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미디어콘텐츠 4.0

김원제,조항민,최부헌,송해룡,김찬원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0년 4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언론/미디어
파일정보
PDF(DRM) 7.4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1명)

저 : 김원제
중앙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유플러스연구소 연구소장(대표이사), 성균관대 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2017), 《미디어스포츠 사회학》(2016 개정판),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한국사회 위험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스펙트럼》(2014,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앙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유플러스연구소 연구소장(대표이사), 성균관대 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2017), 《미디어스포츠 사회학》(2016 개정판),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한국사회 위험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스펙트럼》(2014,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구텐베르크 갤럭시》(2012,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스마트 미디어 콘텐츠 인사이트》(2011, 공저), 《콘텐츠 실크로드 미디어 오디세이》(2009,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퓨전테크 그리고 퓨전비즈》(2007,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스포츠코리아》(2006), 《문화콘텐츠 블루오션》(2005, 공저) 등이 있다.
저 : 조항민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과 성격특성을 적용한 메타버스 사용의도”(공동, 2024), “증강현실 기반 K-Pop 콘서트 지속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과 만족을 중심으로”(공동, 2023), “독립잡지의 개념 규정 및 유형화 연구”(공동, 2023) 등 다수의 논문을 KCI등재지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넥스트 노멀』(공저, 2020), 『미디어콘텐츠 4.0』(공저, 2019), 『디지털 시대 과학기술 저널리즘』(2017),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과 성격특성을 적용한 메타버스 사용의도”(공동, 2024), “증강현실 기반 K-Pop 콘서트 지속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과 만족을 중심으로”(공동, 2023), “독립잡지의 개념 규정 및 유형화 연구”(공동, 2023) 등 다수의 논문을 KCI등재지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넥스트 노멀』(공저, 2020), 『미디어콘텐츠 4.0』(공저, 2019), 『디지털 시대 과학기술 저널리즘』(2017), 『과학기술 미디어와 만나다』(2014) 등 다수가 있다. 현재 IAAE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자문위원이다.
저 : 최부헌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화융합학 석사와 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광복 70주년 유라시아 친선특급 도라산역’(외교부) 등 다수의 행사를 기획 총괄했고, “뮤지컬 덕혜옹주”(성수아트홀), “국악단 소리개 2016 정기공연”(국립국악원 예악당) 등 여러 공연을 공동제작 또는 제작 총괄했다.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 수용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2021), “스마트시니어의 가상현실 실감콘텐츠 사용자 경험과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2021) 등 다수의 논문을 KCI 등재지에 게재했다. 주...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화융합학 석사와 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광복 70주년 유라시아 친선특급 도라산역’(외교부) 등 다수의 행사를 기획 총괄했고, “뮤지컬 덕혜옹주”(성수아트홀), “국악단 소리개 2016 정기공연”(국립국악원 예악당) 등 여러 공연을 공동제작 또는 제작 총괄했다.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 수용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2021), “스마트시니어의 가상현실 실감콘텐츠 사용자 경험과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2021) 등 다수의 논문을 KCI 등재지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콘텐츠 4.0』(공저, 2019), 『시니어 비즈니스 블루오션』(공저, 2018)이 있다. 현재 호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단장과 K-컬쳐테크융합원 원장, RIS지역혁신자율사업단 단장, 전북특별자치도 도정자문단 미래기획단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 : 송해룡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한국방송학회장, 성균관대 사회대 학장을 역임했으며 문화융합대학원장으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저서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과제》(2017),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스포츠와 문명화 : 즐거움에 대한 탐구》(2014, 역저),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크 현실과 진단》(2014, 공저), 《위험 사회와 위험 인식 :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갈등 구조》(20...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한국방송학회장, 성균관대 사회대 학장을 역임했으며 문화융합대학원장으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저서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과제》(2017),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스포츠와 문명화 : 즐거움에 대한 탐구》(2014, 역저),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크 현실과 진단》(2014, 공저), 《위험 사회와 위험 인식 :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갈등 구조》(2014), 《한국사회 위험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스펙트럼》(2014,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위험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와 공론장》(2012), 《미디어 비즈니스 시장과 생태계》(2010), 《미디어 2.0과 콘텐츠 생태계 패러다임》(2009), 《디지털미디어 길라잡이》(2007, 공저), 《대한민국은 지금 체험지향사회》(2006, 공저) 등이 있다.
저 : 김찬원
호원대학교 K-미래인재대학 연구 교수다.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 학습자의 ChatGPT 사용의도: 개인 혁신성과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2024),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과 성격특성을 적용한 메타버스 사용의도”(공동, 2024), “증강현실 광고의 소비자효과”(공동, 2023),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OTT 서비스 지속사용의도 영향 요인: 넷플릭스 사용자의 성별, 연령의 조절효과”(공동, 2023) 등 다수의 논문을 KCI 등재지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넥스트 노멀... 호원대학교 K-미래인재대학 연구 교수다.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 학습자의 ChatGPT 사용의도: 개인 혁신성과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2024),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과 성격특성을 적용한 메타버스 사용의도”(공동, 2024), “증강현실 광고의 소비자효과”(공동, 2023),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OTT 서비스 지속사용의도 영향 요인: 넷플릭스 사용자의 성별, 연령의 조절효과”(공동, 2023) 등 다수의 논문을 KCI 등재지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넥스트 노멀』(공저, 2020), 『미디어콘텐츠 4.0』(공저, 2019), 『위험블랙홀: 위험한 세상에서 살아남기』(2019), 『과학기술, 첨단의 10대 리스크』(공저, 2016) 등 다수가 있다.
저 : 이윤경
성균관대 학부대학 초빙교수 성균관대 학부대학 초빙교수
저 : 최현주
원자력안전위원회 소통연구원 원자력안전위원회 소통연구원
저 : 권영성
동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동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저 : 허난영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 예술학협동과정에서 공연예술학을 전공하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 7월 세종문화회관이 재단법인으로 출범하면서 공연장과 인연을 맺었다. 서울시오페라단과 함께 ‘베르디 빅5’ 작품 제작에 참여하였고, 문화나눔 ‘함께해요! 나눔예술’ 등을 기획하였다. 2009년 예술단지원팀장으로 예술단체와의 협력관계가 긴밀해지면서 공연예술에 대한 애정이 더해가고, 더불어 본질적 딜레마가 보다 깊이 다가왔다. 2018년 공연기획팀장으로 세종문화회관 개관 40주년 기념 축제 프로그램 기획, S씨어터 개관 프로그래밍과 브랜드 전략을 수행하면...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 예술학협동과정에서 공연예술학을 전공하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 7월 세종문화회관이 재단법인으로 출범하면서 공연장과 인연을 맺었다. 서울시오페라단과 함께 ‘베르디 빅5’ 작품 제작에 참여하였고, 문화나눔 ‘함께해요! 나눔예술’ 등을 기획하였다. 2009년 예술단지원팀장으로 예술단체와의 협력관계가 긴밀해지면서 공연예술에 대한 애정이 더해가고, 더불어 본질적 딜레마가 보다 깊이 다가왔다.

2018년 공연기획팀장으로 세종문화회관 개관 40주년 기념 축제 프로그램 기획, S씨어터 개관 프로그래밍과 브랜드 전략을 수행하면서 ‘공간’이 부여하는 의미를 재발견하였다. 세종문화회관에서 20여 년간을 일하면서 예술단체와 공연장 운영은 소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공연예술콘텐츠, 공공공연장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체계화하는 데 밑그림이 되고 있다.

현재, 세종문화회관 예술단전략팀장으로 공연예술기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망을 모색하고 있으며,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공연예술기획 연구〉와 〈예술경영 세미나〉를 가르치고 있다.
저 : 이용준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회장과 대진대학교 정보전산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간행물윤리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규제개혁위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영상미디어문화콘텐츠위원회 위원장, 한국언론학회 출판과 커뮤니케이션연구회 회장,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영국 Center for Publishing of Stirling University의 Visiting Researcher를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회장과 대진대학교 정보전산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간행물윤리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규제개혁위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영상미디어문화콘텐츠위원회 위원장, 한국언론학회 출판과 커뮤니케이션연구회 회장,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영국 Center for Publishing of Stirling University의 Visiting Researcher를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구텐베르크의 귀환](2012,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전자책 빅뱅](2010, 공저) 등이 있다.
저 : 고두희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수료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수료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