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플랫폼 임팩트 2023

플랫폼 독과점부터 데이터주권 위기까지 플랫폼 자본주의를 향한 사회과학자들의 경고

이은주,김홍중,한준,조은아,하상응 저 외 7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21세기북스 | 2022년 11월 23일 리뷰 총점 9.6 (2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경제 경영 > 마케팅/세일즈
파일정보
EPUB(DRM) 46.4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2명)

저 : 이은주
저 : 김홍중 (金洪中)
서울대 사회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0년부터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공은 사회이론과 문학/예술/문화 사회학이다. 저서로는 『마음의 사회학』(2009), 『사회학적 파상력』(2016), 『은둔기계』(2020),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2024)가 있다. 서울대 사회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0년부터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공은 사회이론과 문학/예술/문화 사회학이다. 저서로는 『마음의 사회학』(2009), 『사회학적 파상력』(2016), 『은둔기계』(2020),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2024)가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삶의질학회 회장이다. 조직사회학, 사회불평등, 삶의 질, 예술과 사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저서로 『한국 사회의 제도에 대한 신뢰』(2008), 『위기의 대한민국 이렇게 바꾸자』(공저, 2016), 『초고령 사회, 조직 활력을 어떻게 높일까: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공저, 2017), 『대한민국 시스템, 지속가능한가?』(공저, 2018), 주요 논저로는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2018), 『커넥트 파...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삶의질학회 회장이다. 조직사회학, 사회불평등, 삶의 질, 예술과 사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저서로 『한국 사회의 제도에 대한 신뢰』(2008), 『위기의 대한민국 이렇게 바꾸자』(공저, 2016), 『초고령 사회, 조직 활력을 어떻게 높일까: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공저, 2017), 『대한민국 시스템, 지속가능한가?』(공저, 2018), 주요 논저로는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2018), 『커넥트 파워: 초연결 세상은 비즈니스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가?』(201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Recognition in Art World as Social Process: The Case of Oscar and Daejong Film Awards(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017)」, 「사회과학에서의 복잡계 연구: 창발과 적응 지형을 중심으로」(새물리, 2017),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2017), 「평가 지표는 대학의 연구와 교육을 어떻게 바꾸는가: 사회학을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저 : 조은아
피아니스트, “음악적 깊이와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보기 드문 연주자”라는 평을 들으며 연주뿐만 아니라 음악 관련 다양한 대중 활동을 펼쳐왔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음악 분야 첫 강연을 진행했고, 한겨레의 ‘문화현장’, 경향신문의 ‘세상 속 연습실’을 거쳐 현재 한국일보에서 ‘조은아의 낮은음자리표’를 연재 중이다. KBS클래식FM 방학특집, 서울시향 토크 콘서트, KBS 교향악단 실내악 시리즈 등 다양한 공연을 기획, 진행하며 2018년 문체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예술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중이다. 피아니스트, “음악적 깊이와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보기 드문 연주자”라는 평을 들으며 연주뿐만 아니라 음악 관련 다양한 대중 활동을 펼쳐왔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음악 분야 첫 강연을 진행했고, 한겨레의 ‘문화현장’, 경향신문의 ‘세상 속 연습실’을 거쳐 현재 한국일보에서 ‘조은아의 낮은음자리표’를 연재 중이다. KBS클래식FM 방학특집, 서울시향 토크 콘서트, KBS 교향악단 실내악 시리즈 등 다양한 공연을 기획, 진행하며 2018년 문체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예술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 : 하상응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 사회정책 연구소 연구원 및 뉴욕 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정치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치심리학, 여론과 선거, 그리고 미국의 인종 문제다. 주요 논문으로 「정서 양극화와 집단 정체성 인식」,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트럼프의 등장과 반동의 정치」, 「한국 유권자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 사회정책 연구소 연구원 및 뉴욕 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정치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치심리학, 여론과 선거, 그리고 미국의 인종 문제다. 주요 논문으로 「정서 양극화와 집단 정체성 인식」,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트럼프의 등장과 반동의 정치」, 「한국 유권자들의 포퓰리즘 성향이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저 : 이원재
싱어송라이터, 초기 들국화 멤버 싱어송라이터, 초기 들국화 멤버
한성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구 이동, 국가-사회 관계(시민권), 중국 지역 연구 등의 분야에 관심이 있다. 대표 저작으로 서울의 가리봉동-대림동 지역의 중국 동포 집거지를 연구한 Chaoxianzu Entrepreneurs in Korea: Searching for Citizenship in the Ethnic Homeland(Routledge)가 있다. 한성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구 이동, 국가-사회 관계(시민권), 중국 지역 연구 등의 분야에 관심이 있다. 대표 저작으로 서울의 가리봉동-대림동 지역의 중국 동포 집거지를 연구한 Chaoxianzu Entrepreneurs in Korea: Searching for Citizenship in the Ethnic Homeland(Routledge)가 있다.
저 : 강재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연구 분야는 비판이론, 사회이론, 미디어 문화다.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연구원, 미국 뉴욕의 뉴 스쿨, 영국 런던대학교(SOAS)의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발터 베냐민과 미디어』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연구 분야는 비판이론, 사회이론, 미디어 문화다.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연구원, 미국 뉴욕의 뉴 스쿨, 영국 런던대학교(SOAS)의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발터 베냐민과 미디어』 등이 있다.
저 : 임동균
경성대 e스포츠연구소 제2기 모니터요원 경성대 e스포츠연구소 제2기 모니터요원
저 : 양지성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소셜컴퓨팅랩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데이터사이언스 학사, 카이스트에서 CT 공학석사를 받았다. 머신러닝 기반 자연어 분석을 통해 대중의 기술 수용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요인들을 연구하고 있다.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소셜컴퓨팅랩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데이터사이언스 학사, 카이스트에서 CT 공학석사를 받았다. 머신러닝 기반 자연어 분석을 통해 대중의 기술 수용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요인들을 연구하고 있다.
저 : 이종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School of Communication) 부교수(Roselyn J. Lee-Won). 2009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미디어 심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School of Communication) 부교수(Roselyn J. Lee-Won). 2009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미디어 심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 : 정인관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예일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불평등, 사회이동, 교육사회학, 양적연구방법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예일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불평등, 사회이동, 교육사회학, 양적연구방법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20건)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