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영화는 역사가 아니다

한국 현대사 영화는 어떻게 관객을 사로잡았나

정영권,성진수,정민아,백태현,홍진혁 | 한국문화사 | 2025년 1월 17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연극/공연
파일정보
PDF(DRM) 41.5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5명)

저 : 정영권
부산대 영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KINO』 기자, 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쳤으며 동국대·한국외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으며, 한국 영화장르를 정치·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적대와 동원의 문화정치: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1949~1968』(2015), 『영화 이론 입문: 포토제니론에서 디지털 이론까지』(2018), 『영화 장르의 이해』(개정판.2024), 공저로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2017), 『영화란 무엇인가?』(2022) 등이 있다. 부산대 영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KINO』 기자, 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쳤으며 동국대·한국외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으며, 한국 영화장르를 정치·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적대와 동원의 문화정치: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1949~1968』(2015), 『영화 이론 입문: 포토제니론에서 디지털 이론까지』(2018), 『영화 장르의 이해』(개정판.2024), 공저로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2017), 『영화란 무엇인가?』(2022) 등이 있다.
저 : 성진수
영화연구자·평론가. 부산대 영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을 거쳤으며, 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출판이사와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동국대·경희대 등에서 영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강의를 하면서 한국영화와 동아시아 영화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광의 탄생』(2016), 『욕망의 모모한 대상』(2021), 『영화란 무엇인가?』(2022),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2023) 등이 있다. 영화연구자·평론가. 부산대 영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을 거쳤으며, 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출판이사와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동국대·경희대 등에서 영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강의를 하면서 한국영화와 동아시아 영화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광의 탄생』(2016), 『욕망의 모모한 대상』(2021), 『영화란 무엇인가?』(2022),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2023) 등이 있다.
저 : 정민아
성결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출판이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EBS 국제다큐영화제 프로그래머와 한양대 현대연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아시아영화와 한국영화의 글로벌 수용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The Korean Cinema Book(근간), 『K컬처 트렌드 2024』(2023), 『K콘텐츠 코드』(2023),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2023), 『봉준호 코드』(2022) 등이 있다. 성결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출판이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EBS 국제다큐영화제 프로그래머와 한양대 현대연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아시아영화와 한국영화의 글로벌 수용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The Korean Cinema Book(근간), 『K컬처 트렌드 2024』(2023), 『K콘텐츠 코드』(2023),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2023), 『봉준호 코드』(2022) 등이 있다.
저 : 백태현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경희대·동국대·인하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와 한류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 『K컬처 트렌드 2024』가 있다.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경희대·동국대·인하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와 한류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 『K컬처 트렌드 2024』가 있다.
저 : 홍진혁
부산대 영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전임연구원,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이다. 동국대·상명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를 중심으로 영화형식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장군의 수염〉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양식적 특징: 스타일적 일탈과 제도적 승인의 결합」(2023),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2021), 「한국 사회문제영화의 특징과 의미: 현실정치의 패배감에 대응하는 제의로서의 장르」(2019) 등이 있다. 부산대 영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전임연구원,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이다. 동국대·상명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를 중심으로 영화형식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장군의 수염〉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양식적 특징: 스타일적 일탈과 제도적 승인의 결합」(2023),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2021), 「한국 사회문제영화의 특징과 의미: 현실정치의 패배감에 대응하는 제의로서의 장르」(2019)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