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마디
'최고'는 '최악'을 친구로 살아간다. '위기'는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어둠이 잉태한 찰나의 새벽을 기다리며
휜 거품파도 속에서 방황하는 공기들이 품은 처절한 고독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겁 없이 물어보는 지적 방랑자다.
출처를 알 수 없는 발걸음이 향한 벼랑 끝에서
타들어가는 애간장으로
바람결이 내던지는 슬픔의 답안지에
일생을 버티게 만드는 그리움 한 페이지를 남기는 철부지 예술가다.
시인(詩人)이 될 수 없음을 시인(是認)했지만,
모든 순간을 낯선 상상력이 숨 쉬는 시적 순간으로 포착,
그 순간의 파동을 온몸으로 품고 걸으며
소음도 소리로 번역하는 늦은 밤의 시인이 되고 싶은 사람이다.
삶‘이’ 시답지 않아도 사람‘은...
어둠이 잉태한 찰나의 새벽을 기다리며 휜 거품파도 속에서 방황하는 공기들이 품은 처절한 고독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겁 없이 물어보는 지적 방랑자다.
출처를 알 수 없는 발걸음이 향한 벼랑 끝에서 타들어가는 애간장으로 바람결이 내던지는 슬픔의 답안지에 일생을 버티게 만드는 그리움 한 페이지를 남기는 철부지 예술가다.
시인(詩人)이 될 수 없음을 시인(是認)했지만, 모든 순간을 낯선 상상력이 숨 쉬는 시적 순간으로 포착, 그 순간의 파동을 온몸으로 품고 걸으며 소음도 소리로 번역하는 늦은 밤의 시인이 되고 싶은 사람이다.
삶‘이’ 시답지 않아도 사람‘은’ 시답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낯선 경험과 날 선 개념을 융복합, 『인생이 시답지 않아서』, 『코나투스』, 『늦기 전에 더 늙기 전에』, 『2분의 1』, 『끈기보다 끊기』, 『삶을 질문하라』, 『언어를 디자인하라』, 『부자의 1원칙, 몸에 투자하라』, 『책 쓰기는 애쓰기다』, 『이런 사람 만나지 마세요』, 『공부는 망치다』, 『유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한다』 등 100여 권의 책을 근간으로 의미를 심장에 꽂아 의미심장한 강연을 재미있게 펼치는 지식 산부인과 의사이자 한양대학교 교수이다.
『인생이 시답지 않아서』는 지금껏 살아온 인생과 경험을 날선 시적 언어로 표현해낸 에세이이자 시집이다.
대한민국 1호 관점 디자이너, 피와이에이치 대표. ‘고정관념의 파괴자’, ‘관점으로 미래를 연결하는 사람’, ‘착한 기업 전도사’ …. 그를 수식하는 별명은 수없이 많지만 그는 다른 무엇보다 국내 유일의 ‘관점 디자이너’로 불리기를 원한다. 관점 디자이너로서 그는 유독 ‘착한 기업’의 성장을 도와 함께 성공하는 일을 보람으로 삼는다. 실제로 ‘관점 디자이너 박용후’에게 월급을 주었던 또는 주고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착한 기업이다.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들과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꿈을 이루고 싶어 하는 사람들과 일을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조직에 깊숙이 몸담...
대한민국 1호 관점 디자이너, 피와이에이치 대표. ‘고정관념의 파괴자’, ‘관점으로 미래를 연결하는 사람’, ‘착한 기업 전도사’ …. 그를 수식하는 별명은 수없이 많지만 그는 다른 무엇보다 국내 유일의 ‘관점 디자이너’로 불리기를 원한다. 관점 디자이너로서 그는 유독 ‘착한 기업’의 성장을 도와 함께 성공하는 일을 보람으로 삼는다. 실제로 ‘관점 디자이너 박용후’에게 월급을 주었던 또는 주고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착한 기업이다.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들과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꿈을 이루고 싶어 하는 사람들과 일을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조직에 깊숙이 몸담지 않는다. 한곳에 오래 머물면 매순간 새로 디자인되어야 할 관점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약속한 목표에 도달하는 순간까지만 함께한다는 원칙으로 계약직 신분을 유지하는 대신, 얽매이지 않는 자유를 누린다.
그 결과 ‘한 달에 13번 월급 받는 남자’로 알려지면서 대중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고, 그 숫자는 현재 20번으로 불어났다. 고정적으로 출근할 곳은 없지만, 세상 어느 곳이라도 스마트폰과 노트북만 있으면 다양한 사람과 자유롭게 접속하며 남다르고 창의적인 그의 행복한 일터가 된다. 그러다 보니 박용후 대표는 어느 특정 조직에 속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분산 투자하는 ‘N분의 1 Job’ 트렌드를 대표하는 인물로 소개되기도 했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재능을 나눠 다양한 기업들을 컨설팅하는 관점 디자이너로서의 본업에 충실하고 있다. ‘기업체에서 가장 초청하고 싶은 강사’로 손꼽히는 그는 다양한 청중들과 부지런히 만나며 그들로부터 매일 새로운 관점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