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더 넓은 세계문학

우리의 세계는 문학으로 넓어질 수 있다

우석균 ,강우성,김용민,송승석,심원섭 저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홍시커뮤니케이션 | 2018년 1월 31일 리뷰 총점 8.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1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EPUB(DRM) 29.6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6명)

저 : 우석균
서울대학교 서어서문과를 졸업하고, 페루 가톨릭대학교와 스페인 마드리드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각각 라틴아메리카 문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 집필 중에는 칠레의 칠레 대학교와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도 수학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에 재직 중으로 출판과 국제 교류에 역점을 둔 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AALA문학포럼(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문학포럼)의 라틴아메리카 문학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쓰다 만 편지』, 『잉카 in 안데스』, 『바람의 노래 혁명의 노래』를 썼으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작가』, 로베르토 볼라뇨의... 서울대학교 서어서문과를 졸업하고, 페루 가톨릭대학교와 스페인 마드리드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각각 라틴아메리카 문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 집필 중에는 칠레의 칠레 대학교와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도 수학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에 재직 중으로 출판과 국제 교류에 역점을 둔 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AALA문학포럼(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문학포럼)의 라틴아메리카 문학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쓰다 만 편지』, 『잉카 in 안데스』, 『바람의 노래 혁명의 노래』를 썼으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작가』, 로베르토 볼라뇨의 『야만스러운 탐정들』과 『칠레의 밤』, 루이사 발렌수엘라의 『침대에서 바라본 아르헨티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사랑과 다른 악마들』, 안토니오 스카르메타의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그밖에도 『부에노스아이레스, 일상생활과 소외』, 『현대 라틴아메리카』, 『마술적 사실주의』를 공역했으며, 『오르비스 테르티우스: 라틴아메리카 석학에게 듣는다』와 『역사를 살았던 쿠바』 등을 편찬했다.
저 : 강우성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미국문학과 해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문학, 비평이론, 비교문학, 영화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비평이론의 정치성과 주체의 문제에 깊은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공저)이 있다. 『어리석음』, 『이론 이후 삶』, 『팬데믹 패닉』, 『천하대혼돈』, 『치료받을 권리』를 우리말로 옮겼으며, 「해체론과 문학의 문제」, 「폭력과 법의 피안」, 「미지의 글쓰기」, 「잠재성의 심연」 등의 논문을 썼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미국문학과 해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문학, 비평이론, 비교문학, 영화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비평이론의 정치성과 주체의 문제에 깊은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공저)이 있다. 『어리석음』, 『이론 이후 삶』, 『팬데믹 패닉』, 『천하대혼돈』, 『치료받을 권리』를 우리말로 옮겼으며, 「해체론과 문학의 문제」, 「폭력과 법의 피안」, 「미지의 글쓰기」, 「잠재성의 심연」 등의 논문을 썼다.
저 : 김용민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프로방스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인천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재직했다. 19세기와 20세기 프랑스 시를 대상으로 〈라마르틴느의 영감론과 그 시사적(詩史的) 의미〉, 〈세기병의 배경과 양상?뮈세의 경우〉, 〈생트뵈브의 신비주의 시론 : 그 의미와 한계〉, 〈르베르디의 이미지론〉, 〈자코테가 겪는 언어의 문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프랑시스 잠과 관련된 논문으로는 〈프랑시스 잠의 객관적 묘사〉와 〈프랑시스 잠 혹은 자연의 복원〉이 있다. 〈《화사집》과 《악의 꽃》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프로방스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인천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재직했다. 19세기와 20세기 프랑스 시를 대상으로 〈라마르틴느의 영감론과 그 시사적(詩史的) 의미〉, 〈세기병의 배경과 양상?뮈세의 경우〉, 〈생트뵈브의 신비주의 시론 : 그 의미와 한계〉, 〈르베르디의 이미지론〉, 〈자코테가 겪는 언어의 문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프랑시스 잠과 관련된 논문으로는 〈프랑시스 잠의 객관적 묘사〉와 〈프랑시스 잠 혹은 자연의 복원〉이 있다. 〈《화사집》과 《악의 꽃》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학적 고찰〉, 〈《오뇌의 무도》에 담긴 베를렌느 번역시의 편향성〉은 일종의 비교문학적 연구다. 번역서로 보들레르의 글을 발췌한 《꿈꾸는 알바트로스》, 《프랑스 시 역사》, 《개인주의의 역사》 등이 있다.
저 : 송승석
1966년 인천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인천에 잠든 중국인들』,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아시아의 고아』 등이 있다. 1966년 인천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인천에 잠든 중국인들』,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아시아의 고아』 등이 있다.
저 : 심원섭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전 독쿄(獨協)대학 언어문화학과 특임교수 저서: 『원본 이육사 전집』, 『사진판 윤동주 자필시고 전집』(공저), 『한일문학의 관계론적 연구』, 『아베 미츠이에와 조선』 외 다수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전 독쿄(獨協)대학 언어문화학과 특임교수
저서: 『원본 이육사 전집』, 『사진판 윤동주 자필시고 전집』(공저), 『한일문학의 관계론적 연구』, 『아베 미츠이에와 조선』 외 다수
저 : 이병훈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러시아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모스끄바가 사랑한 예술가들』 등이, 옮긴 책으로 『젊은 의사의 수기·모르핀』, V.G. 벨린스키의 『전형성·파토스·현실성』(공역)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러시아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모스끄바가 사랑한 예술가들』 등이, 옮긴 책으로 『젊은 의사의 수기·모르핀』, V.G. 벨린스키의 『전형성·파토스·현실성』(공역)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