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민하고, 섬세하고, 의연하고, 꿋꿋한유리멘탈 개복치의 따뜻한 위로 “그냥 나대로 살 순 없을까?” 뒤끝 없는 시대, 쿨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마음앓이하는 유리멘탈 개복치, 예민보스를 위한 실존 처방 에세이. 매주 ‘유랑선생’이라는 이름으로 브런치에 다양한 글을 연재하고 있는 저자 태지원이 불안한 마음, 불편한 마음, 소심한 마음, 때론 질투와 원망 등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예민한 사람, 속칭 ‘유리멘탈 개복치’의 시각에서 풀어냈다. ‘유리멘탈’ 혹은 ‘개복치’는 겉으로는 괜찮은 척 보이나 사소한 감정에 쉽게 휘둘리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인을 유리멘탈이라고 여기며, 나약한 마음과 멘탈로 버티며 살아온 저자는 나름의 대화 처방전을 제시한다. 카카오톡 대화를 끊지 못해 괴로웠던 지난날, 벼락치기조차 실행하지 못해 원망스러웠던 자신을 뒤로하고 ‘나에게 너그럽게 대하기’ ‘게으른 완벽주의자임을 인정하기’ ‘내 감정을 의심하지 말기’ 등의 사소하고 실용적인 팁이다. 살다 보면 솔직한 게 좋다고, 조언이랍시고 무례한 말을 계속 날리거나, 나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아야 하는 경우, 삶의 변수를 받아들여야 하는 경우 등 당황과 당혹을 넘나드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유리멘탈이거나 섬세한 마음을 지녔다면 이렇게 선을 넘는 사람을 보고도 속으로만 삭이거나 빙빙 돌려 말하기 일쑤다. 상대방의 무례함을 짚어주는 대신 자신을 탓하는 사람이거나 분위기가 불편해질 거 같아서 참다가 후회한 경험이 많은 저자는 다양한 경험담과 나름 터득한 대처법과 적절한 대화법을 알려주며 이 세상의 유리멘탈 개복치에게 전하는 마음속 작은 응원을 함께 담았다. 우리는 시시때때로 예민보스가 된다 대화 후 자책하는 세심하고 예민한 사람들을 위해대화하다가 개복치처럼 죽어버렸어어느 날, 아무도 날 피곤하게 하지 않았는데 느닷없이 피곤해졌다거나, 친구와 평범하게 대화하다가 상처를 입거나, 피로감이나 회의감에 종종 빠져든다면 내 안에 ‘예민함’이 숨어있을 수도 있다. 이런 사람은 타인의 감정을 잘 파악하기에 배려심이 높고, 타인에 대한 기대치 또한 높은 편이며, 완벽주의 성향인 경우도 많다. 이 말인즉슨, 한편으로 우울, 외로움, 신경증, 낮은 자존감,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 책의 저자 태지원은 이런 크고 작은 파편들을 모으니, 비로소 유리멘탈 개복치임을 인정하게 되었다. 특히 ‘대화 도중 쉽게 지치고 인간관계에 회의감을 느끼는 유리멘탈 개복치와 예민보스’ ‘스스로의 완벽주의로 인간관계에 회의감이 드는 사람’ ‘대화 자체가 피곤한 사람’ ‘무례함에 사이다킥을 날리지 못하고 끙끙 앓는 사람’ ‘내면의 대화에서 무기력해지는 사람’ 등을 위해 어떻게 상처받지 않으면서 대화할 수 있는지, 타인의 반응에 쉽게 상처받거나 요동치는 마음을 가라앉게 해 주는지 책에 담았다. 깨지지 않는 유리멘탈로 살아남기 저자는 유리멘탈 개복치나 예민한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가지는 최대의 목표는 피곤함이 덜하고, 덜 지치고, 회의감이 적은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끊임없이 참견만 하는 사람에게 왜 솔직하게 받아치지 못했는지, 선한 오지랖에 그저 끄덕이기만 했는지 나중에 집에 와서 이불킥만 날리지만, “왜 그렇게 못된 말을 하세요?” “제 인생은 제가 알아서 살게요” 등의 명확한 감정 표현은 유리멘탈 개복치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일이다. 저자는 불쾌한 말에 일일이 대응하는 대신, 불편한 감정을 대놓고 드러내지 않는 방법을 택했고, 도달할 수 없는 이상을 바라볼 때 ‘어쩌라고’와 ‘아님 말고’ 정신을 마음에 되새겼다. 또 예민함이 숨 쉴 수 있는 나만의 몰입의 순간을 만들었다. 마음을 조금 놓아주는 일, 새로운 형태의 자유를 만들어 주는 일은 유리멘탈 개복치로 살면서 섬세한 마음을 보듬을 수 있는 방법이다. 유리멘탈 개복치도 처방전이 있다면…느닷없이 피곤한 대화를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마음을 단련하고, 멘탈을 다스린다고 유리멘탈이 강철멘탈로 바뀔까. 정답은 아니다. 겉으로 무던하고 씩씩한 척을 하고, 강한 멘탈이라고 주문을 외우듯이 살면 움푹한 마음에 들어찬 예민함이 치유될까. 이 또한 아니다. 수많은 다짐을 하지만 주변 사람의 말에, 상황에 갈대보다 심한 마음의 파동이 계속될 때도 있다. 즐겁게 대화를 하다가도 상대의 표정 하나에, 카톡의 마침표 하나에 느닷없이 피곤해질 때가 있다. 이럴 때 저자를 단단히 붙들어 준 말이 있다. “그렇지만 어쩌겠어. 살아나가야지.” 유리멘탈에게 처방전 같던 이 말 한마디는 조금 더 멘탈이 단단해질 수 있던 계기가 되었다. 누구나 조금씩은 흔들릴 수 있고, 상처받을 수 있음을 깨달았고, 그리고 단단하게 서 있을 만큼의 용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멘탈 개복치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이었음을. 이 책은 ‘절대 멘탈이 흔들리지 않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이 아니다. 저자가 일상에서 겪었던 멘탈이 깨지는 상황을 견디고, 흔들린 마음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게 최선의 대화와 대처를 담았다. 흔들리고 조각난 마음으로 괴로워하는 유리멘탈 개복치에게 저자는 이런 격려의 말을 전한다. “방패 없이도, 두 발을 땅에 잘 딛고 서 있을 당신에게 작은 응원을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