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헤겔 ‘논리의 학’에서 “우연성” 개념?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최근까지 주체성이란 주제를 두고 헤겔 철학과 현대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헤겔 철학 체계에서 우연성과 주체 구성의 관계?, ?정치적 도야와 혁명-지젝의 헤겔 해석을 중심으로?, ?누스바움의 혐오회의론?, ?칸트 미학에서 순수한 추는 가능한가?? 등이 있으며 대표 저역서로는 ?휴대전화, 철학과 통화하다?, 사이먼 블랙번의 ?생각?, ?선?, 스티븐 툴민의 ?논변의 사용? 등이 있다.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헤겔 ‘논리의 학’에서 “우연성” 개념?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최근까지 주체성이란 주제를 두고 헤겔 철학과 현대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헤겔 철학 체계에서 우연성과 주체 구성의 관계?, ?정치적 도야와 혁명-지젝의 헤겔 해석을 중심으로?, ?누스바움의 혐오회의론?, ?칸트 미학에서 순수한 추는 가능한가?? 등이 있으며 대표 저역서로는 ?휴대전화, 철학과 통화하다?, 사이먼 블랙번의 ?생각?, ?선?, 스티븐 툴민의 ?논변의 사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