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 협력

현대사적 조명

신범식,김의영,미우라 히로키,이왕휘,조형진 공편 외 2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푸른길 | 2019년 5월 22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12.6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 협력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7명)

공편 : 신범식
현)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회장,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중앙아시아센터장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박사 서울대러시아연구소장, 슬라브학회 총무이사, KBS객원해설위원 등 역임 2017,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서울: 진인진) 2018, 『지구환경정치의 이해』(편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전략과 초국경 이동』 (서울: 이조) 2021,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현)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회장,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중앙아시아센터장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박사
서울대러시아연구소장, 슬라브학회 총무이사, KBS객원해설위원 등 역임
2017,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서울: 진인진)
2018, 『지구환경정치의 이해』(편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전략과 초국경 이동』 (서울: 이조)
2021,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공편 : 김의영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장과 한국정치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정치경제, 시민사회, 거버넌스 등이고, 최근 연구주제는 사회적 경제, 동네 안의 시민정치, 민주시민교육 등이다. 주요 저서로 《거버넌스의 정치학》(2014), 《한중일 사회적경제 Mapping》(공저, 2015), 《동네 안의 시민정치》(공저, 2015), 《시민정치연감 2019》(공저, 2019) 등이 있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장과 한국정치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정치경제, 시민사회, 거버넌스 등이고, 최근 연구주제는 사회적 경제, 동네 안의 시민정치, 민주시민교육 등이다. 주요 저서로 《거버넌스의 정치학》(2014), 《한중일 사회적경제 Mapping》(공저, 2015), 《동네 안의 시민정치》(공저, 2015), 《시민정치연감 2019》(공저, 2019) 등이 있다.
공편 : 미우라 히로키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
공편 :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미중 전략적 경쟁,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풀어야 하나』(202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2021),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2021), 「"South Korea, Taiwan, Hong Kong, Singapore and Covid-19.” Covid-19 and Governance: Crisis Reveals (London: Routledge)」 등이 있다. Wang Hw...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미중 전략적 경쟁,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풀어야 하나』(202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2021),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2021), 「"South Korea, Taiwan, Hong Kong, Singapore and Covid-19.” Covid-19 and Governance: Crisis Reveals (London: Routledge)」 등이 있다.

Wang Hwi LEE is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where he has taught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ince 2006.
공편 : 조형진 (曺亨?)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외교와 농촌 문제, 한·중 관계 등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 협력』(2019, 공저),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와 중국-한반도 관계』(2018, 공저), 역서로는 『중국의 변강정책과 일대일로』(2021, 공역), 『삼농과 삼치: 중국 농촌의 토대와 상부구조』(2020) 등이 있다. 조형진 교수는 이 책의 ‘4장 중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중국몽과 다자주의 국제질서의 실...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외교와 농촌 문제, 한·중 관계 등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 협력』(2019, 공저),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와 중국-한반도 관계』(2018, 공저), 역서로는 『중국의 변강정책과 일대일로』(2021, 공역), 『삼농과 삼치: 중국 농촌의 토대와 상부구조』(2020) 등이 있다. 조형진 교수는 이 책의 ‘4장 중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중국몽과 다자주의 국제질서의 실현’을 집필했다.
공편 : 최운도
동북아역사재단 한일관계연구소 연구위원 동북아역사재단 한일관계연구소 연구위원
공편 : 최희식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이다. 『전후 한일관계 70년』(선인, 2016), 『日韓?係史 1965-2015 I: 政治』(공저, 東京大?出版?, 2015),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14), 『박정희 시대 한일관계의 재조명』(공저, 선인, 2011), 『?史としての日韓?交正常化 Ⅱ: ?植民地化編』(공저, 法政大?出版局, 2011)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이다. 『전후 한일관계 70년』(선인, 2016), 『日韓?係史 1965-2015 I: 政治』(공저, 東京大?出版?, 2015),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14), 『박정희 시대 한일관계의 재조명』(공저, 선인, 2011), 『?史としての日韓?交正常化 Ⅱ: ?植民地化編』(공저, 法政大?出版局, 2011)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