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삶의질학회 회장이다. 조직사회학, 사회불평등, 삶의 질, 예술과 사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저서로 『한국 사회의 제도에 대한 신뢰』(2008), 『위기의 대한민국 이렇게 바꾸자』(공저, 2016), 『초고령 사회, 조직 활력을 어떻게 높일까: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공저, 2017), 『대한민국 시스템, 지속가능한가?』(공저, 2018), 주요 논저로는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2018), 『커넥트 파...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삶의질학회 회장이다. 조직사회학, 사회불평등, 삶의 질, 예술과 사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저서로 『한국 사회의 제도에 대한 신뢰』(2008), 『위기의 대한민국 이렇게 바꾸자』(공저, 2016), 『초고령 사회, 조직 활력을 어떻게 높일까: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공저, 2017), 『대한민국 시스템, 지속가능한가?』(공저, 2018), 주요 논저로는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2018), 『커넥트 파워: 초연결 세상은 비즈니스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가?』(201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Recognition in Art World as Social Process: The Case of Oscar and Daejong Film Awards(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017)」, 「사회과학에서의 복잡계 연구: 창발과 적응 지형을 중심으로」(새물리, 2017),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2017), 「평가 지표는 대학의 연구와 교육을 어떻게 바꾸는가: 사회학을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초빙석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사회사, 종교사회학, 공동체와 아이덴티티,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쳤다. 저서로는 「다시 대한민국을 묻는다」(공저), 「남북통합지수 1989~2007」(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을 설립, 초대원장으로 10년간 재임하면서 남북관계와 평화연구의 확산에 힘을 쏟았다.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규슈대학 한국학연구소 객원교수, 미국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교환교수, 서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초빙석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사회사, 종교사회학, 공동체와 아이덴티티,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쳤다. 저서로는 「다시 대한민국을 묻는다」(공저), 「남북통합지수 1989~2007」(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을 설립, 초대원장으로 10년간 재임하면서 남북관계와 평화연구의 확산에 힘을 쏟았다.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규슈대학 한국학연구소 객원교수, 미국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교환교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 한국사회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사회교환이론에 기반을 둔 경제 현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이다.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는 예술, 역사, 대중음악, 문학, SNS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위와 성과, 권력과 구조 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카이스트의 공학자, 자연과학자들과 함께 다양한 데이터 기반 융합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사회교환이론에 기반을 둔 경제 현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이다.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는 예술, 역사, 대중음악, 문학, SNS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위와 성과, 권력과 구조 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카이스트의 공학자, 자연과학자들과 함께 다양한 데이터 기반 융합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코넬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제조직과 수리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데이터 사이언스와 디지털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세계적인 학술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ICWSM’, ‘WWW’ 등의 학회에서 연구를 발표했다. 현재 한국조사연구학회 편집위원장, 디지털소사이어티 사회전환분과위원장,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코넬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제조직과 수리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데이터 사이언스와 디지털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세계적인 학술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ICWSM’, ‘WWW’ 등의 학회에서 연구를 발표했다. 현재 한국조사연구학회 편집위원장, 디지털소사이어티 사회전환분과위원장,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연세대에서 사회학과 불문학 학사, 동 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그리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노사관계대학원(ILR Schoo) 조직행동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직이론, 창업과 기업가정신,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에서 사회학과 불문학 학사, 동 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그리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노사관계대학원(ILR Schoo) 조직행동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직이론, 창업과 기업가정신,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절망의 한국에서 희망을 찾는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한국의 과거를 진단하고 미래를 그리는 사회학자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경제의 사회학』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가치』 『아시아는 통한다』 『세월호가 우리에게 묻다』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
절망의 한국에서 희망을 찾는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한국의 과거를 진단하고 미래를 그리는 사회학자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경제의 사회학』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가치』 『아시아는 통한다』 『세월호가 우리에게 묻다』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아픈 사회를 넘어』 『기업시민의 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