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동기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김동환,김령환,김억조,김학훈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문화사 | 2021년 4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언어학
파일정보
PDF(DRM) 4.9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동기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책 소개

저자 소개 (11명)

저 : 임지룡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어 의미론』(2018),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21)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심리언어학』(1993), 『언어의 의미』(2002), 『언어학개론』(2003),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은유 백과사전』(2020) 외 다수
저 : 김동환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문학과 과학을 아우르는 융합 학문의 시각으로 오늘날의 복잡다단한 사회 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특히 인문학 내에서의 통섭을 구축하고 있는 해외 저서들을 발굴해 인지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지식을 대중화하려고 애쓰고 있다. 저서로는 『인공지능, 트랜스휴먼, 사이보그』(커뮤니케이션북스, 2024), 『술과 인간의 확장』(커뮤니케이션북스, 2025), 『인공지능과 기술적 실업』(202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생각을 기계가 하면, 인간은 무엇을 하나?』(뜻있는도서출판, 20...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문학과 과학을 아우르는 융합 학문의 시각으로 오늘날의 복잡다단한 사회 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특히 인문학 내에서의 통섭을 구축하고 있는 해외 저서들을 발굴해 인지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지식을 대중화하려고 애쓰고 있다. 저서로는 『인공지능, 트랜스휴먼, 사이보그』(커뮤니케이션북스, 2024), 『술과 인간의 확장』(커뮤니케이션북스, 2025), 『인공지능과 기술적 실업』(202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생각을 기계가 하면, 인간은 무엇을 하나?』(뜻있는도서출판, 2023), 『그린 리바이어던』(공역, 씨아이알, 2023) 등이 있다.
저 : 김령환
경북대학교 외래교수, 경북대학교 외래교수,
저 : 김억조
동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 : 김학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과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과정,
저 : 송현주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 교수. 한국어 의미론과 어휘론, 사전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오고 있다.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 교수. 한국어 의미론과 어휘론, 사전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오고 있다.
저 : 임태성
영신고등학교 졸업 후, 계명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한국어문화원 연구원과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외래교수직을 맡고 있다. 공저로는 「의미관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7),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6),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 등이 있으며 공역으로는 「인지언어학과 제2언어 학습」(2015)이 있다. 영신고등학교 졸업 후, 계명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한국어문화원 연구원과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외래교수직을 맡고 있다.
공저로는 「의미관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7),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6),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 등이 있으며 공역으로는 「인지언어학과 제2언어 학습」(2015)이 있다.
저 : 정병철
경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2012-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1998) 후 KOICA 협력요원으로 해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언어 연구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주로 인지언어학과 대조언어학, 언어 교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원천 개발’ 프로젝트(EXOBRAIN)에 참여하면서(2013-2015) 언어에 대한 연결주의 접근의 중요성을 깨닫고, 연결주의 관점에서 다양한 언어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시뮬레이션 의미론에 기초한 동사의 의미망 연구(2009)』,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인... 경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2012-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1998) 후 KOICA 협력요원으로 해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언어 연구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주로 인지언어학과 대조언어학, 언어 교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원천 개발’ 프로젝트(EXOBRAIN)에 참여하면서(2013-2015) 언어에 대한 연결주의 접근의 중요성을 깨닫고, 연결주의 관점에서 다양한 언어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시뮬레이션 의미론에 기초한 동사의 의미망 연구(2009)』,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인지적 토대(2017)』, 역서로 『진짜 두꺼비가 나오는 상상 속의 정원(2017)』가 있으며, 「영어와 한국어의 논항구조 대조 연구(2020)」, 「의미 확장 기제로서의 환유(2017)」, 「한국어 동사와 문장 패턴의 상호작용(2014)」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 : 정수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강사. 인지언어학을 기반으로 한국어 어휘의 의미 탐구와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오고 있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강사. 인지언어학을 기반으로 한국어 어휘의 의미 탐구와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오고 있다.
저 : 리우팡 (劉芳)
중국 웨이팡대학교(?坊學院)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중국 웨이팡대학교(?坊學院)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저 : 왕난난 (王楠楠)
중국 안산사범대학교(鞍山師范學院) 국제교류대학 교수, 중국 안산사범대학교(鞍山師范學院) 국제교류대학 교수,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