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당신 곁의 파피용

애니멀 SF 앤솔러지

듀나,전삼혜,박문영,이신주,박해울 | 요다(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23년 2월 3일 한줄평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0건)
분야
소설 > SF/판타지
파일정보
EPUB(DRM) 19.59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카드뉴스로 보는 책

책 소개

인간의 가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가장 타자화된 존재, 비인간동물. 어떻게 하면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타자화된 모든 존재의 완전성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을까. 한국을 대표하는 다섯 명의 SF 작가들이 SF적 상상력을 통해 착취와 수탈 없이 다른 종과 공존하는 세계의 가능성을 탐험한다. 개, 금붕어, 곰, 공룡 등 다양한 비인간동물이 등장하는 다섯 개의 이야기는 의미와 감동은 물론 재미까지 선사한다.

목차

박문영 ◈ 누나와 보낸 여름 · 작가의 말
이신주 ◈ 당신 곁의 파피용 · 작가의 말
전삼혜 ◈ 나초나초와 나 홀로 숨바꼭질 대작전 · 작가의 말
박해울 ◈ 그들의 땅 · 작가의 말
듀 나 ◈ 거북과 용과 새 · 작가의 말

저자 소개 (5명)

저 : 듀나 (Djuna)
소설 뿐 아니라 영화 평론 등 여러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SF 작가. 1992년부터 영화 관련 글과 SF를 쓰며, 각종 매체에 대중문화 비평과 소설을 발표하고 있다. 장편소설 『민트의 세계』, 소설집 『구부전』, 『두 번째 유모』, 『면세구역』, 『태평양 횡단 특급』, 『대리전』, 『용의 이』, 『브로콜리 평원의 혈투』, 연작소설 『아직은 신이 아니야』, 『제저벨』, 영화비평집 『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 에세이집 『가능한 꿈의 공간들』, 『장르 세계를 떠도는 듀나의 탐사기』 등 약 40권의 책을 냈으며, 영화 [무서운 이야기]의 각본에 참여하기도 했다. 『구부전』이 미국에... 소설 뿐 아니라 영화 평론 등 여러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SF 작가. 1992년부터 영화 관련 글과 SF를 쓰며, 각종 매체에 대중문화 비평과 소설을 발표하고 있다. 장편소설 『민트의 세계』, 소설집 『구부전』, 『두 번째 유모』, 『면세구역』, 『태평양 횡단 특급』, 『대리전』, 『용의 이』, 『브로콜리 평원의 혈투』, 연작소설 『아직은 신이 아니야』, 『제저벨』, 영화비평집 『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 에세이집 『가능한 꿈의 공간들』, 『장르 세계를 떠도는 듀나의 탐사기』 등 약 40권의 책을 냈으며, 영화 [무서운 이야기]의 각본에 참여하기도 했다. 『구부전』이 미국에 출간될 예정이다.
저 : 전삼혜
1987년 서울에서 태어나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걷다가 보니 어른이 되었다. 고등학교 2학년인 2004년에 덜컥 [마비노기]를 깔았다가 많은 게 변한 사람. 게임 팬픽을 공식 카페에 연재하다 지망 대학을 정했다. 2016년부터 게임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또 청소년 SF의 길을 힘차게 달리고 있다. 목표는 ‘한국 청소년들이 한국 SF를 더 많이 접하게 하는 것’.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SFWUK) 2기 부대표이며, 2010년부터 겸업 작가 생활을 충실히 유지하고 있다. 전직 판교의 등대지기. 아메리카노를 물처럼 마시며 노동 중. 2010년 대산대학문학상... 1987년 서울에서 태어나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걷다가 보니 어른이 되었다. 고등학교 2학년인 2004년에 덜컥 [마비노기]를 깔았다가 많은 게 변한 사람. 게임 팬픽을 공식 카페에 연재하다 지망 대학을 정했다. 2016년부터 게임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또 청소년 SF의 길을 힘차게 달리고 있다. 목표는 ‘한국 청소년들이 한국 SF를 더 많이 접하게 하는 것’.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SFWUK) 2기 부대표이며, 2010년부터 겸업 작가 생활을 충실히 유지하고 있다. 전직 판교의 등대지기. 아메리카노를 물처럼 마시며 노동 중.

2010년 대산대학문학상으로 등단했다. 장편소설 『날짜변경선』, 소설집 『소년소녀 진화론』과 『위치스 딜리버리』 등을 발표했고, 앤솔러지 소설집 『어쩌다 보니 왕따』, 『존재의 아우성』, 『사랑의 입자』, 『엔딩 보게 해 주세요』, 『인어의 걸음마』에 「고래고래 통신」을 수록하는 등 여러 앤솔러지에 참여했다.
저 : 박문영
소설·만화·일러스트레이션을 다룬다. 2013년 큐빅노트 단편소설 공모전에 「파경」으로 입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사마귀의 나라』, 『지상의 여자들』, 『주마등 임종 연구소』 등의 소설과 『그리면서 놀자』, 『봄꽃도 한때』(공저), 『천년만년 살 것 같지?』(공저), 『3n의 세계』 등이 있다. 2015년 SF어워드 대상, 2019년 SF어워드 우수상을 수상했다. SF와 페미니즘을 연구하는 프로젝트 그룹 ‘sfxf’에서 활동 중이다. 소설·만화·일러스트레이션을 다룬다. 2013년 큐빅노트 단편소설 공모전에 「파경」으로 입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사마귀의 나라』, 『지상의 여자들』, 『주마등 임종 연구소』 등의 소설과 『그리면서 놀자』, 『봄꽃도 한때』(공저), 『천년만년 살 것 같지?』(공저), 『3n의 세계』 등이 있다. 2015년 SF어워드 대상, 2019년 SF어워드 우수상을 수상했다. SF와 페미니즘을 연구하는 프로젝트 그룹 ‘sfxf’에서 활동 중이다.
저 : 이신주
2018년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부문 대상, 2022년 제2회 문윤성SF어워드 중단편 부분 대상. 2020년 『웹진 크로스로드 172호』, 2022년 『세계괴담모음』, 『이달의 장르소설 2호』, 『이달의 장르소설 3호』, 『당신 곁의 파피용』, 2023년 『어션테일즈 5호』, 『과학잡지 에피 23호』 등 다수의 앤솔러지 및 정기간행물에 작품 수록. 나열된 수상 및 집필 이력을 언젠가 “이걸 다 싣기엔 너무 긴데요….”라는 말과 함께 출판사로부터 반려 당할 수 있도록, 그때까지 자판 괴롭히기를 멈추지 않는 건실한 이야기꾼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음. 2018년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부문 대상, 2022년 제2회 문윤성SF어워드 중단편 부분 대상. 2020년 『웹진 크로스로드 172호』, 2022년 『세계괴담모음』, 『이달의 장르소설 2호』, 『이달의 장르소설 3호』, 『당신 곁의 파피용』, 2023년 『어션테일즈 5호』, 『과학잡지 에피 23호』 등 다수의 앤솔러지 및 정기간행물에 작품 수록. 나열된 수상 및 집필 이력을 언젠가 “이걸 다 싣기엔 너무 긴데요….”라는 말과 함께 출판사로부터 반려 당할 수 있도록, 그때까지 자판 괴롭히기를 멈추지 않는 건실한 이야기꾼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음.
저 : 박해울
199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뉴턴』을 읽으며 SF와 판타지를 동경하게 되었고, 글쓰기를 배우고 싶어 대학과 대학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였다. 학교 졸업 후 회사원으로 일하면서도, 이야기 만드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꾸준히 썼다. 끊임없이 문을 두드린 결과, 2012년 『계간문예』 소설부문 신인상을 받았으며 2018년에 『기파』로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을 받았다. 199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뉴턴』을 읽으며 SF와 판타지를 동경하게 되었고, 글쓰기를 배우고 싶어 대학과 대학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였다. 학교 졸업 후 회사원으로 일하면서도, 이야기 만드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꾸준히 썼다. 끊임없이 문을 두드린 결과, 2012년 『계간문예』 소설부문 신인상을 받았으며 2018년에 『기파』로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을 받았다.

출판사 리뷰

인간의 가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가장 타자화된 존재, 비인간동물
착취와 수탈 없이 그들과 공존하는 세상을 탐구하다

인간과 동물, 심지어 기계까지 융합하고 발전해 나가는 시대가 현실이 되었다. 다양한 생물종이 공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중심주의는 함께 역사를 만들어온 비인간 생명들에게 가혹했고 폭력적이었다. 그것은 비단 동물뿐만 아니라 인간으로 취급하지 않았던 어떤 것들(여성, 인종, 기계 등)에게도 마찬가지였다. 버츄얼 휴먼, 사이보그, 트랜스 휴먼 등 새로운 종의 탄생을 말하기에 앞서, 인간의 가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가장 타자화된 존재 비인간동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작품을 한 권에 모았다.

이제껏 인간이 생명을 다루어왔던 방식은 멸종, 학살, 나아가 팬데믹까지 일으키며, 다시 인류에 위협이 되었다. 죽여야 하는 생명, 죽어도 되는 생명, 죽이지 않아야 하는 생명은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인간은 서로 다른 존재들과 지배/피지배라는 이분법적이고 폭력적인 구분 없이 공존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타자화된 모든 존재의 완전성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을까. 한국을 대표하는 다섯 명의 SF 작가들이 다양한 SF적 상상력을 통해 착취와 수탈 없이 다른 종과 공존하는 세계의 가능성을 탐험한다.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