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재난 시대의 가족

송경란,이행미,최배은,이현정,김소은 저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2년 4월 29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이해
파일정보
PDF(DRM) 3.7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6명)

저 : 송경란 (Kyungran Song,宋敬蘭)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1996년 『문예한국』에 평론 「전후의 세대갈등과 현실대응방식」으로 등단했다. 숙명창학100주년사편찬위원회 및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 토대연구’로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 여성문학 자료 수집·정리』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다. 현재 숙명여대와 한국산업기술대에 출강 중이며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및 전략경영연구원(주) 책임연구원으로 인문학콘텐츠 개발연구 및 성과평가용역사업에 참여 중이다. 박사논문으로 「1950년대 소설의 여성인물 연구-현실수용양상을 중심으로」(2000)가 있으며, 공저로 『여성, 문학으로 소통하다』...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1996년 『문예한국』에 평론 「전후의 세대갈등과 현실대응방식」으로 등단했다. 숙명창학100주년사편찬위원회 및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 토대연구’로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 여성문학 자료 수집·정리』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다. 현재 숙명여대와 한국산업기술대에 출강 중이며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및 전략경영연구원(주) 책임연구원으로 인문학콘텐츠 개발연구 및 성과평가용역사업에 참여 중이다. 박사논문으로 「1950년대 소설의 여성인물 연구-현실수용양상을 중심으로」(2000)가 있으며, 공저로 『여성, 문학으로 소통하다』 및 『(대학생을 위한) 삶과 글쓰기』,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4~6권 등이 있다.
저 : 이행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근대문학과 가족법의 관련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에 나타난 혐오 문제를 문학과 대중서사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한국문학에 나타난 가족, 여성, 소수자의 의미를 법의 문제와 관련하여 탐구하는 등 문학 법리학적 시각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무정』에 나타난 근대법과 ‘정(情)’의 의미」(2018), 「전혜린의 젠더의식과 실천적 글쓰기」(2019), 「코로나 이후의 소설과 혐오의 임계」(2020), 「웹툰에 재현된 청년세대의 불안과 혐오」(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근대문학과 가족법의 관련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에 나타난 혐오 문제를 문학과 대중서사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한국문학에 나타난 가족, 여성, 소수자의 의미를 법의 문제와 관련하여 탐구하는 등 문학 법리학적 시각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무정』에 나타난 근대법과 ‘정(情)’의 의미」(2018), 「전혜린의 젠더의식과 실천적 글쓰기」(2019), 「코로나 이후의 소설과 혐오의 임계」(2020), 「웹툰에 재현된 청년세대의 불안과 혐오」(2023) 등이 있다. 『최인훈, 오디세우스의 항해』(2018), 『반영과 굴절 사이』(2022), 『상처 입은 몸』(2023) 등을 함께 썼다.
저 : 최배은 (Choi Bae-eun,崔培垠)
아동·청소년 이야기콘텐츠 연구자.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과 이념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 대표강사로 일하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세계아동청소년문학연구회 연구위원, 『방정환 연구』 편집위원, 어린이청소년SF연구공동체 플러스알파 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문화산업 시대의 스토리텔링』(공저), 『항일문화운동가 신명균』(공저), 『재난 시대의 가족』(공저) 등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 『근대 ... 아동·청소년 이야기콘텐츠 연구자.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과 이념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 대표강사로 일하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세계아동청소년문학연구회 연구위원, 『방정환 연구』 편집위원, 어린이청소년SF연구공동체 플러스알파 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문화산업 시대의 스토리텔링』(공저), 『항일문화운동가 신명균』(공저), 『재난 시대의 가족』(공저) 등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 『근대 한국 아동문학』(공역), 엮은 책으로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 1·2가 있다.
저 : 이현정
이현정은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인천대에서 <자기표현과의사소통>을, 한성대에서 <사고와표현>을 가르친다. 대학 글쓰기와 소통 능력에 관한 연구 및 21세기 고령화 시대에 한국 현대 노년시가 어떤 시적 대응을 보여 주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이현정은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인천대에서 <자기표현과의사소통>을, 한성대에서 <사고와표현>을 가르친다. 대학 글쓰기와 소통 능력에 관한 연구 및 21세기 고령화 시대에 한국 현대 노년시가 어떤 시적 대응을 보여 주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저 : 김소은
김소은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전 동아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를 역임하고 숙명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사고와 표현>, <연극영화의 이해>를 가르친다. TV 드라마, 연극 및 영상 텍스트 등의 대중문화예술 텍스트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김소은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전 동아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를 역임하고 숙명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사고와 표현>, <연극영화의 이해>를 가르친다. TV 드라마, 연극 및 영상 텍스트 등의 대중문화예술 텍스트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저 : 김지윤 (Kim Ji-yoon,金智允,)
시인, 문학평론가, 상명대학교 교수.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을 수상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인문학부(국문학, 영문학)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 『피로의 필요』, 공저 『요즘비평들』, 『한국 현대문학의 쟁점과 전망』,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 『영화와 문학, 세계를 걷다』,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등이 있고 다수의 평론과 국내외 연구논문들이 있다. 2012년 제17회 시와시학상 젊은 시인... 시인, 문학평론가, 상명대학교 교수.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을 수상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인문학부(국문학, 영문학)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 『피로의 필요』, 공저 『요즘비평들』, 『한국 현대문학의 쟁점과 전망』,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 『영화와 문학, 세계를 걷다』,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등이 있고 다수의 평론과 국내외 연구논문들이 있다. 2012년 제17회 시와시학상 젊은 시인상을 수상했으며 쓴 책이 2013년 문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