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오늘부터 쓰면 된다

첫 문장에서 책 쓰기까지 독학 글쓰기

유인창 | 끌리는책 | 2020년 7월 30일 한줄평 총점 6.0 (2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1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1건)
분야
자기계발 > 창조적사고
파일정보
EPUB(DRM) 34.81MB
지원기기
iOS Android PC Mac E-INK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누구나 쓰고 싶은 글이 있다



각종 지면과 SNS에는 많은 글이 넘친다. 문학 전공자가 아니어도 글을 쓰고 책을 출간하는 시대다. 누구나 작가가 되고 저자가 되는 시대다. 세상을 향해 또는 누군가를 향해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쓴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나도 하고 싶은 말을 글로 표현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선뜻 써지지 않는다. 글은 잘 쓰는 사람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니까. 글은 말을 문자로 표현하는 도구일 뿐인데, 우리는 글쓰기를 두려워하고 어려워한다. 타고난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며 하고 싶은 말을 글로 펼칠 용기를 내지 못한다. 내 일상을, 내 이야기를, 내 지식과 경험을 글로 쓰고 싶은데 말이다. 타고나지 않은 글재주를 탓하면서 머뭇거리지 말자. 누군가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누군가 들어주었으면 하는 말이 있다면 일단 써보자. 좋은 글쓰기를 위한 방법을 『오늘부터 쓰면 된다』에 담았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프롤로그_글쓰기는 혼자 해내는 일

1. 오늘부터 쓰면 된다
누구나 하고 싶은 말이 있다
한 명의 독자에게
지금이 아니면 언제
글은 기교가 아니라 몸
몸이 글이 되어야
생각은 신기루다
삐딱하게 생각하라
데드라인 글쓰기
글쓰기에도 공부가 필요하다
글쓰기 책, 어떤 게 좋을까
불편한 책 읽기와 글쓰기
좋은 글귀가 항상 좋은 건 아니다
첫 문장은 그냥 첫 문장일 뿐
책 쓰기 전에 읽기부터

2. 하고 싶은 말과 읽고 싶은 글의 경계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3요소
마음을 움직이는 공감의 글쓰기
설명하지 말고 보여주라
디테일! 디테일! 디테일!
그대가 보기에 좋았더라
중2가 독자라고 생각하라
독자의 언어를 사용하라
독자가 궁금하지 않게
하나의 목소리로
늘어놓기와 몰아가기
글을 쓰다 중구난방이 된다면
한 놈만 팬다
제목의 힘
제목, 어떻게 만들까

3. 품격 있는 글이 되려면
표기 하나가 글을 잡아먹는다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
글도 다이어트를 해야 할 때
‘그’ 접속부사를 줄이려면
‘것, 것이다’를 줄이려면
육계장을 먹을까, 육개장을 먹을까
소똥은 소똥일 뿐

4. 좋은 문장, 좋은 글, 좋은 표현은?
어설픈 기교보다 기본이 낫다
같은 단어, 같은 표현의 식상함
꼭 짧게 써야 할까?
단문 만들기
열려라! 문장 창고
남의 글 훔치기
글 쓰는 사람의 생각법
글 쓰는 사람의 독서법
역피라미드 글쓰기
글의 설계도 만들기

5. 보고 또 봐야 잘 읽힌다
퇴고는 꼭 해야 할까?
퇴고하는 눈을 밝게 하려면
키울 건 키우고, 줄일 건 줄이고, 버릴 건 버리고
죽이는 글쓰기
내 글과 이별하라
퇴고와 ‘문장의 재구성’
퇴고와 ‘내용의 재구성’
블랙리스트가 필요해
퇴고는 꼭 출력해서
소리 내어 읽으며 마무리하기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명)

저 : 유인창
글을 읽고 신문을 만드는 편집기자로 오랫동안 일했다. 글을 보면 습관처럼 메시지가 무엇인지 어떻게 전달하려는지 살핀다. 남의 글만 읽다가 내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에 틈틈이 몇 권의 책을 냈다. 쓰고 읽는 것이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기에 누구에게나 글쓰기를 권한다. 작은 커뮤니티에서 책 쓰고 글 쓰는 모임을 꾸리기도 했다. 문화일보 편집부에서 지금도 읽고 쓰는 일을 한다. 지은 책으로 『마흔 살의 책읽기』, 『꿈을 꾸지는 않지만 절망하지도 않아』, 『명상록을 읽는 시간』이 있다. 글을 읽고 신문을 만드는 편집기자로 오랫동안 일했다. 글을 보면 습관처럼 메시지가 무엇인지 어떻게 전달하려는지 살핀다. 남의 글만 읽다가 내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에 틈틈이 몇 권의 책을 냈다. 쓰고 읽는 것이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기에 누구에게나 글쓰기를 권한다. 작은 커뮤니티에서 책 쓰고 글 쓰는 모임을 꾸리기도 했다. 문화일보 편집부에서 지금도 읽고 쓰는 일을 한다. 지은 책으로 『마흔 살의 책읽기』, 『꿈을 꾸지는 않지만 절망하지도 않아』, 『명상록을 읽는 시간』이 있다.

출판사 리뷰

글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많은 작가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글쓰기 비결은 무엇일까? ‘당장 쓰는 것’이고 ‘꾸준히 쓰는 것’이다. 뛰어난 문학작품을 펴낸 작가들도 글은 엉덩이로 쓴다거나 글 실력은 앉아 있는 시간에 비례한다고 강조한다. 세계적인 작가 헤밍웨이도 자신의 창작 활동 비결을 “여하튼 매일 정해진 시간에 책상에 앉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타고난 재능이나 오랜 시간 습작의 시간을 거쳐야 하는 소설과 시 같은 문학작품을 쓰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다. 하고 싶은 말이나 지식과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는 글쓰기를 하고 싶을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써야 할까? 저자는 단 한 명의 구체적인 독자를 정해보라고 권한다. 그 사람과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듯 글쓰기를 시작하라고 권한다.

글쓰기에도 공부가 필요하다. 문법과 맞춤법 등의 기본기를 갖추지 않은 글은 독자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다. 조금 더 많은 사람이 읽어주길 바라고, 제대로 된 글쓰기를 하고 싶다면 기본기 정도는 공부할 것을 권한다. 글을 잘 쓰려면? 누군가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고 공감할 수 있게 쓰려면?

글쓰기에 관한 책은 많지만 모든 책을 다 읽을 수는 없다. 자신에게 필요한,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에 도움이 되는 책을 몇 권 찾아서 정독하고, 실제 글쓰기에 적용해보는 방법이 좋다. 나만의 이야기, 나만의 경험을 잘 쓰는 것도 필요하지만, 사실 확인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인터넷에 떠도는 이야기를 사실 확인 없이 인용한다면 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뿐 아니라 글을 쓴 사람에 대한 믿음 역시 추락하기 때문이다. 쓰고 싶은 글이 있다면 수시로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고, 남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는 훈련도 해두면 좋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 주체할 수 없을 때는 나만의 데드라인을 정하고 글쓰기를 시작하는 방법도 시도해볼 만하다.

하고 싶은 말을 읽고 싶은 글이 되게 하려면

저자가 이 책에서 강조하는 말 중 하나는 독자가 읽기 쉽게 쓰라는 것이다. 중2 정도를 독자로 가정해서 어려운 용어는 풀어 써주고, 되도록 짧은 문장으로, 비문이 아닌 바른 문장으로 쓸 것을 당부한다.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으면서도 읽는 사람이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묘사해주면 좋다. 이해 못하는 내용 때문에 읽기가 중단되지 않도록 배려하라는 이야기다. 한 꼭지에는 한 가지 주제만을 일관성 있게 펼치면서 하나의 목소리로 써내려가야 한다.

글에도 품격이 있어야 한다. 유려한 묘사가 글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기본에 충실한 문장들이 모여 글 전체의 품격을 높인다. 말하기처럼 글을 쓰다 보면 앞뒤가 안 맞거나 주어와 술어가 헷갈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길게 쓰는 문장일수록 그렇게 될 가능성이 더 높다. 짧고 간결한 문장은 읽는 사람에게 혼란을 주지 않으면서 잘 읽히는 문장이 된다. 또한 상식적인 맞춤법 정도는 익히고, 지명이나 인명 표기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 쓰는 접속사는 너무 자주 쓰면 군더더기만 가득한 글로 바뀌고 만다. 접속사 없이 글을 써보는 연습도 필요하다.

글도 마무리가 중요하다

퇴고는 글을 쓰고 나서 다듬고 고치는 작업을 말한다. 더 강조할 내용은 보완하고 줄이거나 버릴 내용을 구별해내는 일이다. 글을 쓸 때 뜨거운 마음으로 열정을 가지고 썼다면 퇴고할 때는 차가운 이성으로 냉정하게 고쳐야 한다. 퇴고는 자신의 글을 세상에 내놓기 전에 객관화하는 과정이다. 『유혹하는 글쓰기』의 저자 스티븐 킹이 글을 써놓은 후 6주 동안 보지 말라고 충고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저자는 퇴고할 때는 꼭 출력해서 수정할 것을 권한다. 그리고 반드시 소리 내어 읽으면서 퇴고하라고 강조한다. 자주 틀리는 표현은 따로 모아 메모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렇게 퇴고를 거치고 나면 실수와 흠결이 최대한 줄어든 부끄럽지 않은 글쓰기를 할 수 있다. 때로 글쓰기는 책 쓰기로 이어진다. 그러나 저자는 글을 쓰다 보면 책을 쓸 수 있고 책이 잘 팔릴 수도 있지만, 잘 팔리는 책을 쓰기 위해 글을 쓰지는 말자고 이야기한다. 책을 쓰는 건 나를 들여다보고 삶의 방식을 바꾸는 도약대를 만드는 행복한 고통이므로, 그 자체로 글쓰기를 즐겨보라고 조언한다.

종이책 회원 리뷰 (1건)

구매 가제목을 정하고 한놈만 팬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YES마니아 : 로얄 f**5 | 2020.06.22
그동안 나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고, 글쓰는 것을 좋아하며 이런 저런 글들을 많이 써 봤다. 회사에서의 일, 가족들과의 특별한 추억, 운동을 했던 스토리 등을 어떤 압박이 아닌 자유 형식으로 자주 써 왔다. 그런 이유로, 주로 엔지니어인 주변에서는 문작가, 문기자라는 애칭을 얻기도 했다. 그러나, 어느 정도 글쓰기에 자신감이 있었지만, 항상 뒤에 읽어보면 무언가 아쉬움이 남았다.
글쓰기에 대한 온라인 교육 과정을 찾던 중, 서점에서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오늘부터 쓰면 된다” 항상 시작이 어렵고,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을 끌어당기는 것 같았다.
편집 기자 출신의 저자이기에, 문장은 엄청 간결했다. 내 글의 수많은 접속사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문장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중간 부분에 나온, “가제목을 정하고 쓰기, 한놈만 팬다” 에서는 내가 그동안 너무 많은 내용을 적기 위해 방향성과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잃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 동안 내 글의 지루함과 공허함의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글쓰기, 누구나 처음은 어렵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당장 오늘부터, 지금 당장부터 한 문장을 시작할 수 있는 자신감을 주고 있다. 많은 분들이 이 책과 함께 글쓰기의 세상으로 들어오길 바란다.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접어보기
  •  종이책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줄평 (1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