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1998년 고려대학교 철학과(언어학) 석사
2005년 고려대학교 언어과학과(전산언어학) 박사
주요경력 2008~200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2009~2013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2016~현재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연구교수
역서 『언어학자를 위한 통계학 : R 활용』(2013) (공역)
논문 『담화표지 ‘-는’/‘-가’와 화자 시점 :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2011), 『만-켄달추세 검증과 언어 사용 추세 분석』(2012), 『신문 텍스트 유형의 통시적 변화: 접속...
1996년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1998년 고려대학교 철학과(언어학) 석사 2005년 고려대학교 언어과학과(전산언어학) 박사
주요경력 2008~200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2009~2013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2016~현재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연구교수
역서 『언어학자를 위한 통계학 : R 활용』(2013) (공역)
논문 『담화표지 ‘-는’/‘-가’와 화자 시점 :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2011), 『만-켄달추세 검증과 언어 사용 추세 분석』(2012), 『신문 텍스트 유형의 통시적 변화: 접속부사 사용 추세의 통계분석을 중심으로』(2012), 『추세의 유사도를 이용한 중심어와 관련어의 상관성 연구 : 통계적 방법과 활용』(2014), 『무작위 표본에 대한 코퍼스 언어학적 연구』(2014)
학력
1995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1997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
2006년 북경대학(北京大學) 전산언어학연구소 박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전공 교수
주요경력
2008~2012년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조교수
2012~현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전공 부교수
저서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2015) (공저)
논문
『현대중국어 미완료상 표지 ‘’와 ‘’의 동사 결합 관계 양상 고찰』(2011), 『중국어 코퍼스 분석을 위한 검색 프로그램 비교 고찰』(2013), 『중국의 공공 용어 정책 부서와 법률』(2014), ...
학력 1995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1997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 2006년 북경대학(北京大學) 전산언어학연구소 박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전공 교수
논문 『현대중국어 미완료상 표지 ‘’와 ‘’의 동사 결합 관계 양상 고찰』(2011), 『중국어 코퍼스 분석을 위한 검색 프로그램 비교 고찰』(2013), 『중국의 공공 용어 정책 부서와 법률』(2014), 『현대중국어 좌향전이 이중타동구문의 논항 실현 양상 고찰』(2015), 『신문 빅데이터를 통한 신중국 60년 시기의 어휘 사용 양상 고찰』(2016)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미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2017)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2021) 등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을 거치며 언어정보화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 부교수로, 2014년에 임용되어 주임교수로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의 부원장과 한국코퍼스언어학회의 부회장을 맡아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연구 영역은 말뭉치 언어학, 사전 편찬학, 자연 언어 처리, 한국어 교육 정보학 등에 걸쳐 있다. 최근에는 특히 UD(Universal dependency), AMR(Abstract Mean...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을 거치며 언어정보화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 부교수로, 2014년에 임용되어 주임교수로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의 부원장과 한국코퍼스언어학회의 부회장을 맡아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연구 영역은 말뭉치 언어학, 사전 편찬학, 자연 언어 처리, 한국어 교육 정보학 등에 걸쳐 있다. 최근에는 특히 UD(Universal dependency), AMR(Abstract Meaning Representation) 등의 다국어 리소스 구축, 인공지능의 언어 능력 평가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ARL(Asia Language Resource), DMR(Design Meaning Representation Workshop)의 프로그램 위원, COLING(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프로그램 체어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 연구 말뭉치 언어학 분야 「말뭉치에 기반한 공간 명사의 의미 변화 연구」(2006),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2019), 「통시 말뭉치에 기반한 언어 변화 연구」(2020)
사전 편찬학 분야 「신어사전(1934)의 구조와 근대 신어의 정착 양상」(2014), 「모던조선외래어사전의 인문언어학적 연구」(2014), 「조선말대사전(2017)의 거시 구조 분석」(2020)
자연 언어 처리 분야 「Enhancing Universal Dependencies for Korean」(2018), 「Copula and Case-Stacking Annotations for Korean AMR」(2019), 「Analysis of the Penn Korean Universal Dependency Treebank」(2020)
한국어 교육 정보학 분야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위한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론」(2017), 「딥러닝 언어모델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원어민성 판단 결과 분석 연구」(2021),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2022)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언어학 박사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NTU) Research Fellow,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부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언어학 박사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NTU) Research Fellow,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