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09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

김성주,양명희,신진원,송현주,김진해 저 외 13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도서출판 역락 | 2024년 2월 2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11.1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09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

책 소개

저자 소개 (18명)

저 : 김성주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조교수. 최근에는 은유와 인지문법에 관심을 가지고 박사과정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문으로 요령운?김성주(2021), 축일남?김성주(2021, 2022), 리우하이러?김성주(2022가, 2022나)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조교수. 최근에는 은유와 인지문법에 관심을 가지고 박사과정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문으로 요령운?김성주(2021), 축일남?김성주(2021, 2022), 리우하이러?김성주(2022가, 2022나) 등이 있다.
저 : 양명희 (Yang Myunghee)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어 문법뿐 아니라 사회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 한국어교육 분야의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최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의 연구원으로 재난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담화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논저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1998),『한국어 듣기교육론』(2011, 공저),『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어 문법뿐 아니라 사회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 한국어교육 분야의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최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의 연구원으로 재난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담화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논저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1998),『한국어 듣기교육론』(2011, 공저),『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저 : 신진원
호주 Macquarie 대학 통번역학 석사(2001) 부산대학교 번역학 박사(2013)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통번역과정 대표강사(2014-2018)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 강사(2013-2014) 부산대학교 영어영문과 및 교양교육원 강사(2013-현재) 신문사 번역기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매체를 대상으로 메르스, 세월호 같은 주요 이슈들에 대한 담화분석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호주 Macquarie 대학 통번역학 석사(2001)
부산대학교 번역학 박사(2013)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통번역과정 대표강사(2014-2018)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 강사(2013-2014)
부산대학교 영어영문과 및 교양교육원 강사(2013-현재)

신문사 번역기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매체를 대상으로 메르스, 세월호 같은 주요 이슈들에 대한 담화분석 연구를 수행해 왔다.
저 : 송현주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인지언어학 및 말뭉치언어학에 기반하여 한국어 어휘와 의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과학과 의료 담화의 비유 사용 양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차별과 혐오 표현의 특성과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인지언어학 및 말뭉치언어학에 기반하여 한국어 어휘와 의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과학과 의료 담화의 비유 사용 양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차별과 혐오 표현의 특성과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저 : 김진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20년 넘게 학생들에게 언어, 의미, 글쓰기, 책 만들기를 가르치는 선생으로 살고 있다. 여러 가지 궁리를 하며 학문을 넓혀가려 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내고 있다. [한겨레] ‘말글살이’에 글을 쓰는 재미와 고통을 맛보며 지낸다. 꾸준히 수련하고 있는 평화의 무술 합기도(Aikido)로 반복의 힘, 상대와의 조화, 적을 만들지 않으려는 태도, 배움의 본질과 자세, 여유와 유머를 알아가고 있다. 무엇보다 행복한 나의 명함은 네 마리 길냥이들의 집사, 진돗개 미르의 산책 머슴이다. 어쩌다 썼으나 많은 사람들이 읽기 쉽지 않은 『연어 연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20년 넘게 학생들에게 언어, 의미, 글쓰기, 책 만들기를 가르치는 선생으로 살고 있다. 여러 가지 궁리를 하며 학문을 넓혀가려 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내고 있다. [한겨레] ‘말글살이’에 글을 쓰는 재미와 고통을 맛보며 지낸다. 꾸준히 수련하고 있는 평화의 무술 합기도(Aikido)로 반복의 힘, 상대와의 조화, 적을 만들지 않으려는 태도, 배움의 본질과 자세, 여유와 유머를 알아가고 있다. 무엇보다 행복한 나의 명함은 네 마리 길냥이들의 집사, 진돗개 미르의 산책 머슴이다. 어쩌다 썼으나 많은 사람들이 읽기 쉽지 않은 『연어 연구』, 『대학 글쓰기』(공저), 『성찰과 표현』(공저),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공저), 『촛불항쟁과 새로운 민주공화국』(공저) 등이 있다.
저 : 강희숙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장. 한국어 사회언어학과 방언학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재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사 및 재난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사회언어학사전』(공저), 『언어와 금기』(공저), 『한국인 이름의 사회언어학』(공저)을 비롯하여 『자료로 보는 일본 감염병의 역사』(공저),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공저),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공저) 등의 저서와 함께 『현대음운론입문』(공역), 『언어 변...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장. 한국어 사회언어학과 방언학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재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사 및 재난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사회언어학사전』(공저), 『언어와 금기』(공저), 『한국인 이름의 사회언어학』(공저)을 비롯하여 『자료로 보는 일본 감염병의 역사』(공저),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공저),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공저) 등의 저서와 함께 『현대음운론입문』(공역), 『언어 변이와 변화』(공역) 등의 번역서 및 70여 편의 연구논문이 있다.
저 : 이정애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연구 분야는 언어?의미?문화의 상호 교차점에 두고 있는 화용론과 민속 화용론, 언어간 의사소통론, 그리고 한국어 교육 등에 걸쳐 있다. 특히 자연 의미적 메타언어론(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의 방법론을 개발한 Anna Wierzbicka (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명예교수), Cliff Goddard (Griffith University 교수)와 교류하고 있으며, NSM을 기반으로 한국어 최소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연구 분야는 언어?의미?문화의 상호 교차점에 두고 있는 화용론과 민속 화용론, 언어간 의사소통론, 그리고 한국어 교육 등에 걸쳐 있다. 특히 자연 의미적 메타언어론(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의 방법론을 개발한 Anna Wierzbicka (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명예교수), Cliff Goddard (Griffith University 교수)와 교류하고 있으며, NSM을 기반으로 한국어 최소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저 : 축일남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박사 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를 집중하여 인지언어학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개념적 은유의 위계성에 근거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박사 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를 집중하여 인지언어학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개념적 은유의 위계성에 근거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 : 신유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국어국문학과에서 비판적 담화 연구를 전공하였다. 주로 정치 담화와 미디어 담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담론, 장르, 정체성 분석을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차별 및 혐오 문제를 사회언어학적, 사회인지적 담화 연구의 관점에서 다루는 데 관심이 있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국어국문학과에서 비판적 담화 연구를 전공하였다. 주로 정치 담화와 미디어 담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담론, 장르, 정체성 분석을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차별 및 혐오 문제를 사회언어학적, 사회인지적 담화 연구의 관점에서 다루는 데 관심이 있다.
저 : 손달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국어 음운론과 텍스트언어학, 글쓰기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텍스트에 반영된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담론에 대한 연구로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국어 음운론과 텍스트언어학, 글쓰기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텍스트에 반영된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담론에 대한 연구로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저 : 신문적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신문 기사에 대한 분석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그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신문 기사에 대한 분석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그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경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신문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왔고, 말뭉치 기반의 형태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을 예정이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경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신문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왔고, 말뭉치 기반의 형태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을 예정이다.
저 : 박서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과정.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과정에 재학중이다. BK21 사업단 지원 장학생으로, 등재 논문으로는 「코로나19 관련 정치 담화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트럼프와 쿠오모의 연설 비교를 통하여」(사회언어학 29-3), 「제도 대화에서의 질문 유형과 효과성 분석: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를 중심으로」(인문언어 24-1)가 있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과정.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과정에 재학중이다. BK21 사업단 지원 장학생으로, 등재 논문으로는 「코로나19 관련 정치 담화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트럼프와 쿠오모의 연설 비교를 통하여」(사회언어학 29-3), 「제도 대화에서의 질문 유형과 효과성 분석: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를 중심으로」(인문언어 24-1)가 있다.
저 : 안희연
단국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중동학전공 조교수. 한아 영상 번역과 미디어 번역 분야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문화 콘텐츠 및 커뮤니티 통번역과 통번역 교육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중동학전공 조교수. 한아 영상 번역과 미디어 번역 분야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문화 콘텐츠 및 커뮤니티 통번역과 통번역 교육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저 : 공나형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학술연구교수 한국어 교육학과 의미?화용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학술연구교수
한국어 교육학과 의미?화용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 : 박소연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을 전공하여 한국어 문법교육, 한국어 이해/표현 교육, 화용론, 문화간 의사소통, 상호문화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의 언어문화,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문화적 편향성, 공손성에 대한 심층 고찰, 교수-학습 방안 등에 대한 연구 주제로 확장하고 있다.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을 전공하여 한국어 문법교육, 한국어 이해/표현 교육, 화용론, 문화간 의사소통, 상호문화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의 언어문화,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문화적 편향성, 공손성에 대한 심층 고찰, 교수-학습 방안 등에 대한 연구 주제로 확장하고 있다.
호남대학교 한국어학과 부교수. 호남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소장, 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책임연구원. 그동안 한국어와 한국문화, 문학교육 분야를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문화리터러시, 멀티리터러시 등을 포함하여 인문학적 리터러시 분야로 연구를 심화, 확대하고 있다. 호남대학교 한국어학과 부교수. 호남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소장, 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책임연구원. 그동안 한국어와 한국문화, 문학교육 분야를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문화리터러시, 멀티리터러시 등을 포함하여 인문학적 리터러시 분야로 연구를 심화, 확대하고 있다.
저 : 심선향
서강대학교 한국사회문화연계전공 강사. 한국어?문화 교육과 한국문학?문화 번역 연구를 주 화두로 활발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재미란 무엇인가-재미의 사회학-』 등의 번역 저서를 출판하는 등 저술 활동도 지속해오고 있다. 서강대학교 한국사회문화연계전공 강사. 한국어?문화 교육과 한국문학?문화 번역 연구를 주 화두로 활발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재미란 무엇인가-재미의 사회학-』 등의 번역 저서를 출판하는 등 저술 활동도 지속해오고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