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 힘듦’의 정체를 밝히는 경제학 공부 현대 경제학의 무대는 자본주의 시장이다. 자본주의는 무엇보다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여러 원리를 전제한다. 가능한 모든 선택지를 적절한 시간 내에 모두 셈할 수 있다는 믿음, 효용을 따져 균형 가격을 모색하는 일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믿음, 자유 시장 경제가 보장하는 선택의 자유는 개인의 욕구와 자유의지를 고스란히 담아 낸다는 믿음. 학문의 토대를 이루기에는 모호하나 사람들은 으레 그러하다고 오래 믿어 왔다. 일본의 경제학자 야스토미 아유미는 이런 현대 경제학의 미심쩍은 지점들을 하나하나 살펴본다.그중 무엇보다 자유에 집중한다. 선택의 자유가 주어지는 지금의 시장 경제 체제에서 개인은 정말로 자유로운가? 개인의 선택과 자유의지에는 너무 많은 요소가 개입하는 데다 다른 사람의 시선과 사회가 강요하는 가치에 휘둘리는 탓에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하는 개인이 없는데 현대 경제학은 이를 간과한다고 선생은 지적한다. 나아가 경제 활동을 하는 모든 개인이 ‘살기 힘들다’고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인다. 이렇게 『단단한 경제학 공부』에서 선생은 선택의 자유에서 벗어나 경제 활동의 자기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떠밀려 얻은 ‘선택의 자유’가 아닌 스스로 얻어 낸 ‘적극적 자유’를 위하여 야스토미 선생에 따르면 선택의 자유는 합리적 개인과 그들의 자유의지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개인은 사실 많은 지적 판단과 처리를 무의식 중에, 습관적으로, 그냥 하고 있다. 일상 속 자잘한 선택은 자유의지라기보다 습관이나 루틴, 반사적 행동에 가까우므로 이 선택에 자유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예컨대 좋은 대학을 나오면 직업 선택의 폭이 더 넓어진다고들 생각하지만 주어진 역할에 갇혀 오히려 선택의 폭은 좁아진다. 사회의 가치 판단에 더욱 얽매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 실제로 내가 무엇을 어떻게 느끼고 원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자유의 시작이다. 떠밀려 얻은 ‘선택의 자유’가 아니라 스스로 ‘적극적 자유’를 얻어 내야 한다고,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얼마나 원하는지, 왜 원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 선생이 말하는 골자다. 이때 선생은 여러 사상가가 말하는 자유의 개념을 소개하며 자신의 주장을 단단하게 논증해 나간다.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이기심도, 애덤 스미스가 말하는 허영도 모두 떠밀려 얻게 된 선택의 자유가 개인을 억압한다는 결론으로 모아진다고 설명하면서 스스로 자유를 획득해 나가는, 자아를 탐구하는 태도가 현대인에게 얼마나 필요한지 강조한다. 요컨대 시끄럽고 혼잡한 시장에서 떠밀리듯 선택을 이어가는 현대인에게 『단단한 경제학 공부』는 나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확인할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판단해 행동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이 이끄는 단단한 사고 과정을 통해 얻은 자유는 세상을 잘 살기 위한 나침반이 되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