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조정래 『태백산맥』의 서사담론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고,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리랑』, 『태백산맥』, 『한강』, 『허수아비춤』, [조정래 초기소설]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통합: 고통의 공감과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공저, 2016), 『한국과 중국의 문학적 공간과 의미-한국학으로서 한?중 소설 다시 읽기』(2018), 『근현대 전북잡지 해제집』, (공저, 2022), 『동아시아 문화 2』(공저, 2023)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조정래 『태백산맥』의 서사담론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고,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리랑』, 『태백산맥』, 『한강』, 『허수아비춤』, [조정래 초기소설]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통합: 고통의 공감과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공저, 2016), 『한국과 중국의 문학적 공간과 의미-한국학으로서 한?중 소설 다시 읽기』(2018), 『근현대 전북잡지 해제집』, (공저, 2022), 『동아시아 문화 2』(공저, 2023)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