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금융과 경제의 역사를 독학하고 정리했다. 사내 강사로 활동하던 시절, 신입사원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원들에게 회계 교육을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경제적 배경지식을 쌓고 경제관념을 세우는 일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되었다. 가정에서는 자녀들과 경제 이야기를 나누며,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갈 자녀에게 경제사를 명확히 알려주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그렇게 한 권으로 정리된 경제 교양서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수년간 핵심 내용을 정리했다. 독자들이 ‘돈’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472년 신대륙 발견 이후...
10년간 금융과 경제의 역사를 독학하고 정리했다. 사내 강사로 활동하던 시절, 신입사원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원들에게 회계 교육을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경제적 배경지식을 쌓고 경제관념을 세우는 일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되었다. 가정에서는 자녀들과 경제 이야기를 나누며,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갈 자녀에게 경제사를 명확히 알려주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그렇게 한 권으로 정리된 경제 교양서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수년간 핵심 내용을 정리했다. 독자들이 ‘돈’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472년 신대륙 발견 이후부터 2008년 금융위기까지의 미국 경제사를 브런치에 연재하기도 했다. 현재 기업 회계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회계가 직장에서 이토록 쓸모 있을 줄이야』가 있다.
뼛속까지 문과, 지독한 숫자 알레르기를 가진 직장인. 입사 이후 전공과 전혀 무관한 홍보, 마케팅, 운영 직무를 두루두루 거쳐왔다. 최근에는 기획업무에 첫발을 내디뎠으나, 회계의 높은 벽에 부딪혀 눈앞이 하얘지는 경험을 했다. ‘일단 한번 해보고’ 정신으로 온몸으로 부딪치며 회계를 배워가는 중이다. 같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많은 회계 초보자들을 위해 용감하게 이 책의 집필 작업에 참여했다.
뼛속까지 문과, 지독한 숫자 알레르기를 가진 직장인. 입사 이후 전공과 전혀 무관한 홍보, 마케팅, 운영 직무를 두루두루 거쳐왔다. 최근에는 기획업무에 첫발을 내디뎠으나, 회계의 높은 벽에 부딪혀 눈앞이 하얘지는 경험을 했다. ‘일단 한번 해보고’ 정신으로 온몸으로 부딪치며 회계를 배워가는 중이다. 같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많은 회계 초보자들을 위해 용감하게 이 책의 집필 작업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