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당시에 국가의 종교는 불교의
영향이 컸는데 이것은 불교는 중국 쪽에서
한국으로 전해지면서 중국의 국가와 수교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였지만 국가의
국민들을 단합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이것은 꼭 한반도만 그런것은 아니고 중국의
왕조 중에서도 불교를 통해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여 그 당시에 건축된 불교 건물이나 유적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경주가 도읍지 였던 신라
역시 불교를 통해 백성들이 한 마음이 되기를
원했고 그리고 신라 는 통일신라 이후에는
오랫동안 전쟁이 없는 시기가 오게 되지만
통일 이전의 신라는 고구려.백제 와 전쟁이
많았고 이것은 신라의 백성들과 왕조가
마음으로 의지 할만한 종교가 불교 였던
이유도 있어서 경우에만 해도 많은 석불상
등이 남아 그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라의 예술이라고 할수 있고 보물이라
할수 있는 석굴암은 신라의 인공석굴 인데 원래
현대 사회의 기술력과 과거 기술력을
비교하면 인류는 현대의 기술력이 더 우위에
있다고 하지만 석굴암은 과거의 오래된 기술력을
현대에 와서도 능가하지 못하는 것 입니다
원래 석굴암은 오래 전해내려오다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보수를 하긴 했는데 이때 일제가 보수를 엉망으로 하여
기존에는 석굴암 불상 안이 습해지면서 훼손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라 시기 제작 당시
안쪽에 물이 흐르는 곳이라던지 현재의 석굴암이
위치해 있는 안의 구조가
현재 상태와 달랐다는데 보수를 이상하게 하는 바람에
현대의 한국의 학자들도 석굴암의 제작기술을
복원하려 하였지만 아직도 당시 신라시기 당시의
석굴암이 보존되어 있던 곳의 제작방식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이것은 옛 신라의 기술을 현대에
와서 표현하지 못할정도로 높은 기술력을
신라가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주는 신라의 시작과 마지막을 같이한
도읍지 입니다.그래서 역사 다큐가 방영이
되면 신라에 관련된 다큐에는 경주시가 높은
확률로 등장합니다.그때의 인구와 지금의
경주의 인구는 차이가 있습니다.경우에는
옛 신라 왕들의 고분들도 잘 보존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신라의 고분을
만들때 입구를 따로 만들지 않는 삼국의
고분 중에서도 특이한 구조에 있다고 합니다.
물론 어느것이 어떤 왕의 고분인지 알수
없는 고분도 있습니다.현재의 왕릉이라고
하는곳은 역사서에 따라서 알수 있는
고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신라 역시 금세공 기술이나 돌을 깍아내는
세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는데
그래서 신라의 기분은 에서는 금으로 된
왕관이 나오는 경우가 있고 이 금관들은
박물관 에서 국가의 보물로 만날수 있다고
합니다.그래서 한번씩 전시회를 하면 볼수
있는 유물도 있을것이고 보존 때문에 일반인
에게 공개가 안되는 금 세공품도 사진들을
통해 유물을 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