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CES 2022 딥리뷰

손재권,최형욱,강성지,정구민,주영섭 저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쌤앤파커스 | 2022년 6월 13일 리뷰 총점 9.6 (24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19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2건)
  •  eBook 한줄평 (3건)
분야
경제 경영 > 마케팅/세일즈
파일정보
EPUB(DRM) 74.7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6명)

저 : 손재권
고려대 문과대학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매일경제 산업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전자신문 IT산업부와 문화일보 사회부 기자를 거쳤다. 삼성그룹,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전자 산업을 취재하고 있으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정보통신 기업과 산업, 정부부처를 오랫동안 담당했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퀄 컴,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을 커버하면서 변화의 현장을 직접 취재하기도 했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7월까지 1년 간 스탠퍼드 아태연구소의 방문연구원(Visiting Scholar)으로 몸담으며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실... 고려대 문과대학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매일경제 산업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전자신문 IT산업부와 문화일보 사회부 기자를 거쳤다. 삼성그룹,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전자 산업을 취재하고 있으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정보통신 기업과 산업, 정부부처를 오랫동안 담당했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퀄 컴,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을 커버하면서 변화의 현장을 직접 취재하기도 했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7월까지 1년 간 스탠퍼드 아태연구소의 방문연구원(Visiting Scholar)으로 몸담으며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실리콘밸리 혁신의 근원을 목도했다. 이후 그러한 경험을 많은 이들과 함께 나누고 한국에서도 파괴적 혁신의 기운이 꿈틀거리기를 기원하며 집필을 시작했다. 책을 쓰고 취재하는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창업가 정신, 시작가(始 作家) 정신, 실행(實行) 정신 등을 뜻하는 ‘앙트러프러너십(Entrepre- neurship)’과 상상 이상의 도전 목표를 제시하는 ‘문샷 씽킹(Moon- shot Thinking)’은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라고 믿게 됐다. 주요 저서로 《앱스토어 경제학》(공저)과 《네이버 공화국》(공저) 《이공계 글쓰기 달인》(공저) 등이 있다.
저 : 최형욱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USC)에서 전자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공부했다. 삼성전자에서 10년간 무선네트워크와 센서, 디스플레이 등의 신기술을 연구했고 <타임(TIME)>의 ‘The Gadget of the Year 2018’에 선정된 혁신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발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업 ‘매직에코’의 공동대표를 거쳐 혁신기획사 ‘라이프스퀘어’의 이노베이션 캐털리스트(innovation catalyst)로서 기업들의 기술 전략과 혁신을 촉매하기 위한 전략자문과 함께 다양한 혁신 프로젝트를 기획, 실행하고 있다. 또한 다가올 메타버스 시대를 위해 XR 하드웨어 플랫폼 스타트...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USC)에서 전자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공부했다. 삼성전자에서 10년간 무선네트워크와 센서, 디스플레이 등의 신기술을 연구했고 <타임(TIME)>의 ‘The Gadget of the Year 2018’에 선정된 혁신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발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업 ‘매직에코’의 공동대표를 거쳐 혁신기획사 ‘라이프스퀘어’의 이노베이션 캐털리스트(innovation catalyst)로서 기업들의 기술 전략과 혁신을 촉매하기 위한 전략자문과 함께 다양한 혁신 프로젝트를 기획, 실행하고 있다. 또한 다가올 메타버스 시대를 위해 XR 하드웨어 플랫폼 스타트업인 ‘질리언테크놀로지’를 창업하였다. 아시아 20여 개 도시의 혁신가들과 함께 아시아발 혁신과 협력의 시대를 위해 ‘Pan Asia Network’를 공동 설립했고, 미래 전략 싱크탱크 ‘퓨처디자이너스’의 퓨처 디자이너(future designer)로서 신기술과 선한 영향력이 만들어 낼 미래상과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미래 신기술, 플랫폼 전략, 기술 혁신, 하드웨어 생태계, 비즈니스모델 혁신이 전문 분야이며 사물인터넷, 모바일 디바이스, UX혁신,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신규 서비스와 관련하여 20여 개의 해외 특허와 30여 개의 국내 특허를 출원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알리바바, 텐센트, 소프트뱅크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보는 미래 전략』, 『버닝맨, 혁신을 실험하다』가 있다.
저 : 강성지
민족사관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공중보건의사로서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을 담당했다. 이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헬스개발그룹을 거쳐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회사 웰트(주)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외래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민족사관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공중보건의사로서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을 담당했다. 이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헬스개발그룹을 거쳐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회사 웰트(주)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외래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저 : 정구민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에서 학사·석사학위를,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타트업 네오엠텔과 SK텔레콤에서 근무했다. 현재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대자동차, LG전자, 삼성전자, 네이버 자문교수와 유비벨록스 사외이사를 역임하는 등 업계와 학계를 두루 거친 국내 최고의 모빌리티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주)휴맥스 사외이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계소재전문위원회 위원, 한국모빌리티학회 부회장,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부회장, 대한전기학회 정보및제-어부문회 이사로 재임 중이다.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에서 학사·석사학위를,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타트업 네오엠텔과 SK텔레콤에서 근무했다. 현재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대자동차, LG전자, 삼성전자, 네이버 자문교수와 유비벨록스 사외이사를 역임하는 등 업계와 학계를 두루 거친 국내 최고의 모빌리티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주)휴맥스 사외이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계소재전문위원회 위원, 한국모빌리티학회 부회장,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부회장, 대한전기학회 정보및제-어부문회 이사로 재임 중이다.
저 : 주영섭
서울대학교 특임교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했고 한국과학원에서 생산공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산업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업에서 대우전자 정보통신사업부장, 경영기획본부장을 거쳐 GE써모메트릭스 코리아 대표이사 및 아태담당 사장, 현대차그룹의 현대오토넷 및 본텍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지식경제부 R&D전략기획단의 주력산업총괄 MD(차관급)로 국가 R&D 전략 및 예산을 담당했다. 14대 중소기업청장을 역임하며 중소중견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육성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했다. 서울대학교 초빙교수, 고려대학교 석좌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특임교... 서울대학교 특임교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했고 한국과학원에서 생산공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산업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업에서 대우전자 정보통신사업부장, 경영기획본부장을 거쳐 GE써모메트릭스 코리아 대표이사 및 아태담당 사장, 현대차그룹의 현대오토넷 및 본텍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지식경제부 R&D전략기획단의 주력산업총괄 MD(차관급)로 국가 R&D 전략 및 예산을 담당했다. 14대 중소기업청장을 역임하며 중소중견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육성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했다.
서울대학교 초빙교수, 고려대학교 석좌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디지털혁신협회 회장, 한국공학한림원 회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위원회 위원장, 산업디지털 전환위원회 민간위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미래산업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 : 이용덕
지난 30여 년 동안 IT 기업 전문 경영인으로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에서 근무하며 이들의 혁신과 성장을 주도했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뒤 필립스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직장인이 된 지 10년 만에 글로벌 기업의 CEO가 됐고, 마지막 직장은 현재 세계의 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엔비디아 코리아였다. 그는 13년 동안 엔비디아 한국 지사 대표로 재직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세상의 움직임을 누구보다 빠르게 접하고 통찰할 기회를 얻었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을 때도 일반 대중은 이를 잘 체감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지금 당장 변화의 물결에 합류... 지난 30여 년 동안 IT 기업 전문 경영인으로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에서 근무하며 이들의 혁신과 성장을 주도했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뒤 필립스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직장인이 된 지 10년 만에 글로벌 기업의 CEO가 됐고, 마지막 직장은 현재 세계의 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엔비디아 코리아였다. 그는 13년 동안 엔비디아 한국 지사 대표로 재직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세상의 움직임을 누구보다 빠르게 접하고 통찰할 기회를 얻었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을 때도 일반 대중은 이를 잘 체감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지금 당장 변화의 물결에 합류하지 않으면 그들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너무 빤히 보였다.

이런 상황에 불안해진 저자는 학교와 기업 등의 강연에서 저자는 직접 경험을 통해 얻은 미래 변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하며 세상의 변화뿐 아니라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학부모, 직장인, 기업 임원들까지 그의 강연을 들은 사람들은 더 많은 미래를 보고 싶다며 연락을 해왔다. 강연을 시작한 지 10년 이상이 흐른 지금, 그렇게 인연이 돼 ‘멘토’와 ‘멘티’ 관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이 2만여 명에 이른다.

젊은이들이 미래를 읽고 자신의 꿈을 이뤄가는 ‘변화’를 목격한 저자는 2018년 엔비디아 코리아를 떠나 멘토링 재능 기부 프로젝트인 ‘드림앤퓨쳐랩스’를 시작했다. 2019년에는 커리어를 살려 AI 전문 솔루션 회사 ㈜바로AI를 설립했으며 아카데미도 개설해 해당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화여대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젊은이들에게 꿈과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계속하고 있으며, 사원부터 기업 임원까지 아우르는 기업 강연으로 글로벌 CEO의 퓨처 인사이트를 전하는 데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글로벌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드림앤퓨쳐랩스 대표, 인공지능 SW·HW 전문 기업인 바로 AI CEO,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이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19건)

한줄평 (5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