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연 저
김선호 저
민병직 저
김선호 저
미쉘 저
오은경 저
수학관련 교육서는 그동안 많이 출간되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조금은 도움이 될까싶어서 나올때마다 찾아 읽었습니다.
이번에도 좋은 기회가 생겨서 읽게되었습니다.
저자가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교사로서 쌓은 경험과 아이를 키운 엄마로서의 입장이 섞어서 나온 이야기라서 그런지 좀 더 구체적인 실천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1장. 수학 성적은 왜 자꾸 떨어지기만 할까?
2장. 초등 수학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과 놓아야 할 것
3장. 중등 수학, 아직 늦지 않았다.
4장. 자기 주도력과 수학의 상관관계
5장. 수학을 잘하는 아이돌 키우는 법
차례는 총 5장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한 장이 끝날때마다 부모교실이라는 챕터가 있는데 그 부분은 읽고 많은 생각과 반성을 하게했습니다.
학교 다닐 때, 저 역시도 수학은 쉽지 않은 과목이였습니다. 어른이 되면 수학은 필요없겠지..왜 필요없는 과목을 죽어라 해야할까 하는 생각도 저역시 했었습니다.
지금 아이들도 저에게 물어봅니다. 수학은 왜 하는거야?...
질문하면 너희가 원하는 무얼가 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하고 그 공부 중에 수학은 필수야...라고만 대답해 줄 수밖에 없었지요
.
4차산업혁명이 마주한 이 시대는 수학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아도 수학적 사고방식이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하다. 그래서 수학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진다 -P.22
초등학교 수학은 언어능력과 직관력 정도만 있으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이 때 수학을 잘한다해서 실력이 좋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중학교 수학이 되면서 진짜 수학을 시작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과 중등수학의 큰 차이는 수학에서도 문자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중등수학과 고등수학의 차이는 중등수학은 한 공식만 알아도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지만, 고등수학은 여러가지 사실들을 알아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3때 가장 많이 수포자가 생기는 까닭도 이 같은 차이때문이라고 합니다.
중3 수학과 고1과정은 비슷하나 어찌어찌 눈치와 연산등으로 버틴 수학실력이 버텨주지 못하고 한계에 이르는 것이라 합니다.
수학은 기본은 연산이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나 또한 아이들에게도 연산 문제집을 풀리고 있습니다. 연산 실수가 잦은 아이라서.. 연산 속도를 높이고 싶어서라는 여러가지 이유로 몇년째 풀리고 있지만, 아이는 몇년째 싫어합니다.^^;;;
저자는 수학의 기본은 독해력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수학에서도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독서가 빛을 발할 때는 문장제 문제를 풀때!
수학을 통해서도 독해력을 키울수 있다고도 합니다. 그 방법은 자신이 배운 것을 설명해 보는 것.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것을 위해서는 독해력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복합적은 능력이 필요하다.-P.68
잡은 물고기를 소중히 여기자! 수학성적을 올리기 위한 방법~! 틀린 문제를 재료로
다음의 과정 거치기!
1) 풀기 어려웠던 문제, 틀렸던 문제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2) 그 문제의 개념으로 돌아가 쓸 만한 공식이 있는지 유츄해본다.
3) 다시 한 번 시도해본다. 안되면 패스한다.
4) 다음 수학 공부를 시작할 때 다시 시도해 본다. 그래도 안되면 패스한다.
5) 그 문제를 가끔씩 떠올려 본다.
6) 일주일 내로 해결이 안되면 선생님이나 부모님, 친구 등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7)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면 해답을 보고 풀어본다.
8) 다음 수학 공부를 시작할 때 다시 풀어본다.
-p118
자기주도학습은 자신에게 맞는 최선의 공부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자기주도학습이 핵심은 강력한 동기가 부여! 왜 잘하고 싶은지 남을 의삭할 필요없이 자신을 움직이게 하는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제가 가장 지켜할 것! 제일 어려운것! 흔들리지 않는 부모되기!
아이를 키우면서 남들 이야기에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매번 느낍니다.
무엇보다 수학을 싫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작가의 말처럼 그런 태도를 갖을 수 있게 도와주고 싶습니다. 성적만 가지고 잔소리하는 부모가 아닌 수학을 어떤 식으로 공부하느냐를 가르쳐줄 수 있는 조언해줄 수 있는 부모가 되고 싶습니다.
수학을 배우는 것이 아닌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을 할 때 이성적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도구가 수학임을 알려주고 싶다. 수학 공부는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주고 이것들은 우리 인생의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수학의 올바른 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