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병산 기슭에 임시 거처를 마련한 피란민들은 사십계단을 힘들게 오르내려야 했다. 일제가 산을 절개하는 토목공사를 벌인 탓에 급경사가 생겨났고, 이리로 지나다니는 사람을 위해서 사십계단이 조성되었다. 아, 피란민의 삶도 이 가파른 사십계단과 같았다. 어깨에 짐을 진 채로 아슬아슬하게 사십계단을 오르다 보면 저 멀리 부산항 바다에서 뱃고동 소리가 들려왔다. 마지막 층에 도착할 즈음에는 아무리 삼수갑산을 넘나들던 무쇠다리 함경도 사나이라 한들, 오금이 저리고 맥이 풀리기 일쑤였다. 층층계단에 앉아 먼바다를 보자니 이북 고향 생각에 저도 모르게 눈물이 뚝뚝 흘러내렸다. 그때 어디선가 이웃에 사는 경상도 아가씨가 다가와 애처로이 묻는다. ‘보이소, 와 그라요, 고향 생각나서 그런가 본데 힘을 내이소'
--- p.23, 「「굳세어라 금순아」와 「경상도 아가씨」」 중에서
신분증 트라우마는 종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전쟁 시절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도민증이나 시민증이 홍수를 이룬 것은 물론, 이런 사회적 분위기는 한동안 계속되었다. 집 밖으로 멀리 가려면 신분증을 꼭 챙겨야 했다. 혹시 검문소에서 경찰(또는 헌병)에게 검문을 당했을 때 신분증이 없으면 심장이 두근거렸다. 신분증을 소중하게 고이 간직했던 탓인지 현재까지 오랫동안 남아 한국전쟁 특별전의 전시장을 장식하고 있다.
--- p.47, 「아, 힘들고 거친 피란살이 3년이여」 중에서
피란수도 부산에서 물싸움은 목불인견이었다. 수도과 직원과 시민이 다투는 모습을 쉬이 볼 수 있었다. 거리의 수도에서 가느다란 물줄기가 새어 나오면 서로 차지하느라 싸움을 벌였다. 물 도둑질도 횡행했다. 공공수도전의 수도 마개를 뚫어서 물을 훔쳐 갔다. ‘보따리장수’라고 불리는 몰래 수도관에 구멍을 뚫는 공사를 하는 부정수도업자들도 판을 쳤다. 당시 언론에서는 물 없는 지옥이 된 부산을 “물을 위한 비극과 먹기 위한 참상이 갈증에 애끓는 부르짖음과 더불어 때아닌 말썽이 비일비재하였다”라고 개탄하였다.
--- p.67, 「아, 힘들고 거친 피란살이 3년이여」 중에서
한국전쟁 시절 부산은 대한민국이 절벽으로 추락하기 직전의 ‘막다른 최전선’이었다. 비록 군사적 전선은 아니었지만 정치, 행정, 문화, 교육의 최전선이 부산에서 형성되었다. 부산에서 땀과 피를 흘린 결과로 전쟁은 종결되고, 서울로 환도할 수 있었다. 피란수도가 부산에 남기고 간 숙제는 너무 많았다. 작은 체구로 힘겹게 수십만의 피란민을 업은 채 끝까지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던 부산의 심정은 여러모로 착잡할 수밖에 없었다.
--- p.118, 「「이별의 부산정거장」, 피란수도 부산은 무엇을 남겼나」 중에서
경부고속도로는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에서 부산시 금정구 구서동에 이르는 고속도로다. 1968년 2월 1일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이 왕복 4차선 도로로 준공되었다.115 서울의 수도권과 부산의 영남권을 잇는 경부고속도로의 개통은 물류와 교통의 혁신을 가져왔다. 경부고속도로는 국가 경제의 대동맥이자 일일생활권을 상징하는 교통로가 되었다. ‘마이카 시대’, 즉 ‘자동차의 대중화 시대’를 부른 것도 경부고속도로였다. 이후 정부의 도로 정책은 대동맥과 혈관들이 이어지듯이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에 두고 이뤄졌다. 경부고속도로를 통해서도 부산은 서울을 잇는 제2도시로서 전국적인 위상을 확립할 수 있었다.
--- p.130, 「수출산업의 최전선, 부산」 중에서
1978년 컨테이너 수출입항으로 본격적 채비를 갖춘 부산항은 우리나라 수출입의 최전선에서 싸웠다. 1979년 전국적으로 컨테이너 수출물량 비중이 34.6퍼센트까지 올라갔다. 부산항이 컨테이너 수출 수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8.6퍼센트였다. 컨테이너 수입 수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3.8퍼센트였다.131 컨테이너를 이용한 수출입은 거의 부산항을 통해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는 수치다. 경부고속도로와 부산항을 잇는 부산 도시고속도로는 컨테이너를 전국에서 부산으로, 다시 부산에서 전국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물류체계로 작동하였다. 부산은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고 미국과의 교역도 매우 유리한 위치였다. 당시 미국과 일본에 편중되었던 무역구조는 부산항의 지위를 ‘굴지의 무역항’으로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 p.146, 「수출산업의 최전선, 부산」 중에서
부산의 6월 항쟁은 일찍이 꾸려진 강고한 지도부를 기반으로 전국의 민주화운동을 모범적으로 선도했던 투쟁이었다. 그 지도부의 일원으로 활약한 노무현, 문재인 변호사는 6월 항쟁을 거치면서 민주화 투쟁의 역량을 쌓았다. 그뿐만 아니라 인적·조직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 투쟁의 최전선에서 기폭제가 되었던 부산의 6월 항쟁은 부산 시민의 민주주의 정신을 고양한 학교이자 우리나라 대통령까지 잉태한 역사의 자궁이었던 셈이다.
--- p.177, 「민주주의 최전선과 대통령의 잉태」 중에서
근대의 교통수단은 시공간을 축소시켜 멀고도 먼 일본을 가깝게 만들었다. 조선에 오는 일본인뿐만 아니라 부관연락선을 타고 일본으로 도항하고자 하는 조선인들도 크게 늘었다. 부관연락선은 염상섭이 쓴 근대소설 『만세전』에도 등장한다. 부관연락선을 타고 부산에 도착한 주인공 이인화는 ‘부산을 조선의 축소판’이라 말하였다. 덧붙여, ‘부산의 팔자가 조선의 팔자요, 조선의 팔자가 곧 부산의 팔자’라고 하였다. 그렇다. ‘부산의 운명은 곧 조선의 운명’을 상징할 정도로 부산은 그야말로 조선을 집약시킨 축소판이었다.
--- p.187, 「근대 관문도시 부산」 중에서
부산 거류지의 일본인은 마치 지배자처럼 행동하였다. 정작 주인이 되어야 할 조선인은 피지배자처럼 착취를 당하였다. 경제적 종속관계가 조선인을 노예와 같은 신분으로 추락시킨 것이다. 막대한 현금을 보유한 일본인은 거류지 외에 주변 토지를 마구 사들였다. 조선인은 일본인에게 가옥과 토지를 저당잡힌 채 고리대금으로 돈을 빌렸다. 그러나 종국에는 비싼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여 집도 절도 없는 신세로 전락하였다.
--- p.227, 「푸른 눈의 이방인이 본 ‘Fusan’」 중에서
부관연락선의 등장으로 조선은 본격적인 근대를 맞이하였다. 부산이 근대 조선의 관문이 된 것도 부관연락선 때문이었다. 부관연락선은 근대의 문화를 싣고 시모노세키에서 부산으로 건너왔다. 부관연락선에서 내려 첫발을 딛는 곳이 부산항이었으므로 일본인은 물론이요, 서양인들도 부산을 통해 조선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래저래 부관연락선이 취항함으로써 부산은 식민지화의 아픈 길을 걷게 된 동시에 국제적인 관문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이렇게 근대는 제국과 식민의 등에 업혀 조선으로 왔으니 참으로 역설적이다.
--- p.232, 「부산에 열린 근대의 관문」 중에서
매축지 마을은 ‘도심 속 오지’라고 불린다. 평지에 위치하였음에도 산동네 끝자락만큼이나 오지인 이유는 철도와 도로, 군사시설(55보급창) 등 근현대 시설의 울타리로 둘러싸여 폐쇄되었기 때문이다. 매축지 마을은 단지 평평한 땅일 뿐 따뜻한 삶과 수평으로 연결된 토지는 아니다. 하지만 전쟁 이후에는 폐쇄된 울타리를 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산업화 시기에는 ‘인생 막장을 경험한 사람들’이 이 마을로 흘러왔다. 이곳에서 오래 살았던 주민조차 매축지 마을을 ‘도둑놈 소굴’이었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 p.269, 「달라진 부산, 근대의 시공간」 중에서
우리나라 역사에서 부산은 가마솥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역사의 최전선에 선 부산이 뜨거운 열을 은근한 온기로 전도시키지 않았다면 우리나라는 쏟아지는 외적들의 총탄을 피할 수 없었으리라. 부산이 가마솥이 된 이유는 우리나라 해안가를 괴롭히는 왜구들 때문이었다. 어찌 보면 골칫거리인 왜구들은 역사의 ‘뜨거운 불’이었다. 이 뜨거운 불을 견뎌야 할 공간으로 낙점된 곳이 삼포(현재의 창원, 부산, 울산)였다. 조선 정부는 날뛰는 왜구들을 안정시키고자 삼포를 열어줬다.
--- p.336, 「조선시대 가마솥의 탄생」 중에서
1960년대 수영강 하구에 고려제강과 태창목재 등 공장이 입주했지만 1970년대까지는 한적한 어촌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골산을 허물어 삼익비치아파트 단지를 조성하고 1980년대 민락 공원 일대를 메우면서, 관광과 상업의 중심지로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수영이 인기 높은 주거 단지로 탈바꿈했다. 이제 수영강 하구의 전통 마을이었던 보리전과 널구지 자리에는 회색 아파트 단지만 무성할 뿐이다. 찰스 버스턴의 사진을 보거나 광안리 모래밭에서 과거의 수영 문화를 어슴푸레 회상해야 한다. 넓은 모래톱이 조성되었던 수영강 하구, 수심이 얕아서 무릎까지 바지를 걷은 채로 조개를 잡던 그 시절을.
--- p.445, 「흰 모래밭에서 탄생한 수영 문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