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손희연 ,강윤희,양명희,이정복,조태린 저 외 9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글로벌콘텐츠 | 2024년 8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국어
파일정보
PDF(DRM) 10.1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책 소개

저자 소개 (14명)

저 : 손희연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저 : 강윤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로는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 “‘공장말’: 인도네시아 내 한국기업의 언어사용과 권력”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로는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 “‘공장말’: 인도네시아 내 한국기업의 언어사용과 권력” 등이 있다.
저 : 양명희 (Yang Myunghee)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어 문법뿐 아니라 사회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 한국어교육 분야의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최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의 연구원으로 재난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담화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논저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1998),『한국어 듣기교육론』(2011, 공저),『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어 문법뿐 아니라 사회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 한국어교육 분야의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최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의 연구원으로 재난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담화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논저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1998),『한국어 듣기교육론』(2011, 공저),『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저 : 이정복
대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대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저 : 조태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사회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언어정책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 직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2008,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 화』(2014, 공저),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2015, 공저), 『언어순수주의의 발전과 전개』(2019, 공저),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 제』(2020,...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사회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언어정책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 직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2008,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 화』(2014, 공저),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2015, 공저), 『언어순수주의의 발전과 전개』(2019, 공저),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 제』(2020,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언어 제국주의란 무엇인가』(2005, 공역),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2021, 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국어의 사회적 변이 양상과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과 언어 사용 및 정책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저 : 박동근
대진대학교 교양학부(문학 박사: 국어학 전공) 대진대학교 교양학부(문학 박사: 국어학 전공)
저 : 강현석
단국대학교 영어과 교수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부 전공은 사회언어학이며 특히 한국어 변이사회언어학과 세계 영어가 주 연구 분야이다. 주요 논문으로 <카카오톡 대화에서의 경어체 종결어미의 변이 양태에 대한 다중변인분석 연구>, <국어 담화 표지 '예'와 '네'의 사용에 나타나는 변이에 대한 연구>, <Changes in English language policy in Kim Jong-un's North Korea>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한국 사회... 단국대학교 영어과 교수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부 전공은 사회언어학이며 특히 한국어 변이사회언어학과 세계 영어가 주 연구 분야이다. 주요 논문으로 <카카오톡 대화에서의 경어체 종결어미의 변이 양태에 대한 다중변인분석 연구>, <국어 담화 표지 '예'와 '네'의 사용에 나타나는 변이에 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한국 사회 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공저), 역서로는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공역)이 있다. 한국사회언어학회 12대 회장을 지냈으며, 단국대학교에서 외국어대 학장과 도서관장으로 일한 바 있다. 현재는 정년 후 단국대 영어과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김규현
경희대학교 응용영어통번역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응용영어통번역학과 교수
저 : 김해연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저 : 박용한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
저 : 박은하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강사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강사
저 : 서경희
한국외국어대학교 ELLT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LLT학과 교수
저 : 장선미
호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호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역 : 백경숙
한양여자대학교 실무영어과 교수 한양여자대학교 실무영어과 교수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