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궁금하고 알아보면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조형일,이창덕,강남욱 | 도서출판 역락 | 2024년 2월 20일 리뷰 총점 6.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1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3.1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궁금하고 알아보면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저자 소개 (3명)

저 : 조형일
한국공학대학교 국제교육센터 초빙교수, 송곡대학교 한국어비즈니스학과 교수. ‘시소러스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언어 본질에 대한 탐구와 문법, 어휘의 교육 및 교재 원리 연구를 꾸준히 펼쳐 왔다. 『한국어 교실 수업의 원리와 실제』, 『한국어문법론』 등 여러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 교육 방향성’, ‘환유 표현의 교육 원리와 방안’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글로벌한국학의 시대에 세계 속 한국 사회와 문화 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관련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공학대학교 국제교육센터 초빙교수, 송곡대학교 한국어비즈니스학과 교수. ‘시소러스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언어 본질에 대한 탐구와 문법, 어휘의 교육 및 교재 원리 연구를 꾸준히 펼쳐 왔다. 『한국어 교실 수업의 원리와 실제』, 『한국어문법론』 등 여러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 교육 방향성’, ‘환유 표현의 교육 원리와 방안’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글로벌한국학의 시대에 세계 속 한국 사회와 문화 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관련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 : 이창덕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질문행위의 언어적 행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어교육 영역에서 화법(듣기, 말하기) 교육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삶과 화법』, 『화법교육론』,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대화분석과 국어교육’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대화와인간관계 개선의 길,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한글운동단체 ‘외솔회’ 회장을 맡아 바른 우리말 쓰기 운동에도 힘을 쏟고 있다.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질문행위의 언어적 행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어교육 영역에서 화법(듣기, 말하기) 교육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삶과 화법』, 『화법교육론』,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대화분석과 국어교육’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대화와인간관계 개선의 길,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한글운동단체 ‘외솔회’ 회장을 맡아 바른 우리말 쓰기 운동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저 : 강남욱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 습득, 교재사와 교재 평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등의 책과 『초등 징검다리 교과서』,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 등 여러 교재의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여러 유관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학교 안의 언어 다양성과 언어 자원을 미래 한국 ...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 습득, 교재사와 교재 평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등의 책과 『초등 징검다리 교과서』,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 등 여러 교재의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여러 유관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학교 안의 언어 다양성과 언어 자원을 미래 한국 사회의 긍정적인 힘으로 만들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회원 리뷰 (1건)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