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요커, 애틀랜틱, 아웃사이드, 내셔널지오그래픽 어드벤처, 멘스저널 등에 글을 썼다. 주요 관심사는 인간의 야망과 자연 세계사이의 충돌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아메리카의 장엄한 생태계와 파괴적 벌목 행위로 드러난 인간의 탐욕을 흥미진진하게 다룬 <황금가문비나무>로 2005년 캐나다 총독 문학상(논픽션 부문). 2006년 키리야마 상을 수상했다. 키리야마 상은 환태평양과 남아시아 지역의 나라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 작품에 주는 상이다.
뉴요커, 애틀랜틱, 아웃사이드, 내셔널지오그래픽 어드벤처, 멘스저널 등에 글을 썼다. 주요 관심사는 인간의 야망과 자연 세계사이의 충돌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아메리카의 장엄한 생태계와 파괴적 벌목 행위로 드러난 인간의 탐욕을 흥미진진하게 다룬 <황금가문비나무>로 2005년 캐나다 총독 문학상(논픽션 부문). 2006년 키리야마 상을 수상했다. 키리야마 상은 환태평양과 남아시아 지역의 나라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 작품에 주는 상이다.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옮긴 책으로 《책을 쓰는 과학자들》, 《몸은 기억한다》, 《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버자이너》, 《펭귄들의 세상은 내가 사는 세상이다》,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옮긴 책으로 《책을 쓰는 과학자들》, 《몸은 기억한다》, 《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버자이너》, 《펭귄들의 세상은 내가 사는 세상이다》,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