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교수. ‘질문하고 토론하는 과학’을 추구하는 유튜버.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미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환경미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독성화합물 분해 미생물을 연구했다. 국제 SCI에 미생물 관련 논문을 70여편 발표했다. 연세대학교 입학처장과 생명시스템대학장, 과학문화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환경생물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아빠가 과학을 쉽게 설명해주는 것을 좋아하는 아들 덕분에 유튜브 채널 ‘응생물학’을 시작하게 됐고 이를 계기로 방송과 대중 강연 등을 통해 ...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교수. ‘질문하고 토론하는 과학’을 추구하는 유튜버.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미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환경미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독성화합물 분해 미생물을 연구했다. 국제 SCI에 미생물 관련 논문을 70여편 발표했다. 연세대학교 입학처장과 생명시스템대학장, 과학문화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환경생물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아빠가 과학을 쉽게 설명해주는 것을 좋아하는 아들 덕분에 유튜브 채널 ‘응생물학’을 시작하게 됐고 이를 계기로 방송과 대중 강연 등을 통해 바이오 지식을 쉽고 재밌게 전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최우수강의교수에 선정된 바 있으며 생물학과 인문?예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융합연구에도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생물학의 쓸모』 『술, 질병, 전쟁』 『나는 미생물과 산다』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공저) 등이 있다.
시온산교회 담임목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으로 석사 학위를, 같은 학교 대학원 신학과에서 종교철학 전공으로 박사를 수료했다. 2014년부터 연세미래선도연구사업의 연구원으로 합성생물학과 유전자가위에 대한 융합연구에 참여했으며, 이듬해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각종 강연회와 학회 발표, 저서 출판과 양서 번역 등을 통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의료현장에서의 고통에 대한 과학주의적 접근 비판: 신학적 성찰을 통한 통전적 해방을 위하여”(신학연구), “디지털 인문학 ...
시온산교회 담임목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으로 석사 학위를, 같은 학교 대학원 신학과에서 종교철학 전공으로 박사를 수료했다. 2014년부터 연세미래선도연구사업의 연구원으로 합성생물학과 유전자가위에 대한 융합연구에 참여했으며, 이듬해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각종 강연회와 학회 발표, 저서 출판과 양서 번역 등을 통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의료현장에서의 고통에 대한 과학주의적 접근 비판: 신학적 성찰을 통한 통전적 해방을 위하여”(신학연구),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 종교철학의 역할: ‘내한 선교사 편지(1880-1942)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경험을 통하여“(인문과학)가 있으며, 저서로는 『금계 박건한 목사 설교 연구』, 공저로는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 역서로는 『언더우드 선교사의 미국무부재외공관문서 편지』 등이 있다.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와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에서 문화 간 연구Inter-Cultural Studies와 세계 기독교World Christianity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타자를 향한, 타자와 함께하는 선교』, 『우분투』, 『타자와 책임』, 『Ethical Responsibility Beyond Interpretation』이 있고, 옮긴 책으로 『좋은 세계화 나쁜 세계화』(공역)가 있다.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와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에서 문화 간 연구Inter-Cultural Studies와 세계 기독교World Christianity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타자를 향한, 타자와 함께하는 선교』, 『우분투』, 『타자와 책임』, 『Ethical Responsibility Beyond Interpretation』이 있고, 옮긴 책으로 『좋은 세계화 나쁜 세계화』(공역)가 있다.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의과 대학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3~2004년 밴더빌트 대학교 화학과 및 사이언스 커뮤니케이션 전공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2014년부터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과학기술정책전공 겸직 교수이기도 하다. 과학 연구 외에도 생명과학에 관련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세대학교에서 ‘과학기술과 사회’ 포럼을 만들어 활동하였고, 포럼 참여 교수들 중심으로 2014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의과 대학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3~2004년 밴더빌트 대학교 화학과 및 사이언스 커뮤니케이션 전공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2014년부터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과학기술정책전공 겸직 교수이기도 하다. 과학 연구 외에도 생명과학에 관련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세대학교에서 ‘과학기술과 사회’ 포럼을 만들어 활동하였고, 포럼 참여 교수들 중심으로 2014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내에 과학기술정책전공을 개설했다. 40여 편의 SCI 논문 외에 지은 책으로 『생명』, 『호모 컨버전스』(공저), 『세계 자연사 박물관 여행』, 『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공저), 옮긴 책으로 『미래에서 온 편지』(공역)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오스틴)에서 정책학 석사,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정책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카네기멜론 대학교의 소프트웨어산업센터SWIC에서 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2005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 부임 후 과학기술정책, 정책분석 및 평가, 장관의 임면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였다. 2104년 언더우드 국제대학에 김응빈, 방연상, 송기원 교수와 함께 과학기술정책전공을 설립하여 전공주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CK 사업의 일환...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오스틴)에서 정책학 석사,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정책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카네기멜론 대학교의 소프트웨어산업센터SWIC에서 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2005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 부임 후 과학기술정책, 정책분석 및 평가, 장관의 임면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였다. 2104년 언더우드 국제대학에 김응빈, 방연상, 송기원 교수와 함께 과학기술정책전공을 설립하여 전공주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CK 사업의 일환으로 언더우드 국제대학에 연세사회혁신센터를 설립하여 센터장으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