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늘리는 법은 간단하다. 책을 많이 읽고 생각 풀어내는 연습을 하면서 상황에 적확한 말을 찾도록 노력하면 된다. 마치 교과서 위주로 예습 복습 철저히 하면 공부를 잘할 수 있어요 같은 말처럼 들릴 수 있으나 사실이다. 때문에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갑자기 어휘가 늘어나는 건 아니다. 저자는 학습 방향을 잡아줄 뿐이고 공부는 스스로 해야 한다.
작품 한 편을 읽더라도 낱말 하나하나가 가지는 의미와 어감을 느껴보고, 비슷한 단어로 대체했을 때 생기는 차이를 생각해 보자. 사전에 나오는 표준어에 얽매일 필요 없이 언어 주체성을 살려 나만의 표현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나는 이 책을 어휘력 분야 베스트셀러인 A(가명)와 비교하고 싶다. A는 인기 순위에 꾸준히 올라오는 만큼 후기가 많고 평점도 높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A를 추천하지 않는다. 어렵고 딱딱하고 지루하다. 쉬운 말 놔두고 어려운 단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내 말에 품격이 생기는가. 사투리가 많이 사라지고 표준어로 획일화되어가는 모습이 아쉽다고 해놓고선 직장에서 사투리를 쓰는 직원은 의사소통이 안돼서 싫다고 한다. 목소리조차 듣기 싫다고 몸서리치는 모습에 사투리를 쓰는 나로서는 뜨끔하게 된다. 이건 이래서 싫고, 저건 저래서 꼴 보기 싫다고 하니 오히려 독자가 작가 눈치를 보게 된다.
이에 비해 이 책은 유명하지는 않다. 그럼에도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저자의 시선이 따스하기 때문이다. 30년간 국어 교사로 재직한 이력이 있기 때문일까 '얘야 이것도 좋지만 저것도 좋단다. 이런 관점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하고 가르쳐 주는 듯하다. 사투리에 대해서도 언어를 단지 의사소통 수단으로만 여기지 말고 방언에 담긴 지역민의 삶과 숨결을 느껴보는 기쁨을 누려보라고 한다. 콩글리시 또한 엉터리 영어가 아니라고 한다. 외국어가 우리 문화와 만나 재창조되어 오히려 우리말 어휘를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니 부끄러워하지 말고 사회의 어휘 자산을 늘리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말이다.
많이 배운 사람일수록 과시하기 위해 어려운 어휘를 사용한다고 한다. 유식해 보이고 싶은 헛똑똑이가 되는 것이다. 쉽고 재밌고 아름다운 언어생활을 할 것인가, 아니면 어려운 단어로 품위 넘치는 허영 속에서 살 것인가. 나는 전자가 좋다.
"저는 oo초등학교에 근무하는 000 선생님입니다" (x)
"저는 oo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ooo입니다"(o)
자신을 스스로 높여 소개하는 하는 것은 올바른 어휘 사용법이 아니다. 저는 oo 스님입니다, 저는 oo목사님입니다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어휘는 체계적으로 배울 필요는 없지만 선택이 아니라 필수에 가깝다. 어휘를 늘린다는 것은 교양을 넓히는 일일 뿐 아니라 세상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볼 줄 아는 눈을 기르는 일이다."
그 사람이 쓰는 말을 보면 인격을 가늠할 수 있다. 말이라는 것은 곧 그 사람의 생각에서 비롯된다. 말은 곧 어휘이기도 하다. 어휘가 적으면 알맞은 말을 할 수 없다. 대화가 끊기거나 소통에 어려움을 느낀다. 유식한 말만 하고 행동이 뒤따르지 않는 사람이 있다. 어휘를 자랑삼아 공부만하지 삶이 받쳐주지 않는 사람이 있다. 언행일치가 안 되는 사람들 주위에는 사람들이 모였다가도 실망하여 떨어져 나간다.
어휘를 많이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먼저다. 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어휘를 알아야 한다. 식해와 식혜를 구분할 줄 모른다고 해서 생활하는데 불편한 점은 많지 않지만 상식 없는 사람 취급 당한다. 저자는 어휘를 지역과 상황에 알맞게 사용한 시인들을 예로 들면서 표준어국어사전에는 없지만 시인들이 만들어 낸 어휘야말로 가장 적합한 말이 아니겠냐고 강조한다.
대표적인 시인으로 김소월을 말한다. 대하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 임꺽정의 작가 벽초 홍명희도 빼 놓을 수 없는 우리말을 보존한 이들이다. 동화작가 권정생, 이오덕 선생, 재야 정치인 백기완도 소개한다.
어휘에 조금만 관심이 있다면 얼마든지 공부 할 수 있는 환경이 널려 있다. 국어사전을 일일히 찾아 공부할 필요도 없다. 인터넷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 다음에서 제공하는 고려대한국어대사전만 사용하더라도 왠만한 어휘는 익힐 수 있다. 그래도 뭐니뭐니해도 어휘 실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라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독서를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를 두루두루 한다면 금상첨화다. 관심 분야의 책만 읽는 다면 자칫 편협한 사고를 가질 수 있다. 폭넓은 독서는 자신도 모르게 어휘량을 늘리게 할 것이다.
유유출판사에서 제공하는 '문고판' 책에 자꾸 손이 간다. 책 두께도 얇으면서도 손에 쥐기에 편한 사이즈다. 모르는 분야의 지식을 간결하게 익히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책 읽을 시간 없다고 포기하기보다는 자신에게 적합한 독서 방법을 찾아본다면 분명 길이 있으리라! (어떻게 글을 써다보니 기승전결 독서가 되어 버렸네?)
언젠가부터 머릿속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아졌다.
어휘 늘리는 '법'.
다행이다. '~법'이랜다. 뭔가 법칙이 있나보다.
따라하면 되겠지? 그럼 좀 나아지겠지? 응?
나 그래도 예전에는 제법 말도 잘하고 글도 잘썼는데. 흑. 슬프다.
(그만 쓰려고 해도 150자 이상 써야 한다는 경고창이 계속 뜬다;; 어쩌지.)
가을인데,
집나간 며느리는 전어 구워서 찾는다지만,
집나간 말주변은 이 책이 찾아주려나.
어휘력이 부족한 것 같아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초반에는 어휘력이 부족한 세태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주를 이룹니다.
그리고 어휘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도 길게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휘를 둘러싸고 실제로 일어났던 여러가지 논쟁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리고 겉으로 보이는 단어의 뜻과 속뜻을 다르게 하는 위장 단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언어에는 정치성이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단어가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실제로 기대한 내용 (어휘력 늘리기)은 8장 정도부터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