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장석주 시인의 마음을 흔드는 세계 명시 100선

장석주 | 북오션 | 2017년 9월 15일 한줄평 총점 8.0 (5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건)
  •  eBook 리뷰 (1건)
  •  한줄평 (2건)
분야
에세이 시 > 시/평론
파일정보
PDF(DRM) 52.2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장석주 시인의 마음을 흔드는 세계 명시 100선

책 소개

시는 시인의 영혼의 샘에서 흘러나온 감로수다. 목마른 이들에게는 더욱 간절한 그것이다. 시는 목마름의 정도와 갈망의 시기에 따라 각각의 풍미와 향취가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세상의 수많은 시가 있지만, 그것을 모두 다 맛볼 수는 없을 것이다. 어떤 눈 밝고 솜씨 좋은 ‘의인’의 수고를 통해서 골라 한 권으로 엮여진다면, 그것은 정말 감사하고 고마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집은 시로써 일어나 시와 함께 인생을 주유하는 장석주 시인 곁에 있던 시들로 묶였다. 손 때 묻은 애장품처럼 곱게 간직하던 것들을 내 놓은 것이다. 시인의 안목으로 살포시 한 데 모인 시들은 개성의 도드라짐에도 어느 것 하나 껄끄럽지 않게 어깨를 기대는 모양새다. 장석주 시인이 열어 준 또 하나의 창을 통해 동서와 고금을 종횡하는, 때론 익숙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한, 영롱한 세계의 시 100편을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시를 고르며…… 4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미라보 다리 | 기욤 아폴리네르 16
가지 않은 길 | 로버트 프로스트 18
내 가슴은 뛰노니 | 윌리엄 워즈워스 20
지옥에서 보낸 한 철 | 아르튀르 랭보 22
해변의 묘지 | 폴 발레리 24
애너벨 리 | 에드거 앨런 포 36
뱀 | D.H. 로렌스 40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존 단 47
이 사랑 | 자끄 프레베르 48
또 다른 호랑이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54
나의 어머니 | 베르톨트 브레히트 58
시상(詩想) ? 여우 | 테드 휴즈 60
봄 | 빈센트 밀레이 62
여행에의 초대 | 샤를 보들레르 64
작은 상자 | 바스코 포파 68
큰 집은 춥다 | 하우게 70
식당 | 프랜시스 잠 72
익나시오 산체스 메히아스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74
겨울 물고기 | 요제프 브르도스키 78
튤립 | 실비아 플라스 81
화살과 노래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87
4천의 낮과 밤 | 다무라 류이치 88
내가 제일 예뻤을 때 | 이바라키 노리코 91
니그로, 강에 대해 말하다 | 랭스턴 휴즈 94
나의 방랑 | 아르튀르 랭보 96
사랑이 가네 흐르는 강물처럼 사랑이 떠나가네
이니스프리 호도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100
가을날 | 라이너 마리아 릴케 102
죽음의 푸가 | 파울 첸란 104
순수의 전조(前兆) | 윌리엄 블레이크 108
새로운 사랑의 품에서 | 잘랄 앗 딘 알 루미 111
어머니께 드리는 편지 |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예세닌 112
우리들의 행진곡 |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115
유예된 시간 | 잉게보르크 바하만 118
야간 통행금지 | 폴 엘뤼아르 121
J. 앨프래드 프루프록의 연가 | T.S.엘리어트 122
수박을 기리는 노래 | 파블로 네루다 135
나 자신의 노래 1 | 월트 휘트먼 143
바다의 미풍 | 스테판 말라르메 145
지평선 | 막스 자콥 148
반평생 | 프리드리히 횔덜린 149
경이로움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150
가로등의 꿈 | 볼프강 보르헤르트 152
대답 | 베이다오 156
오직 드릴 것은 사랑뿐이리 | 마야 엔젤로우 160
숲의 대화 |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161
불과 재 | 프랑시스 퐁주 164
모든 일에서 극단에까지 가고 싶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165
산비둘기 | 장 콕토 168
아름다운 사람 | 헤르만 헤세 170
언덕 꼭대기에 서서 소리치지 말라 | 하우게 171
당신의 오두막집 위로 그 기막힌 저녁 빛이 흐르기를 빕니다
두이노의 비가(悲歌)·9 | 라이너 마리아 릴케 174
시(詩) | 파블로 네루다 182
소네트 89 | 셰익스피어 186
태양의 | 필립 라킨 188
편도나무야, 나에게 신에 대해 이야기해다오 | 니코스 카잔차키스 190
뱀을 정원으로 옮기며 | 메리 올리버 191
진정한 여행 | 나짐 하크메트 194
결혼에 대하여 | 칼릴 지브란 196
출발 | 막스 자콥 198
눈사람 | 월리스 스티븐즈 200
시학 | 아치볼드 매클래시 202
내가 가본 적 없는 어떤 곳에 | E.E. 커밍즈 204
늑대들 | 앨런 테이트 206
테이블 | 쥘르 쉬페르비엘 210
눈 | 생종 페레스 214
자유 | 폴 엘뤼아르 216
자유결합 | 앙드레 브르통 224
밤 | 앙리 미쇼 228
난 그게 그리 무섭지 않아 | 레이몽 끄노 230
옛날의 겨울 | 살바토레 콰시모도 233
행복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234
자작나무 | S. 예세닌 236
염소 | 움베르또 사바 238
오수(午睡) | 에우제니오 몬탈레 240
서정시 | 요제프 브로드스키 242
새들은 어디서마지막 눈을 감을까
지하철역에서 | 에즈라 파운드 246
눈 오는 저녁 숲가에서 | 로버트 프로스트 247
그대가 늙었을 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250
인생 찬가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52
포도주 찬미 | 샤를 보들레르 256
거상(巨像) | 실비아 플라스 258
새 | 프랑시스 퐁쥬 261
일곱 번째 사람 | 아틸라 요제프 262
기러기 | 메리 올리버 266
유희는 끝났다 | 잉게보르크 바하만 268
참나무 | 알프레드 테니슨 272
고요한 생활 | 알렉산더 포프 274
노파에 대한 이야기 | 타데우슈 루제비치 276
나무 밑의 식사 | 카를 크롤로브 284
성냥 | 프랑시스 퐁쥬 287
태양의 도시에서 온 편지 | 베이다오 289
탁자 위의 이 사과 | 기유빅 294
한여름, 토바고 | 데릭 월컷 296
배움을 찬양함 | 베르톨트 브레히트 298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 - 엘자 앙리께즈에게
| 쟈끄 프레베르 300
푸른 도화선 속으로 꽃을 몰아가는 힘이
| 딜런 말라이스 토머스 303
술 노래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305
열매 맺지 못하는 오렌지나무의 노래 | 가르시아 로르카 306
질문의 책 | 파블로 네루다 308
새장에 갇힌 새 | 마야 안젤루 314
시인 소개 316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명)

저 : 장석주 (張錫周)
작가 한마디 사과를 두 개 가진 사람이 행복할까요, 사과를 한 개 가진 사람이 행복할까요? 물론 한 개가 되었든 두 개가 되었든 그걸 깨물어 먹으며 사과를 먹는 즐거움을 느낄 줄 아는 사람이 행복하겠죠. 행복은 조건의 문제이기보다는 향유의 문제죠. 행복을 향유할 줄 모르는 사람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날마다 읽고 쓰는 사람. 시인, 에세이스트, 인문학 저술가. 그밖에 출판 편집자, 대학 강사, 방송 진행자, 강연 활동으로 밥벌이를 했다. 현재 아내와 반려묘 두 마리와 함께 파주에서 살고 있다. 1955년 1월 8일(음력), 충남 논산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스무 살이던 1975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시가 당선하고, 스물 넷이 되던 1979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시와 문학평론이 입상하면서 등단 절차를 마친다. ‘고려원’ 편집장을 거쳐 ‘청하’출판사를 직접 경영하는 동안 15년간을 출판 편집발행인으로 일한다. 동덕여대, 경희사이버대학교, 명지전문대에서 강의... 날마다 읽고 쓰는 사람. 시인, 에세이스트, 인문학 저술가. 그밖에 출판 편집자, 대학 강사, 방송 진행자, 강연 활동으로 밥벌이를 했다. 현재 아내와 반려묘 두 마리와 함께 파주에서 살고 있다. 1955년 1월 8일(음력), 충남 논산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스무 살이던 1975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시가 당선하고, 스물 넷이 되던 1979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시와 문학평론이 입상하면서 등단 절차를 마친다. ‘고려원’ 편집장을 거쳐 ‘청하’출판사를 직접 경영하는 동안 15년간을 출판 편집발행인으로 일한다.

동덕여대, 경희사이버대학교, 명지전문대에서 강의를 하고, 국악방송에서 3년여 동안 [문화사랑방], [행복한 문학] 등의 진행자로도 활동한다. 2000년 여름에 서른여섯 해 동안의 서울생활을 접고 경기도 안성의 한적한 시골에 집을 짓고 전업작가의 삶을 꾸리고 있다. 한 잡지는 그를 이렇게 소개했다. “소장한 책만 2만 3,000여 권에 달하는 독서광 장석주는 대한민국 독서광들의 우상이다. 하지만 많이 읽고 많이 쓴다고 해서 안으로만 침잠하는 그런 류의 사람은 아니다.

스무 살에 시인으로 등단한 후 15년을 출판기획자로 살았지만 더는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 되자 업을 접고 문학비평가와 북 칼럼니스트로 활동해왔다. 급변하는 세상과 거리를 둠으로써 보다 잘 소통하고 교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안성에 있는 호숫가 옆 ‘수졸재’에 2만 권의 책을 모셔두고 닷새는 서울에 기거하며 방송 진행과 원고 집필에 몰두하고, 주말이면 안식을 취하는 그는 다양성의 시대에 만개하기 시작한 ‘마이너리티’들의 롤모델이다.”

저서로는 『몽해항로』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일요일과 나쁜 날씨』,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불면의 등불이 너를 인도한다』, 『이상과 모던뽀이들』, 『가만히 혼자 웃고 싶은 오후』, 『일요일의 인문학』,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고독의 권유』, 『철학자의 사물들』, 『글쓰기는 스타일이다』,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시간의 호젓한 만에서』, 『우리는 서로 조심하라고 말하며 걸었다』(공저) 등이 있다. 애지문학상, 질마재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출판사 리뷰

스무 살 때, 본격적인 시(詩)인생을 시작하다

장석주 시인의 말을 빌면, 그는 십대 중반에 시작(詩作)을 시작했다. 그리고 스무 살의 나이에 등단한다. “시를 읽고 쓰면서 내면에 깃드는 고요 속에서 나 자신이 온전해진다는 것을 깨닫고 시의 세계로 깊이 빨려들고 말았다. 시의 고요는 무엇의 방편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다. 고요는 삶의 의미 있는 한 양식이고, 내 외로움과 고립감을 풍성한 것으로 바꾸어준다. 이 고요 속에서 나는 홀연 비루함에서 벗어나 나 자신으로 온전하게 머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시인은 “시를 읽고 쓰는 행위는 쾌감 욕구 원칙의 범주에 든다. 또한 시를 쓰는 것은 욕망의 예술적 승화와 표현의 일부다.”고 이야기한다.

시(詩)가 읽히는 시절이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현대인들은 삶이 각박할수록, 바쁠수록 은유와 상징의 위로를 필요로 한다. 긴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면서도 잠시나마 짧은 시 한편에서라도 깊숙한 여유를 찾아내고 싶어 하는 것이다. 장석주 시인은, “무엇보다도 시는 사물과 세계를 상상력과 은유로 새로 빚는 예술 행위에 속한다. 시적 생산의 본질은 유에서 무를 창조하는 일이다. 이 창조 행위는 한 마디로 감정과 기분, 우연의 운명, 사물과 풍경, 여러 인생 경험을 언어로 ‘특별화하기(making special)’이다.”라고 한다. 이 시집에는 그가 말한 기욤, 랭보, 보들레르, 릴케, 베이다오 등 수십 명의 세계 여러 시인들의 “특별화하기”가 제대로 드러나 있다. 독자들은 그 ‘특별화하기’에 기꺼이 동참해 자신의 삶을 천천히 다시 돌아볼 수 있게 된다.

혼자 아껴가며 읽던 시를 드러내다

시인은 ‘세계 명시 100선’을 모으며, 시와 처음 만나던 때의 설렘과 흥분을 고스란히 느꼈다고 한다. 시가 매혹으로 자신을 사로잡은 시절로 돌아간 듯 행복했기에 처음 습작하던 십대 시절부터 지금까지 아끼고 사랑하며 읽은 시들을 한 권으로 묶는 일은 보람찼다는 것이다. 이 시집은 장석주 시인의 마음에 울림을 주었던 시, 오랫동안 사랑한 시, 습작에 영향을 주었던 시, 한번 읽고 나서 잊을 수 없었던 시, 널리 읽는 시들을 한 편 한 편 공들여 찾아 모은 것이다. 그 때문에 이 시집이 눌리고 찢긴 마음의 상처를 보듬고 인생을 비춰보며 의미를 찾는 특별한 경험이 되길, 시가 주는 위안과 기쁨을 주고, 잃어버린 자아와 홀로 있는 능력을 회복시켜주는 계기가 되길 바람으로 말하고 있다. 그는 햇빛이 흘러드는 가을 오후의 거실, 학교 도서관, 사람들로 북적이는 도심 카페, 깊은 산중 흙집, 오래 투병하는 병실, 군대 막사, 한밤중을 뚫고 달리는 열차 안, 낙엽 지는 공원 벤치, 그리고 배낭을 메고 헤매다가 든 이국의 숙소에서든, 이 모든 세계의 장소들에서 “이 시집을 펴서 읽는 이들에게 축복이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거칠고 메마른 생활에 휘둘리며 살아온 당신께 이 앤솔로지를 기꺼운 마음으로 바친다.”고 한다. 독자들은 시인이 주는 이 따뜻한 축복을 받아 마땅하리라.

종이책 회원 리뷰 (2건)

파워문화리뷰 100편의 시 100명의 멘토-마음을 흔드는 세계 명시 100선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꽃*****을 | 2019.02.28

 

묵을 수록 좋은 것하면 포도주하고 친구 골동품 정도가 되려나. 그런데 오랜 시간 읽히는 시 또한 오래묵을수록 묵직한 울림을  또는 화살처럼 따끔하게 가슴에 꽂히거나 섬광처럼 머리속에서 환하게 빈짝거리기도 한다.

 

'마음을 흔드는 세계 명시 100편'은  시인 장석주가 고른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해외 100편을 담은 시집인데, 100편 중에는 새로운 시보다는 익히 알고  있던 작품들, 10대 사춘기 시절에 애송했거나 혹은 교과서에서 접했던 낯익은 시들이 훨씬 많았다.  아폴리네르, 프로스트,보들레르,브레히트, 네루다 등등등 당대

한 시대를 이끌어온 사조를 대표하는 기라성같은 시인과 작품들.

 

첫장부터 그 유명한 '미라보 다리'였다. 기욤 아폴리네르의.  중학생 때였던가. 이시를 처음 읽었을 때가. 내가 미라보 다리를 알게된 것은 영화도 아니고 소설도 아닌 이 시를 통해서였다. 사랑이 흐르고 희망이 흐르는 다리. 낭만의 정서. 그것도 무려 파리의. 이 시를 읽고 나서 머나먼 이국의 미라보 다리 이 예쁜 이름의 다리를 동경하게 됐던 기억은 내겐 추억이 됐다.

 

그 다음 시는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 . 기억하고 있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만났던 시라는 걸, '단풍 든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는 첫행은 지금도 외우고 있다.

이어지는 '내 가슴은 뛰노니','지옥에서 보낸 한 철' .해변의 묘지' '애너벨 리'.. 너무나도 유명한 시의 퍼레이드가 계속 펼쳐졌다. 낭만과 격정과 허무를 뿜어내는 작품 속 감정이 파도타기 하는 듯 전해져왔다. 

 

실비아 플라스 '거상(巨像)', 잉게보르크 바하만 '유희는 끝났다'.자살로 일찍이 생을 마감한 이 두 여성시인 작품은 더욱 집중해서 읽었다.   에즈라 파운드의 '지하철 역에서' .두 줄짜리 시에선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받았고. 

 

'장미가 좋아서 꺾었더니 가시가 있고

친구가 좋아서 사귀었더니 이별이 있고

세상이 좋아서 태어났더니 죽음이 있더라나!'

 

 마야 엔젤로우의 '오직 드릴 것은 사랑뿐이리'의 싯구처럼 이 시집에서는 아포리즘으로 읽혀지는 구절도 많았다. 세월을 뛰어넘어 여전히 애송되는 시의 힘은 바로 이렇게  삶을 꿰뚫는 원칙들이 이 짧은 시 속에 내포돼 있기 때문이리라.

 

롱펠로의 '인생찬가'는 오랫만에 다시 읽어도 여전히 심장을  펌프질하며 의욕을 샘솟게 하는 에너지를 받는 듯 하다. '행동하라,-행동하라, 살아있는 '현재'에서' 라는 구절에서는 불끈 주먹쥐게 된다.

 

이외에도 이 시집에서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구절에 필이 꽂혔다. 시가 매력적인 이유는 시를 읽는 가장 큰 이유는 이렇게 단 몇줄에 핵심을 꿰뚫는 의미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이 시집에서 가장 나를 흔들어놓은 작품은 메리 올리버의 '기러기'였다. 처음 보는 작품이었는데,

'착해지지 않아도 돼./ 무릎으로 기어다니지 않아도 돼.' 이렇게 시작해서

' 네가 있어야 할 곳은 이 세상 모든 것들/ 그 한가운데라고.'라고 마무리 지어진 이 작품을 읽은 뒤,

기러기 아빠라는 단어에서 받은 외로운 기러기 이미지는 싹 지워지고  갈매기 조나단도 떠오르면서,세상을 가로질러  하늘높이 비상하는 기러기를 상상하게 됐다. 시의 힘이란 이런 것이다. 이미지를 바꾸고 상상하게 만들고.

 

'젊거나 늙거나 /저기 참나무같이 /네 삶을 살아라'라고 말하는 알프레드 테니슨의 '참나무'.깊이 뿌리박은 참나무처럼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내라는 의지를 다지게 한다. 참나무란 단어가 왜 이리 든든한건지.

 

이외에도 여러 작품들이 나를  한번씩 자극했다. 역시 오랜 동안 사랑받고 공감받은 시는 피가 되고 살이되는 찌개백반 급의 에너지가 된다. 주먹을 불끈 쥐게 하고, 나를 돌아보게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하고. 한탄하게 하고.

 

함께 잘 나이들어가자며 지인이 선물로 준 시집이라 그런지, 마음을 열고 읽었다.시가 혈액처럼 온 몸으로 순환되는 느낌을 받았다. 100편의 시는 100명의 멘토였다.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접어보기
구매 시는... 편안한 마음으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로얄 민**빠 | 2019.02.28

동서와 고금을 종횡하는, 때론 익숙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한, 영롱한 세계의 시 100편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시는... 일단 마음 편히 읽을 수 있는 장르의 문학이며 모든 사람이 쉽게 한 수 정도 지을 수 있을거라 생각하는 장르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어떤 시를 대해도 이런 정도는, 혹은 이 시 쯤은 이라 생각 할지도 모른다. 과연 그럴까? ㅎㅎ

 

이 책에 소개된 세게 유수의 시는 오랜 동안 세게적으로 많이 회자되었던 작품들이다. 살며 느낄 수 있는 희노애락에 대해 농밀하게 집합해 놓은 친근한 작품인 것이다. 친근하기에 더 쉽게 생각하고 의미는 뒷전이고 안다, 모른다라고 이분법적으로 말하여왔던, 그래서 놓치기 쉬운 작품들이다.

 

어렸을 적 마음을 울리고, 지금도 곱씹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주는 시인 것이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  종이책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eBook 회원 리뷰 (1건)

구매 감성 시집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구**2 | 2018.10.02

필사용으로 처음으로

 

시집을 ebook으로 구매했다.

 

시를 감상하기에는 역시 종이책이 최고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필사로 따라 적기에는 또 편하다.

 

 

오랜만에 시를 한자 한자 따라 적으며 감상해보니

 

새삼 마음이 평온하다.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흔히 배운 시도 있고

 

세계 명시도 함께 있어 더욱 새로운 느낌이 든다.

 

 

종이책으로도 소장하여 한번씩

 

손에 잡히는 아무 페이지나 펼쳐 읽어보고 싶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  eBook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줄평 (2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