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아카데미토론 배틀

황영미,김지윤,신희선,서정혁 저/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 도서출판 역락 | 2023년 1월 5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인문계열
파일정보
PDF(DRM) 2.7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저자 소개 (5명)

저 : 황영미 (Hwang Young-mee,黃榮美)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현대소설 전공)를 받았다. 1992년 『문학사상』에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고,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기고한 바 있으며, 현재 『세계일보』에 ‘황영미의 영화산책’을 연재하고 있고, 팟캐스트로 ‘황영미의 영화인문학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및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내 개최 국제영화제 평가위원(문화체육관광부)과 칸,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영화 관련 저서로는 『필름 리터러시-영화로 읽는 세상』, 『다원화 시대의 영화...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현대소설 전공)를 받았다. 1992년 『문학사상』에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고,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기고한 바 있으며, 현재 『세계일보』에 ‘황영미의 영화산책’을 연재하고 있고, 팟캐스트로 ‘황영미의 영화인문학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및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내 개최 국제영화제 평가위원(문화체육관광부)과 칸,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영화 관련 저서로는 『필름 리터러시-영화로 읽는 세상』, 『다원화 시대의 영화 읽기』, 『영화와 글쓰기』, 공저로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등이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 : 김지윤 (Kim Ji-yoon,金智允,)
시인, 문학평론가, 상명대학교 교수.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을 수상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인문학부(국문학, 영문학)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 『피로의 필요』, 공저 『요즘비평들』, 『한국 현대문학의 쟁점과 전망』,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 『영화와 문학, 세계를 걷다』,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등이 있고 다수의 평론과 국내외 연구논문들이 있다. 2012년 제17회 시와시학상 젊은 시인... 시인, 문학평론가, 상명대학교 교수.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을 수상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인문학부(국문학, 영문학)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 『피로의 필요』, 공저 『요즘비평들』, 『한국 현대문학의 쟁점과 전망』,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 『영화와 문학, 세계를 걷다』,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등이 있고 다수의 평론과 국내외 연구논문들이 있다. 2012년 제17회 시와시학상 젊은 시인상을 수상했으며 쓴 책이 2013년 문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저 : 신희선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와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근현대여성사』, 『세상을 바꾸는 여성 리더십』, 『발표와 토론』, 『논리적 말하기』, 『글쓰기와 읽기』,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21세기 청소년 인문학』 등이 있다.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교양교육학회 총무이사를 지냈다. <교보문고-숙명여대> 공동 주최 독서토론대회를 기획, 운영하였으며, <경북매일신문> 칼럼위원과 <한국장학재단> 한국인재멘토링네트워크에서 ‘행복한 책읽기’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와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근현대여성사』, 『세상을 바꾸는 여성 리더십』, 『발표와 토론』, 『논리적 말하기』, 『글쓰기와 읽기』,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21세기 청소년 인문학』 등이 있다.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교양교육학회 총무이사를 지냈다. <교보문고-숙명여대> 공동 주최 독서토론대회를 기획, 운영하였으며, <경북매일신문> 칼럼위원과 <한국장학재단> 한국인재멘토링네트워크에서 ‘행복한 책읽기’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컨설턴트로 각 대학의 교양교육 컨설팅과 저널 <두루내>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2002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면서 <비판적사고와 토론>, <융합적사고와 쓰기>, <젠더로 읽는 여성>, <리더십과 의사소통>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강의실 밖에서 학생들과 매주 국내외 이슈분석과 독서토론을 하는 <리더십포럼>을 15년째 진행하면서 배움과 나눔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저 : 서정혁
부산에서 2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부산에서 학업을 마쳤다. ‘6·10항쟁’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1988년 봄, ‘올림픽’ 준비가 한창이던 서울로 상경해 현재까지 살고 있다. 지금은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교수로 재직하면서 철학뿐만 아니라 인문교양 교육에도 관심을 갖고 ‘글쓰기’, ‘토론’ 등과 관련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칸트 철학으로 석사 학위, 헤겔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음. 지은 책으로는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철학의 벼리』, 『논증』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피히테의 『학자의 사명에 관한 몇... 부산에서 2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부산에서 학업을 마쳤다. ‘6·10항쟁’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1988년 봄, ‘올림픽’ 준비가 한창이던 서울로 상경해 현재까지 살고 있다. 지금은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교수로 재직하면서 철학뿐만 아니라 인문교양 교육에도 관심을 갖고 ‘글쓰기’, ‘토론’ 등과 관련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칸트 철학으로 석사 학위, 헤겔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음. 지은 책으로는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철학의 벼리』, 『논증』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피히테의 『학자의 사명에 관한 몇 차례의 강의』, 『학자의 본질에 관한 열 차례의 강의』, 헤겔의 『미학 강의(1820/21년)』, 『예나 체계기획 Ⅲ』, 『세계사의 철학』, 『법철학 강요』 등이 있고, 헤겔 철학을 비롯한 독일관념론과 교양교육, 의사소통교육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당분간 헤겔 철학 가운데 ‘법철학’, ‘역사철학’, ‘미학’에 대한 연구와 ‘인문교양’에 관한 연구 및 강의에 집중할 예정이다.
편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아카데미토론 배틀:숙명토론대회』 엮음 『아카데미토론 배틀:숙명토론대회』 엮음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