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영화를 읽다, 영화로 잇다

황영미,신희선,남진숙,나은미,김미경 저 외 7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도서출판 역락 | 2024년 2월 2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7.8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저자 소개 (12명)

저 : 황영미 (Hwang Young-mee,黃榮美)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현대소설 전공)를 받았다. 1992년 『문학사상』에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고,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기고한 바 있으며, 현재 『세계일보』에 ‘황영미의 영화산책’을 연재하고 있고, 팟캐스트로 ‘황영미의 영화인문학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및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내 개최 국제영화제 평가위원(문화체육관광부)과 칸,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영화 관련 저서로는 『필름 리터러시-영화로 읽는 세상』, 『다원화 시대의 영화...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현대소설 전공)를 받았다. 1992년 『문학사상』에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고,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기고한 바 있으며, 현재 『세계일보』에 ‘황영미의 영화산책’을 연재하고 있고, 팟캐스트로 ‘황영미의 영화인문학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및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내 개최 국제영화제 평가위원(문화체육관광부)과 칸,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영화 관련 저서로는 『필름 리터러시-영화로 읽는 세상』, 『다원화 시대의 영화 읽기』, 『영화와 글쓰기』, 공저로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등이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 : 신희선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와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근현대여성사』, 『세상을 바꾸는 여성 리더십』, 『발표와 토론』, 『논리적 말하기』, 『글쓰기와 읽기』,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21세기 청소년 인문학』 등이 있다.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교양교육학회 총무이사를 지냈다. <교보문고-숙명여대> 공동 주최 독서토론대회를 기획, 운영하였으며, <경북매일신문> 칼럼위원과 <한국장학재단> 한국인재멘토링네트워크에서 ‘행복한 책읽기’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와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근현대여성사』, 『세상을 바꾸는 여성 리더십』, 『발표와 토론』, 『논리적 말하기』, 『글쓰기와 읽기』,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21세기 청소년 인문학』 등이 있다.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교양교육학회 총무이사를 지냈다. <교보문고-숙명여대> 공동 주최 독서토론대회를 기획, 운영하였으며, <경북매일신문> 칼럼위원과 <한국장학재단> 한국인재멘토링네트워크에서 ‘행복한 책읽기’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컨설턴트로 각 대학의 교양교육 컨설팅과 저널 <두루내>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2002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면서 <비판적사고와 토론>, <융합적사고와 쓰기>, <젠더로 읽는 여성>, <리더십과 의사소통>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강의실 밖에서 학생들과 매주 국내외 이슈분석과 독서토론을 하는 <리더십포럼>을 15년째 진행하면서 배움과 나눔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저 : 남진숙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고, 2000년 『학산문학』을 통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신문편집장을 거쳐 교수학습개발센터 전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국가 경쟁력강화위원회 교육부문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연구논문으로 「글쓰기 첨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방식’의 창의적인 수업 모델과 그 의의」, 「이공계 글쓰기 ‘팀티팅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그 실제」, 「융복합을 통한 생태교육 방법론」, 「다큐멘터리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를 통해 본 생태인식과 실천의 문제」, 공저로 『영화로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고, 2000년 『학산문학』을 통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신문편집장을 거쳐 교수학습개발센터 전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국가 경쟁력강화위원회 교육부문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연구논문으로 「글쓰기 첨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방식’의 창의적인 수업 모델과 그 의의」, 「이공계 글쓰기 ‘팀티팅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그 실제」, 「융복합을 통한 생태교육 방법론」, 「다큐멘터리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를 통해 본 생태인식과 실천의 문제」, 공저로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섬 공간의 탈경계성과 문화교류』 등이 있다. 그동안 글쓰기 및 말하기 교양 전반과 생태문학에 대한 관심을 갖고 꾸준히 교육, 연구 활동을 해오고 있다.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무이사, 문학과환경학회 편집위원, 동악어문학회 재정이사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 : 나은미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연결주의 관점에서 본 어휘부와 단어형성』, 『언어 표현 전략』, 『대학 글쓰기 연구와 텍스트 해석』, 『패턴중심 글쓰기와 말하기의 전략』등이 있고, 「대학 신입생을 위한 성찰과 설계를 위한 쓰기 교육의 한 방법」, 「장르에 대한 이해와 대학의 <사고와 표현> 교육 설계」, 「표현주의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한 방안」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사고와 표현>, <세상읽기와 글쓰기>, <나를 위한 글쓰기> 등을 강의하고 있다. 성인의 성찰 글...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연결주의 관점에서 본 어휘부와 단어형성』, 『언어 표현 전략』, 『대학 글쓰기 연구와 텍스트 해석』, 『패턴중심 글쓰기와 말하기의 전략』등이 있고, 「대학 신입생을 위한 성찰과 설계를 위한 쓰기 교육의 한 방법」, 「장르에 대한 이해와 대학의 <사고와 표현> 교육 설계」, 「표현주의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한 방안」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사고와 표현>, <세상읽기와 글쓰기>, <나를 위한 글쓰기> 등을 강의하고 있다. 성인의 성찰 글쓰기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푸른역사아카데미(한국연구재단 지원프로그램)에서 <힐링, 그리고 보살핌을 위한 워크숍 안내>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리터러시학회와 한국사고와표현학회의 연구이사, 한국화법학회와 한국작문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 : 김미경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저 :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저 : 하병학
가톨릭대학교 교수 가톨릭대학교 교수
저 : 이진숙
고려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강사
저 : 박현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영화를 읽다, 영화로 잇다』(공저, 2022) 『영화 로그인: 사고와 표현 교육』(공저, 2018)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영화를 읽다, 영화로 잇다』(공저, 2022)
『영화 로그인: 사고와 표현 교육』(공저, 2018)
저 : 유영희
철학박사, 독립연구자 철학박사, 독립연구자
저 : 김경애
한양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의 다양한 매체들과 이를 활용한 읽기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청소년소설과 웹소설 등 대중적인 소설 장르와 영화, 드라마 등을 바탕으로 한 문화 연구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에 관심이 많다. 대표 논문으로 「토론식 학습법을 원용한 소설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2010), 「한국현대청소년 소설과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2011), 「동화 콘텐츠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2012), 「TV광고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법 모색」(2013), 「믿을 수 없는 서술 개... 한양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의 다양한 매체들과 이를 활용한 읽기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청소년소설과 웹소설 등 대중적인 소설 장르와 영화, 드라마 등을 바탕으로 한 문화 연구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에 관심이 많다. 대표 논문으로 「토론식 학습법을 원용한 소설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2010), 「한국현대청소년 소설과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2011), 「동화 콘텐츠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2012), 「TV광고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법 모색」(2013), 「믿을 수 없는 서술 개념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모색」(2014),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영화 <한공주>의 스토리텔링 연구」(2015), 「‘갈등’의 함의와 교육적 활용」(2016),「트랜스미디어 현상과 문화적 변주-소설 『화차』의 영화 <화차> 각색 과정을 중심으로」(2017), 저서로 『로맨스 웹소설』(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등이 있다. <열린문학> 소설 부문 신인상을 받았으며, 문학비평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현재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있다.
저 : 김중철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초기 여행기에 나타난 활동사진의 비유에 대한 연구」, 「말하기, 글쓰기에 있어서 거짓과 진실의 문제」 등의 논문과 『소설과 영화』, 『소설을 찾는 영화, 영화를 찾는 소설』, 『영화에서 글쓰기를 보다』 등의 저서가 있으며 문학과 상상, 글쓰기와 인문 교양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연구교수와 한양사이버 대학교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 안양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초기 여행기에 나타난 활동사진의 비유에 대한 연구」, 「말하기, 글쓰기에 있어서 거짓과 진실의 문제」 등의 논문과 『소설과 영화』, 『소설을 찾는 영화, 영화를 찾는 소설』, 『영화에서 글쓰기를 보다』 등의 저서가 있으며 문학과 상상, 글쓰기와 인문 교양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연구교수와 한양사이버 대학교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 안양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