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조영철,김정희,정지현,박봉수,손영화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북코리아(Bookorea) | 2019년 3월 29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경상계열
파일정보
PDF(DRM) 4.35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1명)

저 : 조영철 (曺永喆)
경인교육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인하대학교에서 문화경영학, 다문화교육학 등을 수학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광역시 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로 약 15년간 근무 후 현재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연구교수 일을 수행하고 있다. 공립학교 초등교사 및 연구원으로서 ‘공립다문화대안학교 체재 및 운영 연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 개발’, ‘세계시민교육 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중장기 정책연구’ 등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 이주민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대표 공저로는 『미래를 걷는 아이들』,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등이 있다. 경인교육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인하대학교에서 문화경영학, 다문화교육학 등을 수학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광역시 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로 약 15년간 근무 후 현재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연구교수 일을 수행하고 있다. 공립학교 초등교사 및 연구원으로서 ‘공립다문화대안학교 체재 및 운영 연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 개발’, ‘세계시민교육 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중장기 정책연구’ 등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 이주민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대표 공저로는 『미래를 걷는 아이들』,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등이 있다.
저 : 김정희 (金正喜)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현재 건국대와 한국항공대에서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으며,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에서 고전서사를 기반으로 한 현대서사의 창작을 연구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남녀관계의 위기와 지속에 대한 서사지도 구축과 문학치료 활용 연구』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사할린 한인 한국어 교육자의 생애 이야기』, 『(서사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공감모형』, 『중국계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동남아시아계 이주민의 생활세계 생애담 연구』 등이 있다.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현재 건국대와 한국항공대에서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으며,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에서 고전서사를 기반으로 한 현대서사의 창작을 연구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남녀관계의 위기와 지속에 대한 서사지도 구축과 문학치료 활용 연구』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사할린 한인 한국어 교육자의 생애 이야기』, 『(서사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공감모형』, 『중국계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동남아시아계 이주민의 생활세계 생애담 연구』 등이 있다.
저 : 정지현 (鄭智賢)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인하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강의하고 있다. 또한 법무부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여성가족부의 다문화이해교육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공저로는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적용』, 『새인하한국어 주교재 1』, 『새인하한국어 익힘책 1』, 『새인하한국어 주 교재 2』, 『새인하한국어 익힘책 2』,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인하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강의하고 있다. 또한 법무부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여성가족부의 다문화이해교육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공저로는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적용』, 『새인하한국어 주교재 1』, 『새인하한국어 익힘책 1』, 『새인하한국어 주 교재 2』, 『새인하한국어 익힘책 2』,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질적연구의 즐거움』, 『사할린 한인들의 다양한 삶과 그 이야기』 등이 있다.
저 : 박봉수 (朴奉秀)
인하대학교에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통과의례 내러티브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디아스포라연구소를 운영하고,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의 초빙 연구원이다. 공동저서로는 『사할린 한인 한국어 교육자의 생애 이야기』, 『사할린 한인의 다양한 삶과 그 이야기』, 『사할린 한인의 노스탤지어 이야기 탐구』,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중국계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 등이 있다. 인하대학교에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통과의례 내러티브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디아스포라연구소를 운영하고,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의 초빙 연구원이다. 공동저서로는 『사할린 한인 한국어 교육자의 생애 이야기』, 『사할린 한인의 다양한 삶과 그 이야기』, 『사할린 한인의 노스탤지어 이야기 탐구』,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중국계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 등이 있다.
저 : 손영화 (孫永和)
한양대학교에서 상법, 경제법 등을 수학하고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명지대학교 지식경제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공정거래법, 소비자법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한국경제법학회, 한국상사판례학회, 한국기업법학회, 한국법정책학회, 한양법학회 등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경쟁법센터 센터장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창업과 법』(공저), 『법의 통섭』(공저), 『주식회사법대계』(공저), 『자본시장법 주석서』(공저), 『기업범죄연구』(공저), 『인터넷과 법』 등이 있으며, 학술논문으로는 「회사분할과 부정당업자 ... 한양대학교에서 상법, 경제법 등을 수학하고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명지대학교 지식경제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공정거래법, 소비자법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한국경제법학회, 한국상사판례학회, 한국기업법학회, 한국법정책학회, 한양법학회 등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경쟁법센터 센터장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창업과 법』(공저), 『법의 통섭』(공저), 『주식회사법대계』(공저), 『자본시장법 주석서』(공저), 『기업범죄연구』(공저), 『인터넷과 법』 등이 있으며, 학술논문으로는 「회사분할과 부정당업자 제재처분의 승계 여부」, 「자회사의 부실에 대한 지원과 모회사 이사의 책임」, 「국내·외 인권정책을 통한 이주민 인권보호의 방향 모색」(공저),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인권침해의 방지 및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저 : 박종도 (朴鍾道)
2013년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의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s에서 “Automated Question Triage for Social Reference: A Study of Adopting Decision Factors from Digital Reference”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문헌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중앙대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계속하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정보학과 정보처리, 목록에 관한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 2013년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의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s에서 “Automated Question Triage for Social Reference: A Study of Adopting Decision Factors from Digital Reference”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문헌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중앙대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계속하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정보학과 정보처리, 목록에 관한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기반의 레퍼런스 서비스인 소셜 레퍼런스 환경에서 이용자들 간의 협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아카이브 구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아카이브의 설계 및 구축과 연구자들 간의 협업 플랫폼 개발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 : 이미정 (李美貞)
인하대학교에서 문화정책, 문화교육 등을 연구하며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중앙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상호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직을 맡고 있다. 아울러 2009년 ‘다문화지도사’ 양성과정 기획 및 운영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다문화 관련 연구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다문화사회교육론』,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등이 있으며, 다문화를 주제로 수십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인하대학교에서 문화정책, 문화교육 등을 연구하며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중앙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상호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직을 맡고 있다. 아울러 2009년 ‘다문화지도사’ 양성과정 기획 및 운영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다문화 관련 연구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다문화사회교육론』,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등이 있으며, 다문화를 주제로 수십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저 : 정경희 (鄭京憙)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교육을 전공했으며, 「대안학교장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생애사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원의 박사후과정을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강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용 다문화가정 케어시스템에 관한 융합적 연구’와 ‘초국적 사회관계망을 활용한 멘토링의 융합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주요 공저로는 『청소년을 위한 사회·문화 핵심 키워드 200』, 『질적연구의 즐거움』이 있다.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교육을 전공했으며, 「대안학교장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생애사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원의 박사후과정을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강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용 다문화가정 케어시스템에 관한 융합적 연구’와 ‘초국적 사회관계망을 활용한 멘토링의 융합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주요 공저로는 『청소년을 위한 사회·문화 핵심 키워드 200』, 『질적연구의 즐거움』이 있다.
저 : 박미숙 (朴美淑)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전공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사회적 실천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BK21+다문화교육사업팀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문화교육 및 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편집국장 및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유학생 관련 30여 편의 소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공저로는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사할린 한인의 노스탤지어 이야기탐구』, 『사할린 한인의 다양한 삶과 그 이야기』 등이 있다.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전공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사회적 실천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BK21+다문화교육사업팀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문화교육 및 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편집국장 및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유학생 관련 30여 편의 소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공저로는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사할린 한인의 노스탤지어 이야기탐구』, 『사할린 한인의 다양한 삶과 그 이야기』 등이 있다.
저 : 오영훈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언어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호남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강의전담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다문화국제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상호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다문화 멘토링 캠프 프로그램 개발」,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교육연극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 다문화교육 관련 논문들이 다수 있으며, 저서로는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대안학교의 실천과 모색』, 『다문화사회교육론』,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등...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언어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호남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강의전담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다문화국제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상호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다문화 멘토링 캠프 프로그램 개발」,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교육연극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 다문화교육 관련 논문들이 다수 있으며, 저서로는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대안학교의 실천과 모색』, 『다문화사회교육론』,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등이 있다. 역서로는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등이 있다.
저 : 김영순 (金永洵)
1965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하였고, 춘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베를린공대 대학원에서 전문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교육학, 언어학 등을 수학하고 문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조선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쳐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원 다문화학과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전국 대학원생 질적연구방법론 캠프 촌장을 맡고 있으며, 시민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965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하였고, 춘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베를린공대 대학원에서 전문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교육학, 언어학 등을 수학하고 문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조선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쳐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원 다문화학과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전국 대학원생 질적연구방법론 캠프 촌장을 맡고 있으며, 시민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리 사회에 문화다양성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BK21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 단장, 탈북다문화멘토링 사업단장, 한국연구재단의 이주민 생활세계 관련 토대 연구의 연구책임자 등을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다문화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질적연구의 즐거움』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이 있다. 연구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200여편을 발표하였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