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리즈대학교에서 몽골학으로,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사회인류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사회인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몽골 국립대학교 전임강사와 케임브리지대학 Frederick Williamson Memorial Fellow, 한양대학교와 단국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류언어학, 한국어문화, 민속학, 몽골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문화와 언어를 통섭하는 인류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어문화와 인공지능 인문학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향후에는 인류언어학의 시...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리즈대학교에서 몽골학으로,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사회인류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사회인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몽골 국립대학교 전임강사와 케임브리지대학 Frederick Williamson Memorial Fellow, 한양대학교와 단국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류언어학, 한국어문화, 민속학, 몽골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문화와 언어를 통섭하는 인류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어문화와 인공지능 인문학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향후에는 인류언어학의 시각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인문학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민속기록학회 회장, 비교민속학회 부회장, 한국몽골학회 부회장, 한국알타이학회 학술이사, 중앙아시아학회 편집위원 등을 맡았고, 한국민속학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사회언어학회 등에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속담과 수수께끼로 문화 읽기》(2014), 《현대 아시아 민속학》(2013), 《현대민속학 연구》(2009), 《한국민속학의 새로운 지평》(2007), 《도시민속학》(2006), 《몽골의 유목문화와 민속 읽기》(2005) 등이 있다.
조선대학교 법정대학 법학과 졸업(법학사) 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했다(법학박사).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노인체육복지학과 안전관리전공 교수, 산학협력단장, 안전관리연구소 소장, 생활체육대학 학장, 대통령경호처 경호·의전 자문위원 및 행정심판위원, G20정상회의 자문위원, 한국경찰학회·한국공안행정학회 이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이사, 안전실천 시민연합 정책위원·세이프키즈코리아 스포츠·놀이안전위원장, 경비지도사 국가고시 시험 출제 및 검토위원(경호학, 법학개론), 한국민간조사학회 회장, 충효예실천운동본부 공동총재, 한국효운동단...
조선대학교 법정대학 법학과 졸업(법학사) 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했다(법학박사).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노인체육복지학과 안전관리전공 교수, 산학협력단장, 안전관리연구소 소장, 생활체육대학 학장, 대통령경호처 경호·의전 자문위원 및 행정심판위원, G20정상회의 자문위원, 한국경찰학회·한국공안행정학회 이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이사, 안전실천 시민연합 정책위원·세이프키즈코리아 스포츠·놀이안전위원장, 경비지도사 국가고시 시험 출제 및 검토위원(경호학, 법학개론), 한국민간조사학회 회장, 충효예실천운동본부 공동총재, 한국효운동단체 총연합회 부회장, 효를 실천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장, 국민생활체육 전국특공무술 연합회장, 대한특공무술협회 학술고문, 전통무예특공무술협의회 고문, 국민안전연구소 소장, 국회 9급 경위공무원 공개채용 시험출제위원(경호학개론)을 역임하고 있다.
대통령경호실 법무담당관, 연구발전담당관, 한국경호경비학회 회장(초대~3대), 국무총리실 청소년보호위원회 폭력분과위원회 위원장, 서울지방경찰청 국가대테러 협상위원, 한국청소년지도학회 회장,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이사 및 감사, 대통령경호실 7급 공개채용시험 출제위원(일반상식), 한국비서학회 회장을 지냈다.
1958년 청주에서 태어나 청주여자고등학교,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상명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영위원, 청주문화원 이사, 한국사상문화학회 섭외이사,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학술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청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교양한국사』, 『고려시대 기술관 연구』 이외에 논문으로 「고려시대 진휼제도」, 「고려시대 기술관의 사회적 지위」, 「고려시대 기술관의 역할」, 「고려시대 역관연구」, 「고려시대의 의관」, 「중종대 『이륜행실도』에 대한 일고찰」, 「『이륜행실도』의 편찬과 교화정책」, 「율곡의 ...
1958년 청주에서 태어나 청주여자고등학교,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상명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영위원, 청주문화원 이사, 한국사상문화학회 섭외이사,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학술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청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교양한국사』, 『고려시대 기술관 연구』 이외에 논문으로 「고려시대 진휼제도」, 「고려시대 기술관의 사회적 지위」, 「고려시대 기술관의 역할」, 「고려시대 역관연구」, 「고려시대의 의관」, 「중종대 『이륜행실도』에 대한 일고찰」, 「『이륜행실도』의 편찬과 교화정책」, 「율곡의 효교육사상-『학교모범』을 중심으로」, 「『명심보감』의 효윤리와 인성교육론」 등 30여 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