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촛불집회와 다중운동

장우영 저/조희정,이현출,도묘연,김범수 등저 외 4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0년 4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3.3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9명)

저 : 장우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2003년 건국대학교에서 “인터넷 거버넌스의 정치: 규제레짐 제도화의 비교 연구”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촛불집회”, “소셜네트워크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공저, 2012), 『소셜네트워크와 선거』(공저, 2013), 『지방정치의 이해』(공저, 2016), 『촛불집회와 다중운동』(공저, 2018),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공저, 2021) 등이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2003년 건국대학교에서 “인터넷 거버넌스의 정치: 규제레짐 제도화의 비교 연구”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촛불집회”, “소셜네트워크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공저, 2012), 『소셜네트워크와 선거』(공저, 2013), 『지방정치의 이해』(공저, 2016), 『촛불집회와 다중운동』(공저, 2018),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공저, 2021) 등이 있다.
등저 : 조희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SSK 지역재생연구팀 전임연구원(정치학 박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국회입법조사처에서 근무했다. 저서 『네트워크 사회의 정치와 민주주의: 정부·정당·시민사회의 변화와 전망』, 『민주주의의 기술: 미국의 온라인 선거운동』, 『민주주의의 전환: 온라인 선거운동의 이론·사례·제도』, 『시민기술, 네트워크 사회의 공유경제와 정치』, 『로컬, 새로운 미래』, 『민주주의는 기술을 선택한다』, 공저 『미국 전자투표』, 『온라인 국민참여 확대』, 『소셜 미디어와 정부 PR』, 『공동체의 오늘, 온라인 커뮤니티』, 『시민이 만든 민주주의』, 『로컬의 진화』, 『스마트 도...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SSK 지역재생연구팀 전임연구원(정치학 박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국회입법조사처에서 근무했다. 저서 『네트워크 사회의 정치와 민주주의: 정부·정당·시민사회의 변화와 전망』, 『민주주의의 기술: 미국의 온라인 선거운동』, 『민주주의의 전환: 온라인 선거운동의 이론·사례·제도』, 『시민기술, 네트워크 사회의 공유경제와 정치』, 『로컬, 새로운 미래』, 『민주주의는 기술을 선택한다』, 공저 『미국 전자투표』, 『온라인 국민참여 확대』, 『소셜 미디어와 정부 PR』, 『공동체의 오늘, 온라인 커뮤니티』, 『시민이 만든 민주주의』, 『로컬의 진화』, 『스마트 도시 리빙랩 워크북』, 『서울에서 청년하다』, 『로컬에서 청년하다』, 『제3의 창업시대: 로컬, 청년, 사회』, 공동 번역서 『마을의 진화: 산골 마을 가미야마에서 만난 미래』, 『인구의 진화: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관계인구 만들기』, 『시골의 진화: 고향납세의 기적, 가미시호로 이야기』, 『창업의 진화: 로컬벤처와 지역재생』, 『로컬의 발견: 제3의 장소와 관계인구』, 『마을 만들기 환상: 지역재생은 왜 이렇게까지 실패하는가』를 비롯한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등저 : 이현출
건국대학교에서 법학사를,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박사 후 연수를 했다. 한국정당학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국회혁신자문위원,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의회, 정당, 선거, 한국 정치 등이다. 지금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대외협력처장, 시민정치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아시아공동체론』(공저) 『세계화 시대의 한국 정치과정』 『21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화』(공저) 「Population Aging and Korean Society」 「Silver Generatio... 건국대학교에서 법학사를,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박사 후 연수를 했다. 한국정당학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국회혁신자문위원,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의회, 정당, 선거, 한국 정치 등이다. 지금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대외협력처장, 시민정치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아시아공동체론』(공저) 『세계화 시대의 한국 정치과정』 『21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화』(공저) 「Population Aging and Korean Society」 「Silver Generation’s Counter-movement in the Information Age」 등이 있다.
등저 : 도묘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강사 주요저서 및 논문 『촛불집회와 다중운동』 (2019, 공저) “한국 대중의 이념정향이 포퓰리즘 성향에 미치는 영향”(2021) “한국 대중의 포퓰리즘 성향이 시위 참가에 미치는 영향”(2021) “선거여론 조사 예측성의 결정요인: 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선전화 조사방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2020) “한국 포퓰리즘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경제적 및 정치적 위기의 관점”(2020)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강사
주요저서 및 논문
『촛불집회와 다중운동』 (2019, 공저)
“한국 대중의 이념정향이 포퓰리즘 성향에 미치는 영향”(2021)
“한국 대중의 포퓰리즘 성향이 시위 참가에 미치는 영향”(2021)
“선거여론 조사 예측성의 결정요인: 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선전화 조사방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2020)
“한국 포퓰리즘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경제적 및 정치적 위기의 관점”(2020)
등저 : 김범수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디지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저서로는 『네트워크와 혐오사회』(한울, 2021)(공저),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한울, 2015)(공저)가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디지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저서로는 『네트워크와 혐오사회』(한울, 2021)(공저),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한울, 2015)(공저)가 있다.
등저 : 변창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저 : 송경재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교수이다.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교수이다.
등저 : 차재권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미국 University of Kansas에서 ‘Government’s Credible Commitment in Korean Industrial Development: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Agriculture, Shipbuilding, Finance, Textiles’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아 현재 부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시민정책공방소장(2013~2016), 한국시민윤리학회회장(2014), 한국지방정치학회회장(2016~2019), 국회의장 자문위원(2017~2018)을 역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미국 University of Kansas에서 ‘Government’s Credible Commitment in Korean Industrial Development: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Agriculture, Shipbuilding, Finance, Textiles’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아 현재 부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시민정책공방소장(2013~2016), 한국시민윤리학회회장(2014), 한국지방정치학회회장(2016~2019), 국회의장 자문위원(2017~2018)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장,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전공분야는 비교정치이며 (국제)정치경제, 지방정치, IT정치, 여성, 환경 등이 주요 관심분야이다. 대표논문으로는“Challenging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Evidence from South Korea”(The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 Research, 2019), “도시 선거구에서 대규모 인구변동과 투표행태 변화: 부산지역 6.13 지방선거에서 대단지 아파트 효과를 중심으로”(『정치·정보연구』, 2020), “지방정부신뢰의 주요 정부요인: 대전광역시 사례 연구”(『한국행정학보』, 2020) 등이 있으며, 촛불집회와 다중운동(한국학술정보, 2019),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치학자들의 관찰(푸른길, 2018), 지방정치의 이해(박영사, 2016), 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 2014), 지방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 2012) 등이 있다.(jkcha@pknu.ac.kr)
등저 : 임혁백
현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다. 서울대에서 정치학 학사,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그는 광주과학기술원 (GIST)에서 석좌교수, 세계정치학회 (IPSA) 집행위원, 고려대 정책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조지타운대, 듀크대, 스탠퍼드대에서 강의를 했고 존스 홉킨스대 SAIS와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에서 연구를 했다. 그는 김대중대통령과 노무현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이었고, 통일 부, 국방부,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자문을 하였다. 임혁백 교수는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상 (2015),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2010),... 현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다. 서울대에서 정치학 학사,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그는 광주과학기술원 (GIST)에서 석좌교수, 세계정치학회 (IPSA) 집행위원, 고려대 정책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조지타운대, 듀크대, 스탠퍼드대에서 강의를 했고 존스 홉킨스대 SAIS와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에서 연구를 했다. 그는 김대중대통령과 노무현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이었고, 통일 부, 국방부,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자문을 하였다. 임혁백 교수는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상 (2015),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2010), ICAS (아시아학자세 계총회) 우수학술도서상 (2017)을 수상하였고, 홍조근정훈장(2003)을 받았다.

최근에 출판된 임교수의 저서는 『Democratization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1960-Present』(Palgrave Macmillan, 2020),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기』(김영사,2021), 『비동시성의 동시성: 한국 근대정치의 다중적 시간』(고려대 출판부, 2014), 『The Possibility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NU Press, 2017) 등이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