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비교문학· 번역학 학계 일류학자.
전 중국 청화(?華)대학교 교수,현재 광서대학교 ‘君武講習’ 교수, 외국어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
1993년 중국국무원 ‘특별수당’ 선정 전문가.
중국영중(英漢)언어비교연구회 전문가위원회 주임위원, 호주연구위원회(ARC) 인문예술부 해외위원, 홍콩대학 교육지원위원회(UGC)인문학부 위원, 영국 Routledge 출판사 ESCI 학술지 Asia Pacific Translation and Intercultural Studies 주필, 중국작가협회 회원, 제2·3·4회 중국도서정부상 심사위원, 제5· 6회 노신문학상 심사위원 등 역임...
중국 비교문학· 번역학 학계 일류학자. 전 중국 청화(?華)대학교 교수,현재 광서대학교 ‘君武講習’ 교수, 외국어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 1993년 중국국무원 ‘특별수당’ 선정 전문가. 중국영중(英漢)언어비교연구회 전문가위원회 주임위원, 호주연구위원회(ARC) 인문예술부 해외위원, 홍콩대학 교육지원위원회(UGC)인문학부 위원, 영국 Routledge 출판사 ESCI 학술지 Asia Pacific Translation and Intercultural Studies 주필, 중국작가협회 회원, 제2·3·4회 중국도서정부상 심사위원, 제5· 6회 노신문학상 심사위원 등 역임. 국내외 주로 학술지에 논문 200여 편 게재, 각종 저서,역사 30여 부 출간. 2022년 학술 저작 Translation and Chinese Modernity 미국에서 출간. 국가급·(省)부(部)급 학술성과상 다수 수상. 국가급 중점 프로젝트 여러 종 선정·완성.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해경(解經)과 해자(解字): 프레마르 『육서실의(六書實義)』를 통해 본 예수회의 중국 전유”, “國學과 漢學의 접점으로서의 文獻學: 하가 야이치(芳賀矢一)와 량치차오(梁啓超)를 중심으로”, 역서로는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해경(解經)과 해자(解字): 프레마르 『육서실의(六書實義)』를 통해 본 예수회의 중국 전유”, “國學과 漢學의 접점으로서의 文獻學: 하가 야이치(芳賀矢一)와 량치차오(梁啓超)를 중심으로”, 역서로는 『청말 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위대한 중국학자』(공역) 등이 있다.
2012년 2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문학석사 학위 취득.
2017년부터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현재 중국민족출판사 副編審.
2012년 2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문학석사 학위 취득. 2017년부터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현재 중국민족출판사 副編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