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승문,김세영 공저
이동환 저
문부일 저
이담 저
이운근 저
이 책이 나온지도 벌써 7~8년이 되었네요. 아이가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하고 특히 유튜브와 게임을 심각하게 많이해서 읽어보라고 사 주었던 책인데 제목이 그래서 그런지 안 읽으려고 하더라고요. 꼭 읽어줬으면 좋겠는데 한 두장 읽더니 영 흥미를 가지지 못하네요. 책 자체를 많이 안 읽는 아이라 방법을 생각해 본것인데 이책도 효과가 없고 어떻게 해야할 지 너무 막막하기만 합니다.
24시간 늘 함께 하는 스마트폰. 꼼지락 꼼지락~~~
남녀노소 스마트폰은 21세기의 최전방에 있는 핫 아이템이라 감히 말할 수 있다.
우는 아이의 울음도 멎게 하는 그야말로 신통방통한 기계다.
너무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으니 멀리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편리함의 끝판왕인 스마트폰이 사라지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이름대로 참 스마트한(똑똑한) 물건. 이 똑똑한 기계가 삶에 들어와서 정신적으로 더 피폐해진 듯 하다.
문고판 동화 <스마트폰이 먹어치운 하루>에 그 피폐한 마음들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하루 종일 스마트폰을 끼고 사는 아이, 매일 엄마와 아이의 실랑이가 벌어진다.
학교 공부도 소홀하게 되고, 친구들과의 수다 대신 카톡~ 까톡~ 까까오, 톡~~~~
아이들은 생각할 틈이 없다. 손에 쥐고 있지 않는 날은 불안하다.
그래서 엄마들은 되도록이면 스마트폰을 사주려하지 않거나 한참 시간을 두고 사 준다.
스마트폰 없는 아이들은 놀림이나 따돌림의 대상이 된다.
요즘 학교에서도 과제물을 내거나 확인할 때 스마트폰을 활용한다.
없는 아이들은 상실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엄마들의 심적 부담감은 늘어난다.
스마트폰 없는 내 아이가 혹시나 불이익 당할까봐 울며 겨자먹기로 스마트폰을 쥐어주게 된다.
이런 현실 충분히 상상가능했다. 점점 편리함 속에 함몰되어져 가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을......
<스마트폰이 먹어치운 하루>는 아이들의 스마트폰으로 인한 하루의 일상들이 들어있다.
온종일 채팅하고, 게임하고, 음악 듣고, 영화 보고..... 재미와 자극적인 것을 자연스레 받아들이고 있다.
친구들끼리 험담하기도 하는 은밀한 공간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그 사적인 그들만의 공간이 순간의
실수로 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져 심각하게 침해당하기도 한다. 혹독한 댓가를
지불하게 되며 이것은 서로에게 상처로 남는다. '스마트폰 바로 쓰기 운동' 필요한 이유다.
스마트폰으로 인해 호되게 신고식을 한 아이들은 '스마트폰 바로 쓰기 운동' 발표를 통해서
스마트폰의 단점보다 장점을 더 많이 알게 되었고, 장점을 이용하되 단점은 오프라인 만남,
얼굴 vs 얼굴을 통해 대화와 사귐을 쭉~~~ 이어가게 된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폐해는 단절이 아닐까싶다.
깊이 생각하는 것을 단순하게 만들어버리고, 한번 빠져들어가면 쉽게 헤어나오기 힘들고,
친구들과의 소통도 막아버리고, 공부란 동기부여도 희석시켜버리니깐....
무엇보다 가족과의 대화 단절이 가장 큰 문제다. 울 효진이를 어찌할꼬~~~ ^^
스마트폰을 슬기롭게 사용하도록 잘 이끌어주는 생각 동화 <스마트폰이 먹어 치운 하루>였다.
울 효진이가 보고 느꼈으면 좋았을텐데..... 역시나 책 읽기에 마음이 쉬이 돌아서지 않는 효진이다.
엄마의 그림책 읽기가 되었다^^
스마트폰이 먹어 치운 하루 - 엄마, 앞으로 스마트폰은 잘 활용해서 써야 할것 같아요.
* 저 : 서영선
* 그림 : 박연옥
* 출판사 : 팜파스
집에만 오면 애들은 아빠, 엄마 휴대폰부터 반깁니다.
낮엔 할머니, 할아버지 휴대폰으로 게임을 하죠.
이모나 삼촌이 와도요.
엄마 휴대폰이 가장 오래된 기종이고 게임도 많이 안 설치해놔서 그다지 찾지 않고...
요즘 젤 좋아하는 펭귄 게임이 있는 갤노트 휴대폰 소유자들을 찾아서...^^;;;
그래서 문제가 많아요.
그런데, 비단 아이들뿐이 아니랍니다.
어른들도 그래요.
대중교통 이용하다보면 다들 휴대폰만 보고 있어요.
심지어 회사에서 회의하다보면 회의를 집중 안하고 휴대폰 보는 사람도 정말 많답니다.
회식을 하러 가도 대화를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반 이상은 개인적으로 폰만 보죠.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에요.
전, 정말 필요할때만 보고는 안 보거든요.
그래서 큰 아이도 피쳐폰이고, 정말 필요해지만 업그레이드 해주려고 생각중인데...
아이들이 게임을 목적으로 (물론 그 게임은 펭귄 게임 외에 단어퀴즈 등 도움이 되는 어플도 있답니다.) 사달라고 하니 정말 고민입니다.
요즘 많은 부모님들의 고민이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어른들이 잔소리(?)해도 애들이 듣나요.....
이렇게 책들이 쏟아져나와주네요.
엄마 아빠의 조언과 책에서 일러주는 조언들이 꼭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읽어보았습니다.
책에 들어있던 스티커에요.
전엔 다이어리를 작성해서 이런 스티커를 참 많이 사용했는데...
지금은 휴대폰으로도 다 작성이 가능하죠.
가끔은 정말 아날로그가 그립습니다.
전 그래서 아직도 메모를 하네요^^;;
제목이 참 무섭죠?
하루를 스마트폰이 먹는다구?
그런데요. 이 말이 너무 와 닿더라구요.
주말에 집에 있으면 틈나는대로 아빠 휴대폰을 쓰려고 하는 아이들을 보니...
이 제목이 너무 딱 맞더라는거죠.
이 책에선 도대체 어떤 사건이 발생한 것일까요?
책 속에 등장하는 초등학생 친구들 윤아, 해나, 희서, 미리.
분명 친구들끼리 모여 있는데도 각자 따로 스마트폰을 보고 놉니다.
윤아는 폰이 없네요.
얼마나 이상할까요? 자신만 덩그러니.....
그런데 그런 윤아에게 스마트폰이 생깁니다.
하지만.. 그 후로 윤아에게 이상한 일들이 생기지요.
모범생이었던 윤아는 스마트폰에 푹.. 빠져버리고 말았어요.
게다 친구들과 다툼도 하고...
도대체 스마트폰을 한 것 밖에 없는데 왜 그렇게 된 것일까요???
스마트폰은 말 그대로 기계와 관계를 맺는 것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를 직접 하는게 아니라 폰을 이용해서 주고받는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오해도 생길 수 있고 공감대 형성이 안될수도 있어요.
게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잘 활용하면 모를까, 흥미 위주로만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답니다.
특히 게임 중독이 그래요.
내가 좋아하는 친구들과 눈을 마주치고 같이 대화를 하는게 아니라 스마트폰만 내려다보고 건성건성 대답하면.....
누가 좋아할까요?
이 책에선 또래 친구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여러 문제점들을 상세하게 말해주고 있어요.
그래서 큰 아이는 많은 것을 생각했던것 같아요.
안그래도 얼마전에 아빠가 새 휴대폰을 살때 자신도 좀 더 있다고 터치폰(현재는 피쳐폰으로 폴더폰 사용)으로 해달라고 하더라구요.
스마트폰은 아니고 터치만 되는 폰이라도^^
기특하더라구요.
그렇게 생각했다는 것 자체도요.
사실 아이는 아직 스마트폰으로 할게 없거든요.
가끔 하는 게임 정도?
이 생각이 오래 가줬으면 하네요. ~~
생각도둑, 시간도둑, 친구도둑, 공부도둑 스마트폰!
도둑이라는 표현이 너무 딱 맞아요.
잘 활용하면 유용하지만 아니면 정말 왠수가 되어버리는 스마트폰.
이 책에서는 친구들 이야기 외에 자신이 중독인지 아닌지 체크해보고, 어떻게 해야 잘 쓸 수 있는지 도움을 주고 있어요.
책을 다 읽고 독후활동을 해보았어요.
정말 먹어치운다는 표현이 사실적이면서도 섬뜩했다고 해요.
다행히 아들래미라 그런지 나가서 친구들과 뛰놀고 하는게 아직은 더 좋다고 하거든요.
그래서 스마트폰은 필요없다고, 자신은 친구들이 있으면 된다고 하네요^^
학년이 높아지면 또 달라질까요?
아직은 스마트폰으로 교체해달라 하진 않지만 종종 하는 게임은 좀 줄이겠다고 약속했어요.
문젠 둘째네요. 음...
고민이에요. 정말..
제가 이쪽 계통에서 일하다보니...
정말 폰은 참..^^; 징하게 본답니다.
다양한 회사 제품들까지....
그래서 사실 신제품 사기가 참 꺼려져요^^;;
저도 기본 기능만 충실하고 인터넷만 잘 터지고 전화만 잘 되면 되거든요.
요즘 휴대폰은 참 가격도 비싸다는...^^;;;
저도 심심할때는 책이 없으면 종종 스마트폰을 보는데요.
앞으론 더 더 집에선 안 보려구요. (원래 집에선 거의 안 봐요.)
나가서도 아이들과 있을때도 필요한 정보 외에는 굳이 게임 등을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대신 아예 안하는것도 그러니, 어떻게 해야 유용하게 쓰는지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해요.
그렇게 하나씩 배워가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