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포스트투어리즘의 새로운 렌즈

역사·문화·시대를 넘나들다

정은혜,이나영,최서희,곽연경,손유찬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앨피 | 2024년 11월 15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이해
파일정보
EPUB(DRM) 65.51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포스트투어리즘의 새로운 렌즈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1명)

저 : 정은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2021),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2022) 외 다수
저 :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에서 Women’s Studies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George Mason University 여성학과에 재직했다. 이 시대의 올바른 페미니즘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늘 고민하는 한 인간이자,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페미니즘 연구와 실행에 앞장서온 여성학자.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스트 식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고민하면서, 일본군 성노예제·미군 기지촌 ‘위안부’·성매매·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제에 천착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여성주의 역사쓰기』, 『다시 보는 미디어와...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에서 Women’s Studies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George Mason University 여성학과에 재직했다. 이 시대의 올바른 페미니즘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늘 고민하는 한 인간이자,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페미니즘 연구와 실행에 앞장서온 여성학자.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스트 식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고민하면서, 일본군 성노예제·미군 기지촌 ‘위안부’·성매매·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제에 천착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여성주의 역사쓰기』,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젠더와 사회』,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 등이 있다.
저 : 최서희
경희대 지리학과 조교수.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마카오 관광대학교(Macao Institute for Tourism Studies)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지역 관광에서 윤리성 문제, 관광 지역의 일상성, 공공외교, 지리 교육을 통한 지역 문제 이해 및 간 문화 소통, 이민자의 삶과 여가를 둘러싼 시공간 패턴,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경희대 지리학과 조교수.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마카오 관광대학교(Macao Institute for Tourism Studies)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지역 관광에서 윤리성 문제, 관광 지역의 일상성, 공공외교, 지리 교육을 통한 지역 문제 이해 및 간 문화 소통, 이민자의 삶과 여가를 둘러싼 시공간 패턴,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저 : 곽연경
현) 초당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전) Singapore Airlines 객실 승무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광주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공저서로 『항공 호텔 관광 면접 인터뷰』(2022), 『포스트투어리즘의 새로운 렌즈』 (2023) 등이 있다. 현) 초당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전) Singapore Airlines 객실 승무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광주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공저서로 『항공 호텔 관광 면접 인터뷰』(2022), 『포스트투어리즘의 새로운 렌즈』 (2023) 등이 있다.
저 : 손유찬
인하대학교 연구원, 리터러시비(Literacy_B) 기자와 도서관 문화강사로 일하고 있다. 상명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스트팔렌빌헬름뮌스터대학교(WWU)에서 공부했다. 서대문형무소 도슨트, 세종대 산학협력단 연구보조원으로 일했다. 저서로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논문으로 「역사문화경관의 보존 및 활용방안」, 「강화 교동도의 경관변화 연구」 등이 있다. 인하대학교 연구원, 리터러시비(Literacy_B) 기자와 도서관 문화강사로 일하고 있다. 상명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스트팔렌빌헬름뮌스터대학교(WWU)에서 공부했다. 서대문형무소 도슨트, 세종대 산학협력단 연구보조원으로 일했다. 저서로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논문으로 「역사문화경관의 보존 및 활용방안」, 「강화 교동도의 경관변화 연구」 등이 있다.
저 : 김지영
공주대 참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에서 인문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연구원에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교수를 지냈다. 논문으로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를 중심으로〉 등이, 저서로 《한국의 산지山誌》(공저) 등이 있다.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의 통합적인 조망에 관심을 갖고, 전통 자연관에서 근대 자연관으로의 이행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공주대 참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에서 인문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연구원에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교수를 지냈다. 논문으로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를 중심으로〉 등이, 저서로 《한국의 산지山誌》(공저) 등이 있다.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의 통합적인 조망에 관심을 갖고, 전통 자연관에서 근대 자연관으로의 이행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저 : 이세윤
한국항공서비스협회 사무처장. 경희대에서 관광학 석사학위를, 세종대에서 호텔관광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목포 다크투어리즘 연구」, 「관광자원의 새로운 활용 방안 모색?화암동굴 호러체험 사례를 중심으로」, 「무장애관광자원의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제주 거문오름을 사례로」 등이 있다. 한국항공서비스협회 사무처장. 경희대에서 관광학 석사학위를, 세종대에서 호텔관광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목포 다크투어리즘 연구」, 「관광자원의 새로운 활용 방안 모색?화암동굴 호러체험 사례를 중심으로」, 「무장애관광자원의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제주 거문오름을 사례로」 등이 있다.
저 : 김주락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강사.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후 과정을 연수했다. 관광에서 이주민을 포함한 주민(로컬)의 성격과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 성과를 출판했고, 세계를 방랑하며 ‘로컬’, ‘관광’, ‘장소’를 키워드로 상상하고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강사.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후 과정을 연수했다. 관광에서 이주민을 포함한 주민(로컬)의 성격과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 성과를 출판했고, 세계를 방랑하며 ‘로컬’, ‘관광’, ‘장소’를 키워드로 상상하고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저 : 장윤정
서울대 국토문제연구소에서 재직 중이다.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화를 통한 장소 이미지의 교류?북제주군 우도를 사례로」로 석사학위를, 「인천상륙작전 영화 속 장소 재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국토문제연구소에서 재직 중이다.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화를 통한 장소 이미지의 교류?북제주군 우도를 사례로」로 석사학위를, 「인천상륙작전 영화 속 장소 재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 : 이하영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공동대표. 중앙대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성매매방지법 전후 시기의 반성매매운동과 성노동자운동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매매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공부를 시작하여, 현장단체 활동가로서 ‘성매매여성의 비범죄화’를 목표로 운동하고 있다.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공동대표. 중앙대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성매매방지법 전후 시기의 반성매매운동과 성노동자운동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매매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공부를 시작하여, 현장단체 활동가로서 ‘성매매여성의 비범죄화’를 목표로 운동하고 있다.
저 : 김금미
순천향대·선문대 강사. 한국외국어대에서 문화콘텐츠 전공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중소출판협회 사무국장, 순천향대학교 연구조교수로 연구 활동을 하였다. 현재 윤봉길의사기념관 운영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다. 주로 지역 문화자원(OSMU) 발굴 및 개발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 수용과 생산에 관심을 두고 있다. 순천향대·선문대 강사. 한국외국어대에서 문화콘텐츠 전공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중소출판협회 사무국장, 순천향대학교 연구조교수로 연구 활동을 하였다. 현재 윤봉길의사기념관 운영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다. 주로 지역 문화자원(OSMU) 발굴 및 개발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 수용과 생산에 관심을 두고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