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동아시아 지식 인문학의 지평을 탐색하다

석학에게 듣는다 1

스에키 후미히코,이시이 마사미,김승룡,임형택,펑옌룬 등저 외 8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경진(도서출판) | 2020년 10월 29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인문계열
파일정보
PDF(DRM) 13.5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동아시아 지식 인문학의 지평을 탐색하다

책 소개

저자 소개 (13명)

등저 : 스에키 후미히코 (Fumiakira Sueki,すえき ふみあきら,末木 文美士)
도쿄대·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명예교수 도쿄대·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명예교수
등저 : 이시이 마사미 (石井正己)
1958년 도쿄東京 출생으로 전공은 일본 문학·민속학이다. 도쿄가쿠게이대학東京學藝大學 교수 겸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대학원 연계 교수이며,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마쓰오카 가松岡家 기념관 고문이다. 한국의 학계와도 교류가 잦아서 2017년부터 한국비교민속학회 고문을 맡고 있다. 민담에 관한 저서로는 『도노의 민담과 가타리베遠野の民話と語り部』(三彌井書店, 2002), 『도설·일본의 민담圖說·日本の昔話』(河出書房新社, 2003), 『이야기의 세계로物語の世界へ』(三彌井書店, 2004), 『모모타로는 니트족이었다!桃太郞はニ?トだった!』(講談社, 2008), 『민담과 관광昔話と觀光』(三彌... 1958년 도쿄東京 출생으로 전공은 일본 문학·민속학이다. 도쿄가쿠게이대학東京學藝大學 교수 겸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대학원 연계 교수이며,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마쓰오카 가松岡家 기념관 고문이다. 한국의 학계와도 교류가 잦아서 2017년부터 한국비교민속학회 고문을 맡고 있다. 민담에 관한 저서로는 『도노의 민담과 가타리베遠野の民話と語り部』(三彌井書店, 2002), 『도설·일본의 민담圖說·日本の昔話』(河出書房新社, 2003), 『이야기의 세계로物語の世界へ』(三彌井書店, 2004), 『모모타로는 니트족이었다!桃太郞はニ?トだった!』(講談社, 2008), 『민담과 관광昔話と觀光』(三彌井書店, 2012), 『비주얼 판 일본의 민담백과ビジュアル版·日本の昔話百科』(河出書房新社, 2016) 등이 있다. 편저에는 『어린이에게 민담을!子どもに昔話を!』(三彌井書店, 2007), 『민담을 말하는 여성들昔話を語る女性たち』(三彌井書店, 2008), 『민담과 그림책昔話と繪本』(三彌井書店, 2009), 『민담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昔話を愛する人?へ』(三彌井書店, 2011), 『민담에서 배우는 환경昔話にまなぶ環境』(三彌井書店, 2011), 『아동문학과 민담兒童文學と昔話』(三彌井書店, 2012), 『지진과 이야기震災と語り』(三彌井書店, 2012), 『자장가와 민담子守唄と民話』(三彌井書店, 2013), 『지진과 민담震災と民話』(三彌井書店, 2013), 『민담을 계승해나가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昔話を語り繼ぎたい人に』(三彌井書店, 2016)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논문·수필·서평 등을 집필하였다.
등저 : 김승룡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고려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식인, 고전학, 지역학, 동아시아학 등을 시야에 두고 『묵자』 『사기』 등을 비롯해 한시와 시화를 가르치며 고전지식이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동아시아 한문고전의 미래가치를 환기하여 청년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려는 것이나 한문교육이 인성을 증진할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저서로 『한국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공저, 2005), 『새 민족문학사 강좌』(공저, 2009), 『고려후기 한문학과 지식인』(2013),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청춘문답』(모두 공...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고려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식인, 고전학, 지역학, 동아시아학 등을 시야에 두고 『묵자』 『사기』 등을 비롯해 한시와 시화를 가르치며 고전지식이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동아시아 한문고전의 미래가치를 환기하여 청년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려는 것이나 한문교육이 인성을 증진할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저서로 『한국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공저, 2005), 『새 민족문학사 강좌』(공저, 2009), 『고려후기 한문학과 지식인』(2013),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청춘문답』(모두 공저, 2014), 『동아시아 지식인문학의 지평을 탐색하다』, 『남명학파의 지역적 전개』(모두 공저, 2019), 『이재 황윤석 연구의 새로운 모색』(공저, 2020) 등이 있고, 역서로 『송도인물지』(2000), 『악기집석』(2003), 『우붕잡억』(공역, 2005), 『유미유동』(공역, 2006)을 비롯해 근래 『잃어버린 낙원, 원명원』(공역, 2015) 『능운집』(공역, 2016) 『문화수려집』(공역, 2017) 등이 있으며, 2018년 이후 치유인문학에 뜻을 같이 하는 분들과 같이 『시민의 인성』을 매년 내오고 있다.(2022년 현재 총4권 발간) 『악기집석』으로 제5회 가담학술상(2003)을 수상했고, 베이징대 초빙교수를 두 차례(1997, 2008) 지냈다.
등저 : 임형택
조선 유학과 실학, 당대 동아시아 고전을 연구하고 널리 소개해온 원로 한문학자이자 한국학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정년퇴임 후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문명의식과 실학』 『동아시아 서사와 한국소설사론』 등이, 공편역서로 『백호전집』 『역주 목민심서』 『역주 매천야록』 등이 있다. 성균관대 명예교수. 조선 유학과 실학, 당대 동아시아 고전을 연구하고 널리 소개해온 원로 한문학자이자 한국학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정년퇴임 후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문명의식과 실학』 『동아시아 서사와 한국소설사론』 등이, 공편역서로 『백호전집』 『역주 목민심서』 『역주 매천야록』 등이 있다. 성균관대 명예교수.
등저 : 펑옌룬 (彭衍綸)
대만 국립동화대 중국어문학과 교수 대만 국립동화대 중국어문학과 교수
등저 : 허 철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연구원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연구원
등저 : 왕찌엔시 (王建喜)
중국 북경사범대 교수 중국 북경사범대 교수
등저 : 양레이 (Yanglei ,楊磊)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 경제학 학사, 서울대학교 비교문학 석사, 베이징대학교 문학박사이다. 현재 베이징제이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한국문학번역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등 방문학자이다. 저서로 『박완서 소설 중역 연구』, 『중한비교문학연구관규(管窺)』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영웅시대』, 『무정』(공역), 『한국무협소설의 작가와 작품』, 『언어 너머의 문학』(공역) 등이 있다. 번역 분야 논문 30여 편을 발표했다.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 경제학 학사, 서울대학교 비교문학 석사, 베이징대학교 문학박사이다. 현재 베이징제이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한국문학번역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등 방문학자이다. 저서로 『박완서 소설 중역 연구』, 『중한비교문학연구관규(管窺)』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영웅시대』, 『무정』(공역), 『한국무협소설의 작가와 작품』, 『언어 너머의 문학』(공역) 등이 있다. 번역 분야 논문 30여 편을 발표했다.
등저 : 선병삼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등저 : 이성백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국교수노조 정책기획실장, 진보평론 편집위원장,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소장, 맑스코뮤날레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글로벌폴리스의 양가성과 도시인문학의 모색>(공저), <현대철학과 사회이론의 공간적 선회>(공저), <서울의 인문학>(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탈산업사회에서 포스트모던사회로>, <현대사회의 새로운 이론들>(공역)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국교수노조 정책기획실장, 진보평론 편집위원장,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소장, 맑스코뮤날레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글로벌폴리스의 양가성과 도시인문학의 모색>(공저), <현대철학과 사회이론의 공간적 선회>(공저), <서울의 인문학>(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탈산업사회에서 포스트모던사회로>, <현대사회의 새로운 이론들>(공역) 등이 있다.
등저 : 이효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강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강사
등저 : 브엉 티 흐엉 (王氏紅)
베트남 사회과학 한림원 한남연구원 부편집장 베트남 사회과학 한림원 한남연구원 부편집장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