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시민교육 탐구

정창우,이범웅,추병완,김병환,류지한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문화사 | 2022년 12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인문계열
파일정보
PDF(DRM) 3.0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저자 소개 (11명)

저 : 정창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인성교육연구센터장이자 국가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도덕과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윤리와 논술Ⅰ』『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존 가트맨식 감정코치법』『실패하는 학교』『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정의와 배려』『다문화주의 윤리학...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인성교육연구센터장이자 국가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도덕과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윤리와 논술Ⅰ』『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존 가트맨식 감정코치법』『실패하는 학교』『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정의와 배려』『다문화주의 윤리학』등이 있다. 조석환 선생님은 송운초등학교 교사이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지은 책으로는『존어린이 한자학습 인성교육을 위한 사자소학(四字小學)』이 있다.
저 : 이범웅
충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사상 및 민주 시민교육을 전공하여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부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도덕교육 이론 및 도덕과 교육 지도법, 통일교육론, 민주시민윤리교육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까지 공감, 행복, 감사, 긍정심 등을 주제로 도덕교육과 연관 지어 논문을 쓰며, 연구해 왔다. 그리고 북한이해교육 및 통일교육 등과 관련된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한국윤리학회 및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의 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정신전력 연구』 학술지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도덕과 교육... 충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사상 및 민주 시민교육을 전공하여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부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도덕교육 이론 및 도덕과 교육 지도법, 통일교육론, 민주시민윤리교육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까지 공감, 행복, 감사, 긍정심 등을 주제로 도덕교육과 연관 지어 논문을 쓰며, 연구해 왔다. 그리고 북한이해교육 및 통일교육 등과 관련된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한국윤리학회 및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의 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정신전력 연구』 학술지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도덕과 교육론』, 『도덕과 교육의 실제』, 『21세게 북한학』, 『정치사회사상』, 『고통과 공감의 연대』 등이 있고, 대표 역서로는 『넥스트』, 『인성교육』, 『감사와 행복한 삶』, 『마르크스의 생태학』 등이 있다.
저 : 추병완
강원 원주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였다. 1996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도덕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8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부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2019년부터 춘천교대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최근에는 시민교육 관련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는 중이다. 주요 저서로 『도덕심리학 핸드북』, 『다문화 시대의 반편견교육론』, 『통일교육과 시민교육』, 『신경윤리학과 신경도덕교육』, 『도덕교육 탐구』, 『긍정 ... 강원 원주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였다. 1996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도덕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8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부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2019년부터 춘천교대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최근에는 시민교육 관련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는 중이다. 주요 저서로 『도덕심리학 핸드북』, 『다문화 시대의 반편견교육론』, 『통일교육과 시민교육』, 『신경윤리학과 신경도덕교육』, 『도덕교육 탐구』, 『긍정 도덕교육론』, 『회복탄력성』, 『도덕교육의 이해』, 『도덕교육의 새 지평』, 『문화 감응 교육학』, 『다문화 사회에서 반편견 교수 전략』, 『다문화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 『도덕ㆍ시민교육의 철학적 이해』, 『행동윤리학』, 『시민공화주의와 시민교육』,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교수법: 건설적 논쟁의 이론과 실제』, 『긍정심리학의 강점과 약점』, 『신경과학과 교육』, 『평화교육』, 『미래사회를 위한 준비: 도덕적 생명 향상』, 『도덕 발달 이론』 등이 있으며, ‘행동 윤리학 렌즈로 본 시민교육’을 비롯하여 110편 이상의 논문을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저 : 김병환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한국공자학회 명예회장, 국제유교연합(ICA 상임이사, 北京).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 철학과에서 유가의 정치사상을 공부했다. 박사과정 수학 중 도미(渡美),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에서 성리학에 미친 유불도의 영향 문제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불도 삼교의 교섭과 융합 문제에 대해 연구 중이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학문 탐구 여정이 진화생물학에 이르렀다. 유불도의 교섭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중 하나가 「論太極圖的起源」 『道家文化硏究』 (北京, Hongkong: 三聯書店, 2012)이다. 저서와 역서로...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한국공자학회 명예회장, 국제유교연합(ICA 상임이사, 北京).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 철학과에서 유가의 정치사상을 공부했다. 박사과정 수학 중 도미(渡美),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에서 성리학에 미친 유불도의 영향 문제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불도 삼교의 교섭과 융합 문제에 대해 연구 중이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학문 탐구 여정이 진화생물학에 이르렀다. 유불도의 교섭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중 하나가 「論太極圖的起源」 『道家文化硏究』 (北京, Hongkong: 三聯書店, 2012)이다.

저서와 역서로 『신유학 강의』 (휴먼북스, 2018), 『생명공학과 유가윤리사상』 (새문사, 2017), 『동양윤리사상 강의』 (새문사, 2017), 『공리주의 유가: 주희에 대한 진량의 도전』 (교육과학사, 2017), 『불씨잡변: 조선의 기획자 정도전의 사상혁명』 (아카넷, 2014), 『동양문화 다시 읽기』 (교육과학사, 2014), 『주희의 사유 세계: 주자학의 패권』 (교육과학사, 2010) 등이 있다.

이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이론적 기초』 (춘천교대출판부, 2020),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회복탄력성』 (춘천교대출판부, 2019), 등의 공저와 「孔子이전의 仁개념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 : 류지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윤리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후변화시대의 시민교육』, 『거시윤리학』, 『거시응용윤리학』, 『성윤리』, 옮긴 책으로는 『공리주의 입문』 『밀의 공리주의』,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 『악의 남용』,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싱어의 동물 해방론의 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시대의 윤리학의 위기와 새로운 윤리학의 요청」, 「J. S. 밀의 『공리주의』에서 제재 적절성과 제재 공리주의」, 「두 수준 공리주의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윤리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후변화시대의 시민교육』, 『거시윤리학』, 『거시응용윤리학』, 『성윤리』, 옮긴 책으로는 『공리주의 입문』 『밀의 공리주의』,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 『악의 남용』,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싱어의 동물 해방론의 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시대의 윤리학의 위기와 새로운 윤리학의 요청」, 「J. S. 밀의 『공리주의』에서 제재 적절성과 제재 공리주의」, 「두 수준 공리주의 연구」, 「안락사의 윤리적 쟁점」, 「세계 기아에 대한 윤리적 성찰」, 「R. M. 헤어의 도덕추리론 연구」 등이 있다. 공리주의, 메타윤리, 응용윤리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저 : 이영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학위 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을 썼으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일렌쿠스와 교육과정 개발』(Socratic Elenchus and Curriculum Development)의 제목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 주요 저서로는 『지식교육과 인간교육』, 『도덕과교육』,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도덕교육에서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 연구”, “소크라테스의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학위 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을 썼으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일렌쿠스와 교육과정 개발』(Socratic Elenchus and Curriculum Development)의 제목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 주요 저서로는 『지식교육과 인간교육』, 『도덕과교육』,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도덕교육에서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 연구”,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도덕과 인성교육의 해법: 소크라테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도덕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 : 이경무
전북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철학과를 졸업(1986)하고,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 과정(1988-1992)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여, 「선진유가철학의 정명사상에 관한 연구 : 정명논리를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1992-2015)를 거쳐, 현재는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사상 및 한국 철학자로서 고전을 통해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과 도덕 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이란(공저)』, 『철학을 하는 길』(공저),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공저), 『청소년용 시민성 척도 개발 및... 전북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철학과를 졸업(1986)하고,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 과정(1988-1992)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여, 「선진유가철학의 정명사상에 관한 연구 : 정명논리를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1992-2015)를 거쳐, 현재는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사상 및 한국 철학자로서 고전을 통해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과 도덕 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이란(공저)』, 『철학을 하는 길』(공저),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공저), 『청소년용 시민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공저), 『금강경 고전과 윤리: 지혜가 있는 삶』(공저) 등 다수가 있으며, 동양철학 및 한국철학과 관련된 논문, 도덕교육 및 도덕심리학에 관련된 논문과 청소년용 생태시민성 관련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 : 변순용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고 독일 칼스루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실천 및 응용윤리학이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어린이철학교육센터 센터장, 인공지능윤리 표준화 포럼 위원장, 한국인공지능윤리협회 AI윤리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윤리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책임의 윤리학』, 『삶의 실천윤리적 물음들』, 『삶과 철학 이야기』, 『인공지능윤리하다』, 『윤리적 AI 로봇 프로젝트』,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음식윤리』, 『융합기술시대의 윤리』 등이 있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고 독일 칼스루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실천 및 응용윤리학이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어린이철학교육센터 센터장, 인공지능윤리 표준화 포럼 위원장, 한국인공지능윤리협회 AI윤리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윤리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책임의 윤리학』, 『삶의 실천윤리적 물음들』, 『삶과 철학 이야기』, 『인공지능윤리하다』, 『윤리적 AI 로봇 프로젝트』,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음식윤리』, 『융합기술시대의 윤리』 등이 있고, 대표 역서로는 『레비나스』, 『생명윤리학 1 ·2』, 『로봇윤리』, 『철학·도덕교육의 교수법』 등이 있다.
저 : 박보람
한국교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부터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청소년 집단 극단화의 심리적 요인 분석에 기초한 시민교육 방안 연구」에 주력하는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BIG FIVE 시민성 측정 도구』, 『건설적 논쟁학습의 이론과 실제』,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문화에서의 도덕적 보편성과 다양성: 탈북 청소년의 도덕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부터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청소년 집단 극단화의 심리적 요인 분석에 기초한 시민교육 방안 연구」에 주력하는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BIG FIVE 시민성 측정 도구』, 『건설적 논쟁학습의 이론과 실제』,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문화에서의 도덕적 보편성과 다양성: 탈북 청소년의 도덕적 성격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저 : 추정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한양대 조교수, 목포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도덕성과 윤리교육(공저)』, 『사랑(공저)』, 『마음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을까(공저)』 등과 번역서로는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메타윤리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대학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장애와 의료 기술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성찰’, ‘실험동물과 윤리’ 등이 있다. 현재 서양 윤리학 일반과 생명의료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한양대 조교수, 목포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도덕성과 윤리교육(공저)』, 『사랑(공저)』, 『마음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을까(공저)』 등과 번역서로는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메타윤리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대학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장애와 의료 기술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성찰’, ‘실험동물과 윤리’ 등이 있다. 현재 서양 윤리학 일반과 생명의료윤리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응용윤리 영역, 메타윤리 분야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저 : 김진선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윤리문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윤리이론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 『자비 결과주의』(공역), 『불교의 시각에서 본 AI와 로봇윤리』(공역)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윤리적 가치 개념으로서 “선”과 “악”의 한계와 활용」, 「선의 편협성과 객관주의적 극복」 및 「도덕행위자로서 생태 인공지능」(공동연구) 등이 있다. 공학 및 생명과학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인간의 변화에 대한 윤리적 쟁점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윤리문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윤리이론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 『자비 결과주의』(공역), 『불교의 시각에서 본 AI와 로봇윤리』(공역)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윤리적 가치 개념으로서 “선”과 “악”의 한계와 활용」, 「선의 편협성과 객관주의적 극복」 및 「도덕행위자로서 생태 인공지능」(공동연구) 등이 있다. 공학 및 생명과학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인간의 변화에 대한 윤리적 쟁점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