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내가 물어보기 전에 누군가 먼저 말해줬으면 좋겠다. 거짓말이라고 좋으니까 넌 참 잘하고 있다고. 지금처럼만 계속해. 그러면 된다고. (p.23)
1. 바쁜 일상 속에서도 여유를 잃지 말기.
2. 조급해하지 말고 한 번 더 숨 고르기.
3. 초심을 잃지 말기.
4. 주어진 상황에 늘 감사하기. (p.90)
화려하고 경이로운 순간을 기록하고, 내내 곱씹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사실 나는 필름 카메라 하나만 들고 골목길을 걸을 수 있다면 충분히 행복해진다. 매번 같은 지붕, 같은 골목길이라도 그 순간이 좋다. 온전한 순간을 누릴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 반복되는 일상이 나에겐 어느 무엇보다 가치 있고 소중하니까. 누군가는 지루하게 바라볼 수 있는 느린 리듬의 고요함이 값지다. 카메라에 일상을 담겠다는 생각이 쌓이고 쌓여 나의 지구력이 되었다. 좋아하는 것을 기록하며 아주 오래 걷고 싶다. (p.131)
여행이 필요한 사람에겐 여행을, 일상이 필요한 사람에겐 일상을, 제주에서 보내는 하루하루, 엄지사진관이 기록한 일상의 순간들. 책을 덮고 나서 처음 든 생각은 부럽다. 그리고 이어서 고맙다는 마음이 가슴에 자리를 잡았다. 빠르게 흘려보내는 일상 속에서 느껴보는 잠시 잠깐의 여유랄까. 내가 아닌 타인의 삶을 들여다본다는 게 설레고 즐겁고 또 어떨 때는 쓰라리기도 했으며 흥분이 되기도 했다. 나랑은 다른 상황에 놓인 일상에 ‘제주도는 이런 곳이었구나, 이런 곳도 있었구나.’ 할 것도 많고, 볼 것도 많고, 먹을 것도 많은 제주. 한껏 부러워하고 신기해하고 그렇게 저자의 발자취를 따라 함께 어울려 그녀의 생각에 공감하며 하나둘 페이지를 넘기다 보니 어느새 끝자락에 이르렀다. 실제 그곳에 있었을 때는 느껴보지 못했던 일상의 순간들. 그래서 더 아쉬웠고 그리웠다. 그리고 기다려졌다. 내 마음대로, 내 방식대로, 내 속도대로. 앞으로 내가 보게 될 제주의 모습들이.
제주의 일상의 담다
『 제주는 잘 있습니다 』
『 제주는 잘 있습니다 』는 엄지 사진관이 기록한 제주의 일상을 담은 사진이 아름다운 책이다.
책을 읽는 동안 따뜻함을 가득 품은 제주의 풍경들이 눈에 들어왔다.
골목 어귀, 구석구석 제주의 일상들을 담은 아름다운 사진들은 사진 자체의 편안함이 묻어난다.
『 제주는 잘 있습니다 』 여행객이 아닌 제주도민으로서의 제주 살이를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여행객으로 바라본 제주와 일상인 제주 살이의 그 어디쯤 존재하는 듯하다.
많은 이들이 제주의 삶을 동경하지만
자의든 타의든 제주는 나에겐 타지 생활이었다.
'제주'이기 이전에 낯선 곳이었으므로 나는 자주 힘들었다.
그래도 결국 내가 스스로 선택한 이곳에서
조금 더 낯설게 행복해지기로 했다.
이 섬에서 오늘도 빈틈없이 행복하길.
모든 시절이 호시절이길.
본문 7쪽
『 제주는 잘 있습니다 』는 여행지에서의 뜻하지 않은 모습과 일상에서의 모습이 함께 담겨있다.
여행으로서의 제주와 일상으로서의 제주는 분명히 다르다.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제주.
엄지사진관이 제주에서의 낯선 행복 찾기가 시작된다.
실패는 내 삶을 다른 방식으로 이어나가게 했고, 나를 응원해 주는 사람들을 만나게 했다. 삶은 그렇게 양면적이다.
저자는 제주에서 홀로서기를 시작하며 자주 바닥을 쳤고, 제주의 기회에 대한 기대는 처절한 실패로 무너져 전과는 다른 제주살이를 시작한다. 하지만 저자는 지난 일들에 집착하지 않고 지난 사람들을 미워하며 그 순간에 갇히지 않기로 한다.
저자의 긍정 마인드가 부러웠다.
선택의 기로에 서있을 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고민이 될 때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 것일까?
나라면 진즉 포기하고 육지로 나왔을지도 모르겠다.
저자의 결단과 지구력을 응원한다.
어쩌면 제주는 삶이 이어지는 곳이라기보다 낭만이 깃든 여행지로서 사람들의 마음에 많이 남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제주에 본격적으로 살기 위해 들어오는 사람들은 '이사'라는 단어보다 '입도'라는 말을 쓰게 되는 것이 아닐까.
비행기를 타야 오갈 수 있는 그 섬이 주는 섬만의 정서가 있으니까.
"제주 살아서 좋겠네."
제주 살아서 좋겠다는 말에 어떤 불순한 마음도 없이 "응, 좋아"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익숙해질 시간이 필요하다
. 여전히 적응이 필요하고 내 삶을 자리 잡아야 하고 나로서 온전히 설 수 있을 때 제대로 된 대답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젠 제주가 나의 집이지만 그래도 가끔은 "타지에서 고생이 많다"라는 말이 간절히 듣고 싶어지기도 한다.
본문 53쪽
삶의 방식을 전환시키는 데는 시간과 마음의 변화가 요구된다.
저자가 제주에서의 삶을 적응하기까지 힘들고 아팠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온전히 자신의 자리를 잡아가는 저자가 대견하다.
타지에서 고생하는 저자에게 토닥토닥 두드려 주고 싶다.
『 제주는 잘 있습니다 』에서 저자는 제주 한 달 살기를 추천한다.
며칠 잠깐 머물다 떠나기에 제주는 크고 좋은 곳으로 넘쳐나가기 때문이다.
제주에는 할 것도 많고 볼 것도 많으며 먹을 것도 많다.
저자는 1주에서 4주 차까지 제주 한 달 살이 계획, 제주에서 맛보아야 할 향토 음식, 예쁜 카페, 오름 등을 추천한다.
저자가 찍은 일상생활 속 골목골목, 마을 모습, 자연 경관들
한 컷 한 컷
사진이 너무나 마음에 든다.
이곳을 진정 즐기고 있는 저자가 부러울 따름이다.
다음 제주도행에서는 엄지사진관이 추천해 준 곳을 다녀오고 싶다.
저자는 섬 생활이 더 바쁘다고 했다.
노력하지 않으면 얻을 것이 없는 섬이기에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자연을 오롯이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저자의 사진들은 저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제주의 평온한 일상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번잡한 관광지가 아닌 그녀가 추천해 주는 일상 속 제주의 모습은 따뜻하게 느껴진다.
4계절의 매력을 오롯이 담고자 했다.
위로와 위안이 되는 공간.
그래서 사람들은 다시, 제주에 닿는다.
본문 69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쓴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