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작가, 문학연구자. 강소성 해주(海州, 지금의 연운항시連雲港市 동해현東海縣) 출생. 북경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19년부터 중국의 신문학(新文學) 운동에 참여했다. 1923년 장시 「훼멸(毁滅)」을 『소설월보』에 발표하고, 이듬해 시집 『종적(?跡)』을 출간하여 등단했다.
중학교 교사를 역임하다 1925년 칭화대학교 교수로 취임할 무렵부터 산문(散文)으로 바꾸어 「아버지의 뒷모습」, 「연못에 비친 달빛」, 「양저우의 여름」, 「할 말 없음에 관하여」 등을 발표, 위다푸(郁達夫)와 쌍벽을 이루는 산문작가로 이름을 날렸다. 1935년 『중국 신문학 대계-시집』을 편...
중국의 작가, 문학연구자. 강소성 해주(海州, 지금의 연운항시連雲港市 동해현東海縣) 출생. 북경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19년부터 중국의 신문학(新文學) 운동에 참여했다. 1923년 장시 「훼멸(毁滅)」을 『소설월보』에 발표하고, 이듬해 시집 『종적(?跡)』을 출간하여 등단했다.
중학교 교사를 역임하다 1925년 칭화대학교 교수로 취임할 무렵부터 산문(散文)으로 바꾸어 「아버지의 뒷모습」, 「연못에 비친 달빛」, 「양저우의 여름」, 「할 말 없음에 관하여」 등을 발표, 위다푸(郁達夫)와 쌍벽을 이루는 산문작가로 이름을 날렸다. 1935년 『중국 신문학 대계-시집』을 편집하는 등 시·소설의 비평, 고전문학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새로운 문학론 『표준과 척도』를 저술하여 고전문학과 신문학의 통일적인 연구법을 확립하였다. 1948년 베이징에서 세상을 떴다.
이화여대에서 사학과 중어중문학을 복수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중국 신화와 중국 문화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 칭다오농업대학에서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대중문화 및 문화이론 관련 강의를 주로 맡고 있다. 저서로 『무협』 『삶에서 앎으로 앎에서 삶으로』 『소인경』(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끝에서 두 번째 여자친구』 『다리 위 미친 여자』 『행위예술』 『소녀 화불기』 『소마고』 등이 있다. 이야기공작소 파수의 캐릭터 프로파일러로서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시나리오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문연구모임 문이원의 상임연구원으로서 동양 고전을 풀어 쓰고 재해석하는 작...
이화여대에서 사학과 중어중문학을 복수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중국 신화와 중국 문화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 칭다오농업대학에서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대중문화 및 문화이론 관련 강의를 주로 맡고 있다. 저서로 『무협』 『삶에서 앎으로 앎에서 삶으로』 『소인경』(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끝에서 두 번째 여자친구』 『다리 위 미친 여자』 『행위예술』 『소녀 화불기』 『소마고』 등이 있다. 이야기공작소 파수의 캐릭터 프로파일러로서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시나리오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문연구모임 문이원의 상임연구원으로서 동양 고전을 풀어 쓰고 재해석하는 작업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