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어 어휘론

최경봉,김일환,황화상,도원영,이지영 | 한국문화사 | 2022년 9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사회계열
파일정보
PDF(DRM) 5.8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저자 소개 (5명)

저 : 최경봉 (崔炅鳳)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저 : 김일환 (Kim, Il-hwan)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냈다.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빈도 효과: 코퍼스를 활용한 국어문법의 기술》(2020), 《한국어 어휘론》(2020),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미래》(2017), 《키워드, 공기어 그리고 네트워크》(2017)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냈다.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빈도 효과: 코퍼스를 활용한 국어문법의 기술》(2020), 《한국어 어휘론》(2020),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미래》(2017), 《키워드, 공기어 그리고 네트워크》(2017) 등이 있다.
저 : 황화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미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2017)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2021) 등
저 : 도원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박사 졸업. 남북겨레말큰사전편찬위원회 위원, 대한의사협회 남북의학용어사전편찬위원회 위원,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정보보완심의회 위원, 한국수어사전편찬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위원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동숭학술논문상 수상. 저서로 『디지털 시대의 사전』(공저), 『한국어 어휘론』(공저), 『국어사전학 개론』(공저), 『한국학 사전 편찬 방법론의 모색』(공저)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박사 졸업. 남북겨레말큰사전편찬위원회 위원, 대한의사협회 남북의학용어사전편찬위원회 위원,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정보보완심의회 위원, 한국수어사전편찬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위원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동숭학술논문상 수상. 저서로 『디지털 시대의 사전』(공저), 『한국어 어휘론』(공저), 『국어사전학 개론』(공저), 『한국학 사전 편찬 방법론의 모색』(공저) 등이 있다.
저 : 이지영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2008), 「장서각 소장의 탄일 발기에 대한 고찰」(2012), 「‘아직’의 통시적 변화」(2010), 「사전편찬사의 관점에서 본 『韓佛字典』의 특징―근대국어의 유해류 및 19세기의 『國漢會語』,『韓英字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2009)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2008), 「장서각 소장의 탄일 발기에 대한 고찰」(2012), 「‘아직’의 통시적 변화」(2010), 「사전편찬사의 관점에서 본 『韓佛字典』의 특징―근대국어의 유해류 및 19세기의 『國漢會語』,『韓英字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2009)등이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