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디아스포라와 이동성

정은혜,김수철,우연희,유경한,김주영 저 외 5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앨피 | 2024년 11월 15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이해
파일정보
EPUB(DRM) 59.3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0명)

저 : 정은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2021),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2022) 외 다수
저 : 김수철
건국대학교 KU연구전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방법론》(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문화산업에서의 플랫폼화: 웹툰산업을 중심으로〉(2019), 〈Mobile Hallyu: Creativity and Mobility〉(2019), 〈The Affective Politics of Citizenship in Reality Television Programs Featuring North Korean Resettlers〉(2019) 등이 있다. 건국대학교 KU연구전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방법론》(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문화산업에서의 플랫폼화: 웹툰산업을 중심으로〉(2019), 〈Mobile Hallyu: Creativity and Mobility〉(2019), 〈The Affective Politics of Citizenship in Reality Television Programs Featuring North Korean Resettlers〉(2019) 등이 있다.
저 : 우연희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일본문화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등이 있으며, 저서로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공역), 《황후의 초상》(공역)이 있다.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일본문화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등이 있으며, 저서로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공역), 《황후의 초상》(공역)이 있다.
저 : 유경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 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언론학(Mass Communications)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연구이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이사 및 총무이사,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텔레비전 연구』(2017, 공역) 등이 있고, 논문으로 「But not all social media are the same: Analyzing organizations’ social media usage patterns」(2016),...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 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언론학(Mass Communications)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연구이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이사 및 총무이사,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텔레비전 연구』(2017, 공역) 등이 있고, 논문으로 「But not all social media are the same: Analyzing organizations’ social media usage patterns」(2016), 「Why read online new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s, behaviors, and consumption in South Korea」 (2013) 등이 있다.
저 : 김주영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덕여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공저),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공저),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 사이》(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재해석〉,〈New Horizon for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Literature in Korea:Centered on Multicultural Imagination Shown in Son Honggyu’s Novel and Ha Jong-oh’s Poeti...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덕여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공저),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공저),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 사이》(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재해석〉,〈New Horizon for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Literature in Korea:Centered on Multicultural Imagination Shown in Son Honggyu’s Novel and Ha Jong-oh’s Poetic Literature〉 등이 있다.
저 : 조병철
2003년 광운대학교에서 전자공학학으로 공학박사를 받았으며, 2019년 고려대학교에서 영상문화학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며, 현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콘텐츠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술인문 융합, 기술정책, 미디어인문학, 콘텐츠 및 미디어 교육, 실감콘텐츠 연구 분야에서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다. 그 외 2010년 이후 관련 연구 분야 논문을 13편 이상 게재한 바 있다. 2003년 광운대학교에서 전자공학학으로 공학박사를 받았으며, 2019년 고려대학교에서 영상문화학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며, 현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콘텐츠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술인문 융합, 기술정책, 미디어인문학, 콘텐츠 및 미디어 교육, 실감콘텐츠 연구 분야에서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다. 그 외 2010년 이후 관련 연구 분야 논문을 13편 이상 게재한 바 있다.
저 : 배진숙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2019),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저 : 서기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일본 나고야대 일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형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아동·의학 분야의 인물과 시대상을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시카타 신과 전쟁아동문학』,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매매춘과 일본문학』, 『암야행로』 등이 있다.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일본 나고야대 일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형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아동·의학 분야의 인물과 시대상을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시카타 신과 전쟁아동문학』,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매매춘과 일본문학』, 『암야행로』 등이 있다.
저 : 김수정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이화여대에서 사회과교육학과 인문지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국가·경계·질서』, 『개념으로 읽는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쿠바의 경관』이 있고, 논문으로 「인천시 외국인 이주자의 분포 특성과 다문화 로컬리티에 관한 예비적 연구」, 「Global socioeconomic networks of the apparel industry: the case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등이 있다.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이화여대에서 사회과교육학과 인문지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국가·경계·질서』, 『개념으로 읽는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쿠바의 경관』이 있고, 논문으로 「인천시 외국인 이주자의 분포 특성과 다문화 로컬리티에 관한 예비적 연구」, 「Global socioeconomic networks of the apparel industry: the case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등이 있다.
저 : 이승진
건국대학교 KU연구전임교수. 일본 오사카대 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재일조선인 문학 및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재일디아스포라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공저), 『재일한인문학 창작 현황 자료집』(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재일디아스포라문학 선집1-4』(공역), 『재일이라는 근거』(공역) 등이 있다. 건국대학교 KU연구전임교수. 일본 오사카대 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재일조선인 문학 및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재일디아스포라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공저), 『재일한인문학 창작 현황 자료집』(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재일디아스포라문학 선집1-4』(공역), 『재일이라는 근거』(공역)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