는 거대한 상품 시장, 그 자체였다. 어떻게 이렇게 큰 규모의 산업이 가능한지, 여성의 상품화가 아무렇지 않게 진행되고 있는지 갸우뚱하던 중 나름의 답을 찾기 위해 성공회대 실천여성학전공에 진학했다. 구체적인 사람과 이야기에 집중하는,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물음표를 붙이는, 구성성과 맥락을 탐문하는 페미니즘의 방법론을 동경하고 애정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젠더사회학, 가족사회학, 젠더폭력, 여성정책 등에 관심이 있다. 친밀한 관계 내 폭력, 교제폭력, 여성폭력에 관한 다수의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젠더사회학, 가족사회학, 젠더폭력, 여성정책 등에 관심이 있다. 친밀한 관계 내 폭력, 교제폭력, 여성폭력에 관한 다수의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성폭력상담소 활동가. 깊게 고민하며 새로운 언어를 찾아나가는 반성폭력운동 현장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 매개 성폭력, ‘해로운’ 남성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성폭력상담소 활동가. 깊게 고민하며 새로운 언어를 찾아나가는 반성폭력운동 현장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 매개 성폭력, ‘해로운’ 남성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 필진. 디지털 환경을 경유하는 놀이·창작 문화가 젠더 질서와 어떤 관계를 만들어나가는지, 테크놀로지는 그 영역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
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 필진. 디지털 환경을 경유하는 놀이·창작 문화가 젠더 질서와 어떤 관계를 만들어나가는지, 테크놀로지는 그 영역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
1991년 설립 이후부터 한국 사회의 이분법적 성별 권력관계 구조, 여성의 몸과 성을 규범화하는 통념, 차별과 혐오를 확대하는 사회문화에 맞서 평등하게 관계 맺고 나다운 모습으로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성폭력 피해 생존자 상담 및 지원, 성폭력을 조장하는 사회문화 개선, 여성인권 보장을 위한 법 제/개정 운동 등의 활동을 한다.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우리들의 삶은 동사다》 등 다수의 책을 썼다.
1991년 설립 이후부터 한국 사회의 이분법적 성별 권력관계 구조, 여성의 몸과 성을 규범화하는 통념, 차별과 혐오를 확대하는 사회문화에 맞서 평등하게 관계 맺고 나다운 모습으로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성폭력 피해 생존자 상담 및 지원, 성폭력을 조장하는 사회문화 개선, 여성인권 보장을 위한 법 제/개정 운동 등의 활동을 한다.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우리들의 삶은 동사다》 등 다수의 책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