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일본문화연구센터 연구원, 일한전문번역가.
조선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일본에서 통번역을 공부하였다. 2006년 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나의 미나마타병』을 번역한 인연으로, 일본의 공해와 원폭문학 관련 연구와 일본어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전남대 대학원에 진학해 문학박사 (일본근현대문학, 공해문학 전공)가 되었다. 주요 번역으로는 『즐거운 불편』『돼지가 있는 교실』『애니미즘이라는 희망』 『에콜로지와 평화의 교차점』『엔데의 유언』『아주 사적인 시간』등이 있고,「이시무레 미치코 문학에 그려진 한-『고해정토』를 중심으로」「이시무레 미치코의〈국화와 나가사키〉를 통해 ...
전남대학교 일본문화연구센터 연구원, 일한전문번역가. 조선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일본에서 통번역을 공부하였다. 2006년 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나의 미나마타병』을 번역한 인연으로, 일본의 공해와 원폭문학 관련 연구와 일본어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전남대 대학원에 진학해 문학박사 (일본근현대문학, 공해문학 전공)가 되었다. 주요 번역으로는 『즐거운 불편』『돼지가 있는 교실』『애니미즘이라는 희망』 『에콜로지와 평화의 교차점』『엔데의 유언』『아주 사적인 시간』등이 있고,「이시무레 미치코 문학에 그려진 한-『고해정토』를 중심으로」「이시무레 미치코의〈국화와 나가사키〉를 통해 보는 조선인 원폭피해자의 실태」「핵공해 사건을 서사한 문학연구-도쿄전력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교토대학교 공학 박사
현 전국재해구호협회 재난안전연구소 부소장
전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소방방재센터장
전 일본 돗토리국립대 사회기반공학전공 교수
Participatory Approach to Gap Analysis between Policy and Practice Regarding Air Pollution in Ger Areas of Ulaanbaatar, Mongolia(2019)
간세이가쿠인대학 부교수?재해부흥제도연구소 주임연구원.
교토대학에서 도시사회공학(재난위기관리)으로 석?박사를 취득하고 국립 돗토리대학 조교수,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재난안전연구소...
교토대학교 공학 박사 현 전국재해구호협회 재난안전연구소 부소장 전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소방방재센터장 전 일본 돗토리국립대 사회기반공학전공 교수 Participatory Approach to Gap Analysis between Policy and Practice Regarding Air Pollution in Ger Areas of Ulaanbaatar, Mongolia(2019)
간세이가쿠인대학 부교수?재해부흥제도연구소 주임연구원. 교토대학에서 도시사회공학(재난위기관리)으로 석?박사를 취득하고 국립 돗토리대학 조교수,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재난안전연구소 부소장)를 거쳐, 2023년 4월부터 현직에 있다. 20여 년간 일본, 인도네시아, 한국 등 국내외 지역 커뮤니티의 재난 회복력을 위한 주민참여 연구 및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분야는 커뮤니티 재난 레질리언스, 재해구호?피해자 지원, 재난교육?훈련, 재난복구?부흥계획이다. 정부?시민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자문?평가?교육훈련 등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대규모 재난 시 재난약자 지원방안』(2017, 공저), 『재난관리론』(2020, 공저), 「자연재난과 재해구호, 그리고 재난회복력 제고를 위한 준비」(2022), 「일본의 재난 피해자 지원과 재난 레질리언스 관점의 도시 안전」(2023), 『재난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 및 사회변화』(2024, 공저), 「재난부흥을 통한 지역사회 위기 극복과 회복?일본 재난 사례를 중심으로」(2024) 등 다수가 있다.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과 재난방송중앙협의회 위원, 중앙재난관리평가위원, 재난방송 과태료 심의위원 등을 맡고 있다.
그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4년 일본의 上智大學(Sophia University) 대학원 신문학연구과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동 대학 석사, 박사과정(신문학박사)을 졸업하고 1995년 고베지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특히, 東京大? 히로이 오사무(?井脩) 교수와 함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을 공동 연구하면서 위기관리와 ...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과 재난방송중앙협의회 위원, 중앙재난관리평가위원, 재난방송 과태료 심의위원 등을 맡고 있다.
그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4년 일본의 上智大學(Sophia University) 대학원 신문학연구과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동 대학 석사, 박사과정(신문학박사)을 졸업하고 1995년 고베지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특히, 東京大? 히로이 오사무(?井脩) 교수와 함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을 공동 연구하면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시스템 연구에 주력하게 되었다.
경력으로는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중앙도서관장, 행정대학원장, 대학언론사 주간, 행정안전부 자문교수·기획위원, 국민안전처 자문교수, 소방방재청 자문교수, 기상청 자문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책임교수 및 자문교수, 한국기자협회 재난보도준칙 제정위원장, 언론중재위원, 일본의 上智大學 신문학연구과 객원교수 등이 있다.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장. 한국어 사회언어학과 방언학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재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사 및 재난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사회언어학사전』(공저), 『언어와 금기』(공저), 『한국인 이름의 사회언어학』(공저)을 비롯하여 『자료로 보는 일본 감염병의 역사』(공저),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공저),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공저) 등의 저서와 함께 『현대음운론입문』(공역), 『언어 변...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사업단장. 한국어 사회언어학과 방언학 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재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사 및 재난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공저), 『사회언어학사전』(공저), 『언어와 금기』(공저), 『한국인 이름의 사회언어학』(공저)을 비롯하여 『자료로 보는 일본 감염병의 역사』(공저),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공저), 『재난시대의 언어와 담론』(공저) 등의 저서와 함께 『현대음운론입문』(공역), 『언어 변이와 변화』(공역) 등의 번역서 및 70여 편의 연구논문이 있다.
중국의 최일류 대학 가운데 하나인 베이징의 중국과학원대학(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 교수이자 중국과학원 과기정책 및 관리과학연구소 연구원이다. 중국 시스템분석관리연구소 소장, 국제 위기관리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권이 넘는 저서 가운데는 2009년 이후 거듭해서 간행이 이루어져 온 ‘현대 응급 관리(Modern Emergency Management)’ 관련 저서(2009, 2010, 2011, 2013) 외에 『벚꽃이 시들다(櫻花殘): 재난 시각으로 본 일본문화』(2017), 『방역 3000년』(2022) 등 재난 관...
중국의 최일류 대학 가운데 하나인 베이징의 중국과학원대학(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 교수이자 중국과학원 과기정책 및 관리과학연구소 연구원이다. 중국 시스템분석관리연구소 소장, 국제 위기관리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권이 넘는 저서 가운데는 2009년 이후 거듭해서 간행이 이루어져 온 ‘현대 응급 관리(Modern Emergency Management)’ 관련 저서(2009, 2010, 2011, 2013) 외에 『벚꽃이 시들다(櫻花殘): 재난 시각으로 본 일본문화』(2017), 『방역 3000년』(2022) 등 재난 관련 저서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재난에 대한 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보기 드문 재난 전문 연구자라고 할 수 있다.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대학원 수화언어학과 주임교수.
언어 통사론 및 인지의미론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총 6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을 수주하여 한국수어 연구 및 농인을 위한 한국어 및 영어 교재를 제작하고 있다. 2021년부터 국립국어원 한국수어사전 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한국수어 논문을 총 13편 연구재단 등재지에 저술하는 등 활발하게 한국수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대학원 수화언어학과 주임교수. 언어 통사론 및 인지의미론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총 6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을 수주하여 한국수어 연구 및 농인을 위한 한국어 및 영어 교재를 제작하고 있다. 2021년부터 국립국어원 한국수어사전 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한국수어 논문을 총 13편 연구재단 등재지에 저술하는 등 활발하게 한국수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재난안전교육원 대표.
숙명여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후 성공회대대학원에서 NGO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숙명여대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서 재해구호, 자원봉사, 재난안전 연구업무를 담당하였고, 행정자치부(국가기반체계보호분과)와 소방방재청(자연재난분과) 정책자문에도 참여하였다. 주요 참여 연구로는 「지속가능 재난관리를 위한 지역자율방재조직의 활동프로그램과 활용방안」(지방정부연구), 「재난발생 시 재해약자지원시스템 구축방향: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방재연구), 『재해구호복지론』(공저), 『현장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연구...
재난안전교육원 대표. 숙명여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후 성공회대대학원에서 NGO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숙명여대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서 재해구호, 자원봉사, 재난안전 연구업무를 담당하였고, 행정자치부(국가기반체계보호분과)와 소방방재청(자연재난분과) 정책자문에도 참여하였다. 주요 참여 연구로는 「지속가능 재난관리를 위한 지역자율방재조직의 활동프로그램과 활용방안」(지방정부연구), 「재난발생 시 재해약자지원시스템 구축방향: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방재연구), 『재해구호복지론』(공저), 『현장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연구』(공저) 등이 있다.
강소대학교(江蘇大學, 중국) 행정학과 부교수, 위기관리 및 공공정책연구소 부소장.
인하대학교(한국) 행정학과 졸업, 행정학 박사학위 취득.
2009-2012년 인하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음.
주요 연구 분야는 공공정책, 위기 및 리스크 관리, 사회복지이며, 총 3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고 7권의 전문저서를 출판하였으며, 연구프로젝트 10여 건을 수행하였음. 대표논문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변화와 재편성」, 「KANO 모델에 기반한 공중보건 비상사태 정보공개에 대한 공공수요 연구」, 「중국공산당 100년 방재 회고: 제도적 우위에 기반한 분석」 등이 있다.
강소대학교(江蘇大學, 중국) 행정학과 부교수, 위기관리 및 공공정책연구소 부소장. 인하대학교(한국) 행정학과 졸업, 행정학 박사학위 취득. 2009-2012년 인하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음. 주요 연구 분야는 공공정책, 위기 및 리스크 관리, 사회복지이며, 총 3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고 7권의 전문저서를 출판하였으며, 연구프로젝트 10여 건을 수행하였음. 대표논문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변화와 재편성」, 「KANO 모델에 기반한 공중보건 비상사태 정보공개에 대한 공공수요 연구」, 「중국공산당 100년 방재 회고: 제도적 우위에 기반한 분석」 등이 있다.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어바나-샴페인)에서 구조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진재해에 대한 건축물의 위험도 추정과 안전도 평가기술과 지진하중과 특수하중에 대해 FEM해석과 관련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Vertical Heat Bridge Insulation System for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a Multi-Residential Building」(2023. 12., Structures), 「Experimental assessment a...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어바나-샴페인)에서 구조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진재해에 대한 건축물의 위험도 추정과 안전도 평가기술과 지진하중과 특수하중에 대해 FEM해석과 관련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Vertical Heat Bridge Insulation System for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a Multi-Residential Building」(2023. 12., Structures), 「Experimental assessment and effective bond length for RC columns strengthened with aramid FRP sheets under cyclic loading」(2023. 11., Engineering Structures),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Masonry Stone Pagoda: Dynamic Centrifuge Test and Numerical Simulation Analysis」(2023. 9., Sustainability) 등이 있다.