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이미지로 읽는 고대문명

한충야오 저/최정섭,오성애 | 도서출판 역락 | 2024년 2월 2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125.05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저자 소개 (3명)

저 : 한충야오 (Han Congyao,??耀,)
南京大學校 新聞傳播學院/歷史學院 敎授 中華圖像文化硏究所 所長 현재 중국에서 도상사학, 미디어학, 예술학 등 영역에서 권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50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저서 52편, 교재 5편을 집필 또는 편찬하였으며 그 중 17편은 영어, 독일어, 일본어, 한국어로도 번역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중국 국가사회과학 대형 중점 프로젝트 5건, 국가신문출판서 중점 프로젝트 4건, 성급 프로젝트 12건, 국제과학연구 프로젝트 2건을 수행하면서 눈부신 성과를 이뤘다. 중국 내 개인 예술 부분 최고 영예인 ‘중국촬영황금상(평론 부문)’을 2년 연속(제8... 南京大學校 新聞傳播學院/歷史學院 敎授
中華圖像文化硏究所 所長
현재 중국에서 도상사학, 미디어학, 예술학 등 영역에서 권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50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저서 52편, 교재 5편을 집필 또는 편찬하였으며 그 중 17편은 영어, 독일어, 일본어, 한국어로도 번역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중국 국가사회과학 대형 중점 프로젝트 5건, 국가신문출판서 중점 프로젝트 4건, 성급 프로젝트 12건, 국제과학연구 프로젝트 2건을 수행하면서 눈부신 성과를 이뤘다. 중국 내 개인 예술 부분 최고 영예인 ‘중국촬영황금상(평론 부문)’을 2년 연속(제8회, 제9회) 수상하였으며 그 외에도 중국 내 대학 과학연구 우수성과 은상 3회(제7회, 제8회, 제9회), 제4기 중화우수출판도서상, 강소성 철학사회과학 우수성과 금상 등 수상 경력을 갖고 있으며 2022년에는 중국 대학 평가 기관에서 뽑은 ‘중국 중대공헌학자(中?高???者)’에 선정되었다.
역 : 최정섭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해경(解經)과 해자(解字): 프레마르 『육서실의(六書實義)』를 통해 본 예수회의 중국 전유”, “國學과 漢學의 접점으로서의 文獻學: 하가 야이치(芳賀矢一)와 량치차오(梁啓超)를 중심으로”, 역서로는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해경(解經)과 해자(解字): 프레마르 『육서실의(六書實義)』를 통해 본 예수회의 중국 전유”, “國學과 漢學의 접점으로서의 文獻學: 하가 야이치(芳賀矢一)와 량치차오(梁啓超)를 중심으로”, 역서로는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위대한 중국학자』(공역) 등이 있다.
역 : 오성애 (Wu Shengai)
인하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中國海洋大學校 한국어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韓國的近代轉型(한국의 근대전환)』, 『이미지로 읽는 고대문명(田野圖像?北緯34°偏北)』 등이 있고, 「조선족 단체 대화방의 코드 전환과 코드 혼용 양상에 대한 연구」, 「연변 조선족 자치주 언어경관 연구」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인하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中國海洋大學校 한국어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韓國的近代轉型(한국의 근대전환)』, 『이미지로 읽는 고대문명(田野圖像?北緯34°偏北)』 등이 있고, 「조선족 단체 대화방의 코드 전환과 코드 혼용 양상에 대한 연구」, 「연변 조선족 자치주 언어경관 연구」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