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 3

이기동,장재천,이석주,박주,곽종형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3년 7월 17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한국/동양철학
파일정보
PDF(DRM) 6.2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 3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1명)

저 : 이기동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일본 쓰쿠바(筑波)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1988년과 1998년 각각 대만 국립정치대학과 미국 하버드 대학 옌칭 연구소에 초빙되어 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갈수록 혼탁해지는 세상에 동양철학의 가치를 바로 세워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삶의 지혜를 전하고자 그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동양 최고의 걸작 『주역』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출간하게 된 것도 그 일환이다. 또 동양철학이 딱딱하고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생활에서 친근하게 접할...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일본 쓰쿠바(筑波)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1988년과 1998년 각각 대만 국립정치대학과 미국 하버드 대학 옌칭 연구소에 초빙되어 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갈수록 혼탁해지는 세상에 동양철학의 가치를 바로 세워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삶의 지혜를 전하고자 그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동양 최고의 걸작 『주역』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출간하게 된 것도 그 일환이다. 또 동양철학이 딱딱하고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생활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살아 있는 삶의 지혜가 될 수 있도록 일반인들을 위한 동양철학 강당(講堂) ‘동인서원’을 열어 10년째 강의를 하고 있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는 『동양 삼국의 주자학』『만화로 보는 주역 상·하』『대학 중용 강설』『논어 강설』『맹자 강설』『주역 강설』『기독교와 동양 사상』『논어에서 얻는 지혜』『장자에서 얻는 지혜』『주역에서 얻는 지혜』『한국의 위기와 선택』『곰이 성공하는 나라』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국 성리학에 있어서의 이기론의 수용과 전개」「율곡사상과 경제정책」「유교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범학전편에 관한 소고」「일본유학에 있어서의 중세적 사유의 형성과 극복」 등 다수이다.
저 : 장재천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 문학사, 교육학 석사, 교육학 박사학위 취득 성균관유교사상연구원 한림원 학정계제 2년, 한림계제 3년 졸업 성균관대(학부, 대학원, 교육대학원),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서울교대, 상명대, 한국체대, 강남대, 용인대(학부, 교육대학원), 한국방송통신대, 한국사상문화연구원, 한국청소년예절교육원 강사, 대전효문화진흥원 자문위원, 보성중고 교사, 용인대 교직과장 및 교수학습지원센터장 역임 현재 한국교육사학회 이사, 한국사상문화학회 이사,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상임 부회장, 국제교류문화진흥원 이사 등 현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관심분야는 ...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 문학사, 교육학 석사, 교육학 박사학위 취득
성균관유교사상연구원 한림원 학정계제 2년, 한림계제 3년 졸업
성균관대(학부, 대학원, 교육대학원),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서울교대, 상명대, 한국체대, 강남대, 용인대(학부, 교육대학원), 한국방송통신대, 한국사상문화연구원, 한국청소년예절교육원 강사, 대전효문화진흥원 자문위원, 보성중고 교사, 용인대 교직과장 및 교수학습지원센터장 역임
현재 한국교육사학회 이사, 한국사상문화학회 이사,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상임 부회장, 국제교류문화진흥원 이사 등
현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관심분야는 교육사회학, 평생교육, 교육사, 교육인류학, 한국사상문화, 한국전통효문화, 정치학, 역사학, 유교철학 등

〔주요 저서/논문〕
「조선조 성균관교육과 유생문화」, 「조선 성균관 교육문화」,「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천」,「교육학의 기초」,「교직실무론」 등
「교육의 기초와 인간상」(공저), 「대학생의 명심보감」(공편저),「한국인의 효사상」(공저),「한국의 효사상과 정신문화(1), (2), (3), (4)」(공저) 등
「조선시대 성균관의 과거문화 연구」등 논문 다수
저 : 이석주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동경대 중국철학과 대학원 연구생, 동서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동국대·대진대·창원대에 출강하였으며, 유원대학교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元代 性理學과 道·佛사상」, 「朱子와 胡宏의 工夫論」, 「제주여신신화에 투영된 여성들의 통합적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의 갈라파고스신드롬 극복을 위한 토론식 수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Myth and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동경대 중국철학과 대학원 연구생, 동서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동국대·대진대·창원대에 출강하였으며, 유원대학교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元代 性理學과 道·佛사상」, 「朱子와 胡宏의 工夫論」, 「제주여신신화에 투영된 여성들의 통합적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의 갈라파고스신드롬 극복을 위한 토론식 수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Myth and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문전본풀이 신화를 통해 본 제주 전통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 연구」, 「『논어』의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통한 ‘최소작용의 원리’로서의 ‘충서(忠恕)’」, 「오키나와 신앙과 전통주거의 공간구성 조사 연구」, 「충서(忠恕)와 정보철학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 『주자와 왕양명』(마노센류 저, 학고방), 『충청북도 지역의 문집 해제』(호서문화연구소, 조율)가 있다.
경북 청도 출생. 풍문여자중ㆍ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졸업(문학석사, 문학박사), 조선시대 유교문화사 및 여성사 전공,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객원교수, 미국 UCLA 대학교 객원교수, 제16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전)제6대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전)제8대 조선사연구회 회장,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성균관청년유도회 대구광역시본부 전문위원, (전)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장, 안중근연구소장, 대구가톨릭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대구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역사.여성. 미래 공동대표와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 경북 청도 출생. 풍문여자중ㆍ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졸업(문학석사, 문학박사), 조선시대 유교문화사 및 여성사 전공,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객원교수, 미국 UCLA 대학교 객원교수, 제16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전)제6대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전)제8대 조선사연구회 회장,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성균관청년유도회 대구광역시본부 전문위원, (전)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장, 안중근연구소장, 대구가톨릭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대구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역사.여성. 미래 공동대표와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이사 및 여성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조선시대의 정표정책』, 일조각, 1990
『조선시대의 효와 여성』, 국학자료원, 2000
『조선시대의 여성과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08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
『조선 왕실여성들의 삶』, 국학자료원, 2018
『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인물열전』Ⅰ,Ⅱ,Ⅲ, 돌베개, 2003(공저)
『경북여성사』,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4(공저)
『여성, 천주교와 만나다』, 한국가톨릭여성연구원, 2008(공저)
『문화유산으로 본 한국 여성 인물사』, 역사? 여성? 미래, 2021(공저)
『수촌 박영석의 삶과 학문』, 선인, 2024(편공저)
『여성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24(공저) 등









.
저 : 곽종형
성산효대학원대학교 효교육학과 부교수. 사회복지학박사 / 경영학박사.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회장, 한국교정복지학회 이사, 한국효지도사협회 사무총장,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 전문위원, 인천시 아담채 운영위원. 전) 경민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 성산효대학원대학교 효교육학과 부교수. 사회복지학박사 / 경영학박사.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회장, 한국교정복지학회 이사, 한국효지도사협회 사무총장,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 전문위원, 인천시 아담채 운영위원. 전) 경민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
저 : 김익수
철학박사, 전 한체대 교수,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효문화연구원장, 홍익인간사상연구원장,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장 철학박사, 전 한체대 교수,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효문화연구원장, 홍익인간사상연구원장,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장
저 : 김용길
법학박사, 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부회장 겸 전북지회장 법학박사, 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부회장 겸 전북지회장
저 : 이병철
문학박사, 신라대 교수,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부회장 겸 부산시지회장 겸 학술지 『청소년과 효문화』 편집위원 문학박사, 신라대 교수,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부회장 겸 부산시지회장 겸 학술지 『청소년과 효문화』 편집위원
저 : 박선식
한국인문과학예술교육원 대표, 파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한국인문과학예술교육원 대표, 파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저 : 김기호
영남대 교수, 영남대 문과대 부학장, 한국사상문화학회 이사 및 경남지회장 영남대 교수, 영남대 문과대 부학장, 한국사상문화학회 이사 및 경남지회장
저 : 김은경
동국대 교수, 교사국악놀이연구회 이사, 아이국악협회 이사, 국악교육연구회 자문위원 동국대 교수, 교사국악놀이연구회 이사, 아이국악협회 이사, 국악교육연구회 자문위원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