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대전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사 기자와 한국정당학회 회장(2001~2002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2003년), 한국정치학회 회장(2004년)을 역임하고 1982년부터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민주당연구 1, 2』, 『조선신민당연구』, 『인민당연구』, 『허헌연구』, 『김두봉연구』, 『미소공동위원회연구』 등이 있다.
1948년 대전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사 기자와 한국정당학회 회장(2001~2002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2003년), 한국정치학회 회장(2004년)을 역임하고 1982년부터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민주당연구 1, 2』, 『조선신민당연구』, 『인민당연구』, 『허헌연구』, 『김두봉연구』, 『미소공동위원회연구』 등이 있다.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중국 북경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 관계: 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로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MBC 「느낌표」 선정도서 『백범일지』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에 선정되어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원본을 탈초 교감한 『정본 백범일지』도 출간하였다.
한중일 삼국의 전쟁 기억과 기념을 평화의 초석으로 전환시키는 문제에 ...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중국 북경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 관계: 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로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MBC 「느낌표」 선정도서 『백범일지』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에 선정되어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원본을 탈초 교감한 『정본 백범일지』도 출간하였다. 한중일 삼국의 전쟁 기억과 기념을 평화의 초석으로 전환시키는 문제에 폭넓은 관심이 있으며, 안중근·이육사 등 근현대 인물의 내면세계도 깊이 천착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원장 겸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연세대 대학원 정치학과를 마쳤고, 파리1-팡테옹 소르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한국정치외교사, 역사정치학, 지정학. 주요 저서로 『해방전후사의 인식 4, 6』(공저, 한길사, 1989), 『대서양문명사: 팽창, 침탈, 헤게모니』(한길사, 2001),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원장 겸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연세대 대학원 정치학과를 마쳤고, 파리1-팡테옹 소르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한국정치외교사, 역사정치학, 지정학. 주요 저서로 『해방전후사의 인식 4, 6』(공저, 한길사, 1989), 『대서양문명사: 팽창, 침탈, 헤게모니』(한길사, 2001),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등이 있다.
정치학자이자 인물 연구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同) 대학원을 수료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중앙도서관장, 대학원장, 석좌교수(1979~2012)를 지냈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1),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의 객원 교수(1985~1986)를 지내고,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1999~2023)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분단사 연구 : 1943-1953』(한울, 2001, 한국정치학회 저술상 수상)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풀빛, 2002)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5판) 『대동단실기』(선인, 20...
정치학자이자 인물 연구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同) 대학원을 수료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중앙도서관장, 대학원장, 석좌교수(1979~2012)를 지냈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1),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의 객원 교수(1985~1986)를 지내고,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1999~2023)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분단사 연구 : 1943-1953』(한울, 2001, 한국정치학회 저술상 수상)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풀빛, 2002)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5판) 『대동단실기』(선인, 2004)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1943-1953 (Edison, NJ : Jimoondang, 2008)』 『한국정치사상사』(지식산업사, 2011, 한국정치학회 인재(仁齋)저술상 수상) 『전봉준 평전』(들녘, 2019)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잘못 배운 한국사』(집문당, 2022)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집문당, 2022) 등이 있다.
역서로 『외교론』(H. Nicolson, Diplomacy, 1979) 『군주론』(N. Machiavelli, The Prince , 1980) 『칼 마르크스』(I. Berlin, Karl Marx , 1982) 『모택동 자전』(E. Snow, Red Star over China : Genesis of A Communist , 1985) 『묵시록의 4기사』(E. Penchef, Four Horsemen, 1988) 『한국분단보고서』(1992, 공역) 『현대정치사상』(L. P. Baradat, Political Ideologies, 1995, 공역) 『정치권력론』(C. E. Merriam, Political Power, 2006) 『입당구법순례행기』(옌닌, 2007) 『임동(하야시 다다쓰) 비밀회고록』(2007, 공역) 『한말외국인기록』 전23권(2018, 일부 공역) 『삼국지』 전5권 (집문당, 2021)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전5권 (을유문화사, 2021) 『한국분단보고서』 전3권(2023, 일부 공역) 『신·구약 성경 : 교감』(Naver/blog/shinbokryong=신복룡 성경, 2023) 등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시민과대안연구소 연구기획실장 등을 거쳐 현재 계간 『황해문화』 편집위원,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논저로 『김동석과 해방기의 문학』, 『인천아, 너는 어떠한 도시』, 「백초 유완무의 생애와 민족운동」 등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시민과대안연구소 연구기획실장 등을 거쳐 현재 계간 『황해문화』 편집위원,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논저로 『김동석과 해방기의 문학』, 『인천아, 너는 어떠한 도시』, 「백초 유완무의 생애와 민족운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